목차
제1장 신약배경사
1. 신구약 중간 시대의 문헌
2. 신구약 중간 시대의 고고학적 자료
3. 페르시아 역사
4. 헬레니즘 시대의 근동 역사
5. 신 구약 중간시대의 유대역사
6, 신구약 중간시대의 종교
제2장 신약성서와 고고학
1. 신약 고고학의 위치
2. 신약 고고학의 의의
3. 신약 성서 사본과 문서
4. 고고학 발견으로 나타난 신약 문서의 공헌
5. 그리스도의 고고학 개요
6. 초대 교회의 고고학 개요
제3장 유대 고고학
1. 광야의 에세네파
2. 건축 왕 헤룻
3. 예루살렘 성전1
4. 예루살렘성전(2)
5. 신약 시대의 동전들
제4장 예수 그리스도 고고학
1. 예수님의 탄생과 유년기
2. 에수님의 초기 갈릴리 사역
3. 예수님의 후기 갈릴리 사역
4. 갈릴리 바다의 항구도시
5. 예수님의 예루살렘 사역
6. 예수님의 수난과 십자가
7. 예수님의 무덤
8. 예수님의 수의
제5장 소아시아 고고학
1. 바울의 선교와 고고학
2. 안디옥의 바울과 성배
3. 에베소와 로마의 극장
4. 라오디게아와 목욕시설
5. 자주장사 루디아와 두아디라
6. 사데와 서머나와 빌라델비아
7. 사단의 위와 도서관의 버가모
제6장 그리스와 로마 고고학
1, 우상과 철학의 도시 아테네
2. 풍요와 방탕의 도시 고린도
3. 비운의 도시 폼페이
4. 모든 길의 중심 로마
5. 로마의 백부장
6. 로마 교회와 기독교회
1. 신구약 중간 시대의 문헌
2. 신구약 중간 시대의 고고학적 자료
3. 페르시아 역사
4. 헬레니즘 시대의 근동 역사
5. 신 구약 중간시대의 유대역사
6, 신구약 중간시대의 종교
제2장 신약성서와 고고학
1. 신약 고고학의 위치
2. 신약 고고학의 의의
3. 신약 성서 사본과 문서
4. 고고학 발견으로 나타난 신약 문서의 공헌
5. 그리스도의 고고학 개요
6. 초대 교회의 고고학 개요
제3장 유대 고고학
1. 광야의 에세네파
2. 건축 왕 헤룻
3. 예루살렘 성전1
4. 예루살렘성전(2)
5. 신약 시대의 동전들
제4장 예수 그리스도 고고학
1. 예수님의 탄생과 유년기
2. 에수님의 초기 갈릴리 사역
3. 예수님의 후기 갈릴리 사역
4. 갈릴리 바다의 항구도시
5. 예수님의 예루살렘 사역
6. 예수님의 수난과 십자가
7. 예수님의 무덤
8. 예수님의 수의
제5장 소아시아 고고학
1. 바울의 선교와 고고학
2. 안디옥의 바울과 성배
3. 에베소와 로마의 극장
4. 라오디게아와 목욕시설
5. 자주장사 루디아와 두아디라
6. 사데와 서머나와 빌라델비아
7. 사단의 위와 도서관의 버가모
제6장 그리스와 로마 고고학
1, 우상과 철학의 도시 아테네
2. 풍요와 방탕의 도시 고린도
3. 비운의 도시 폼페이
4. 모든 길의 중심 로마
5. 로마의 백부장
6. 로마 교회와 기독교회
본문내용
e Elder), 동시대의 자카이(Johanan ben Zakkai), 2세기 전반의 랍비 유대(Judah)의 계통을 통해 형성.
2. 신구약 중간 시대의 고고학적 자료
1) 사해문서,
1947년 이래로 사해의 여러 계곡에 위치한 동굴들에서 발견된 각종 문헌을 말하는 포관적 용어.
①1947년부터 와디 쿰란에서 4,000개 이상의 단편들이 11개의 동굴에서 발견.
②1951년 헤브론 동편 와디 다라야(Wadi Darajah) 지방의 무라바아트(Wadi Murabbat\'at)에서 두개의 동굴이 발견
③1952년 키르벳 미르드(Khirbet Mird)에서 일군의 자료들이 발견
④1960-1961년에 엔 게디(En-Gedi) 남쪽에 위치한 나할 헤베르(Nahal Hever)에서 “편지의 동굴”이, 나할 세일림(Nahal Se\'elim)에서는 “두루마리의 동굴“이 발견되었으며 이 지역에서 여러 편지와 파피루스를 발견했다.
⑤1962-1964년에 걸친 조사를 통해 무가렛 아부 쉰예(MUgharet Abu Shineh)를 향해 있는 동굴에서 파피루스가 출토되었으닌, 그것들은 기원전 375-335년에 쓰여진 아람어 기록들가 고 히브리어 기록들고 구성
2) 제논 파피루스
유대지역의 이방인의 토지 소유와 소작인들과의 관계를 밝혀주며, 비록 명확한 언급은 없지만 토착 소작인들이 대지주에게 혹사당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 사마리아 파피루스
1962년 여리고 북쪽 14Km 지점에 위치한 와디 에드 달리예(Wadi ed-Daliyeh)의 동굴에서 약 20개의 파피루스들과 많은 단편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파피루스들은 기원전 375-335년에 속하는 것으로, 알렉산더 대제의 사마리아 침공에 즈음하여 동굴로 도망하였따가 나중에 마케도니아 사람들에게 죽음을 당한 사람들의 것으로 추정된다.
4) 주조화폐
고대 유대 동전의 연구(numusmatics)는 페르시아 시대 말기부터 바르 코흐바 반란까지,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을 준다. 또한 유대인의 예술과 상징, 금석학과 특히 연대 측정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마카비시대의 동전은 실제로는 마카비 혁명 이후 하스모니아 왕조에서 제작된 동전들을 말한다.
헤롯 왕조의 화폐는 하스모니아 왕조의 몰락과 더불어 유대적 상징이 사라지고 그리스어 명문만 새겨지며, 연대 체제가 시도외었으며 “헤롯왕”이라는 글이 기록된 특징을 보여준다.
5) 발굴 유적
마리사는 세 개의 문화 층, 즉 두개의 헬레니즘 시대층과 한 개의 철기시대에 속하는 이스라엘층(철기2c)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벧술은 헬레니즘 기간동안, 특히 마카비 전쟁 중에 요새로 부각되었으며, 세 단계의 건축이 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늦은 시기의 사마라아 유적은 로마시대에 속하는 2세기의 극장이 그리심산 기슭에서 발견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인들의 도시들은 두가지 상반된 특징을 드러내는데 그곳은 헬레니즘 문화에 젖어드는 이교적 현상과 유대교의 전통 문화를 부각시키는 민족주의적 현상이다.
3. 페르시아 역사
1) 페르시아 제국
산헤립은 파르수아쉬(Parsuash)와 안산(Anshan)으로부터 침공을 당했는데, 이들 지역의 지도자가 페르시아 제국의 시조인 아케메니스(Achaemenes, 즉 Hakhamanish)일 것이다.
으로써 페르시아 제국은 아케메니드(Achaemenid)왕조로 불리게 된다.
2) 파르티아 제국
기원전 3시게 말에 셀류쿠스 왕조의 멀리 떨어진 북쪽 지역에서 파르니(Parni)족은 아르사케스(Arsaces)라는 지도자가 나타나 파르티아(Parthia)의 여러 유목민족을 통합하였따. 그는 기마병과 중무장한 기변대와 궁수들로 셀류쿠스 왕저의 군대를 무찌르고 헤라톰필로스(Hecatompylos)를 수도로 정하고 왕국을 세웠다. 미드리다테스는 파르티안의 고토를 되 찾았고 서쪽으로 유프라테스 강지, 동쪽으로는 여러 유목민족을 정복함으로써 파르티아 제국을 건설하였다.
결국 224년 사산 가문의 아르다시르(Ardashir)의 반란으로 파르티아는 무너지고 사산(Sasan)왕조가 건설되었다.
4. 헬레니즘 시대의 근동 역사
헬레니즘 시대는 알렉산더 대왕의 통치로부터 로마의 이집트 정복까지 약 300년 동안을 말한다.
1) 알렉산더 이후 헬라국가
톨레미 왕조는 알렉산더의 사후부터 로마의 정복기 까지 이집트를 지배.
톨레미는 마케도니아의 장군 라구스의 아들로 태어나 알렉산더 사후 이집트를 자치한 뒤 기원전 305년을 왕 위에 올랐다. 경쟁자 이던 안티고누스가 죽은 후에 팔레스타인을 장악. 나중에는 사이프러스와 에게해 섬들과 소아시아의 남부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왕들이 셀류쿠스 왕조와 여러차례 전쟁(202-200 BC)을 하던 끝에 제 5차 시리아 전쟁중 파니움(panium)에서 패배함으로써 팔레스타인과 소아시아, 에게해의 영토를 상실하였다. 셀류쿠스 왕조는 시리아와 인근 지역을 통치, 약 260년 동안 존속하였다. 셀류쿠스왕조의 역사는 톨레미 왕조와 로마 제국과의 갈등이 주요 사건이 되지만, 성서와 연관되는 사건으로는 셀류쿠스Ⅳ과 그 동생 안티오쿠스Ⅳ의 행동이 두드러진다.
2) 로마의 동방 진출
기원전 3시게 말부터 시작된 로마와 마케도니아 사이의 전쟁은 4차례의 접전을 거리면서 마침내 마케도니아가 로마의 속주가 됨으로 끝났다.
5. 신 구약 중간시대의 유대역사
1) 페르시아 시대
유대인들이 정치적 속박의 상태에서 민족적 구심점을 확보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사실을 에스라서와 느헤미야 서에 나타난 개혁 사업을 통하여 추분히 짐작할 수 있다.
2) 헬레니즘 시대
페르시아 제국하에서 유대인들은 비교적 자유로웠고, 페르시아에 대한 그들의 태도도 긍정적이였다.
3) 로마시대
팔레스타인의 좁은 지역에서 하스모니아 왕가의 세력 다툼을 하는 동안 로마의 점증하는 세력은 본도와 아르메니아를 정복하고 팔레스타인으로 내려가 마침내 예루살렘을 3개월만에 점령
6, 신구약 중간시대의 종교
1) 조로아스터교
사회적 혼란기에 출현. 선과 악의 문제와 인생의 목적에 대해 깊이 묵상. 우주에는 창죄되지 않은 영원한 존재인 아후라 마즈다가 선과 지
2. 신구약 중간 시대의 고고학적 자료
1) 사해문서,
1947년 이래로 사해의 여러 계곡에 위치한 동굴들에서 발견된 각종 문헌을 말하는 포관적 용어.
①1947년부터 와디 쿰란에서 4,000개 이상의 단편들이 11개의 동굴에서 발견.
②1951년 헤브론 동편 와디 다라야(Wadi Darajah) 지방의 무라바아트(Wadi Murabbat\'at)에서 두개의 동굴이 발견
③1952년 키르벳 미르드(Khirbet Mird)에서 일군의 자료들이 발견
④1960-1961년에 엔 게디(En-Gedi) 남쪽에 위치한 나할 헤베르(Nahal Hever)에서 “편지의 동굴”이, 나할 세일림(Nahal Se\'elim)에서는 “두루마리의 동굴“이 발견되었으며 이 지역에서 여러 편지와 파피루스를 발견했다.
⑤1962-1964년에 걸친 조사를 통해 무가렛 아부 쉰예(MUgharet Abu Shineh)를 향해 있는 동굴에서 파피루스가 출토되었으닌, 그것들은 기원전 375-335년에 쓰여진 아람어 기록들가 고 히브리어 기록들고 구성
2) 제논 파피루스
유대지역의 이방인의 토지 소유와 소작인들과의 관계를 밝혀주며, 비록 명확한 언급은 없지만 토착 소작인들이 대지주에게 혹사당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 사마리아 파피루스
1962년 여리고 북쪽 14Km 지점에 위치한 와디 에드 달리예(Wadi ed-Daliyeh)의 동굴에서 약 20개의 파피루스들과 많은 단편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파피루스들은 기원전 375-335년에 속하는 것으로, 알렉산더 대제의 사마리아 침공에 즈음하여 동굴로 도망하였따가 나중에 마케도니아 사람들에게 죽음을 당한 사람들의 것으로 추정된다.
4) 주조화폐
고대 유대 동전의 연구(numusmatics)는 페르시아 시대 말기부터 바르 코흐바 반란까지,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을 준다. 또한 유대인의 예술과 상징, 금석학과 특히 연대 측정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마카비시대의 동전은 실제로는 마카비 혁명 이후 하스모니아 왕조에서 제작된 동전들을 말한다.
헤롯 왕조의 화폐는 하스모니아 왕조의 몰락과 더불어 유대적 상징이 사라지고 그리스어 명문만 새겨지며, 연대 체제가 시도외었으며 “헤롯왕”이라는 글이 기록된 특징을 보여준다.
5) 발굴 유적
마리사는 세 개의 문화 층, 즉 두개의 헬레니즘 시대층과 한 개의 철기시대에 속하는 이스라엘층(철기2c)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벧술은 헬레니즘 기간동안, 특히 마카비 전쟁 중에 요새로 부각되었으며, 세 단계의 건축이 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늦은 시기의 사마라아 유적은 로마시대에 속하는 2세기의 극장이 그리심산 기슭에서 발견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인들의 도시들은 두가지 상반된 특징을 드러내는데 그곳은 헬레니즘 문화에 젖어드는 이교적 현상과 유대교의 전통 문화를 부각시키는 민족주의적 현상이다.
3. 페르시아 역사
1) 페르시아 제국
산헤립은 파르수아쉬(Parsuash)와 안산(Anshan)으로부터 침공을 당했는데, 이들 지역의 지도자가 페르시아 제국의 시조인 아케메니스(Achaemenes, 즉 Hakhamanish)일 것이다.
으로써 페르시아 제국은 아케메니드(Achaemenid)왕조로 불리게 된다.
2) 파르티아 제국
기원전 3시게 말에 셀류쿠스 왕조의 멀리 떨어진 북쪽 지역에서 파르니(Parni)족은 아르사케스(Arsaces)라는 지도자가 나타나 파르티아(Parthia)의 여러 유목민족을 통합하였따. 그는 기마병과 중무장한 기변대와 궁수들로 셀류쿠스 왕저의 군대를 무찌르고 헤라톰필로스(Hecatompylos)를 수도로 정하고 왕국을 세웠다. 미드리다테스는 파르티안의 고토를 되 찾았고 서쪽으로 유프라테스 강지, 동쪽으로는 여러 유목민족을 정복함으로써 파르티아 제국을 건설하였다.
결국 224년 사산 가문의 아르다시르(Ardashir)의 반란으로 파르티아는 무너지고 사산(Sasan)왕조가 건설되었다.
4. 헬레니즘 시대의 근동 역사
헬레니즘 시대는 알렉산더 대왕의 통치로부터 로마의 이집트 정복까지 약 300년 동안을 말한다.
1) 알렉산더 이후 헬라국가
톨레미 왕조는 알렉산더의 사후부터 로마의 정복기 까지 이집트를 지배.
톨레미는 마케도니아의 장군 라구스의 아들로 태어나 알렉산더 사후 이집트를 자치한 뒤 기원전 305년을 왕 위에 올랐다. 경쟁자 이던 안티고누스가 죽은 후에 팔레스타인을 장악. 나중에는 사이프러스와 에게해 섬들과 소아시아의 남부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왕들이 셀류쿠스 왕조와 여러차례 전쟁(202-200 BC)을 하던 끝에 제 5차 시리아 전쟁중 파니움(panium)에서 패배함으로써 팔레스타인과 소아시아, 에게해의 영토를 상실하였다. 셀류쿠스 왕조는 시리아와 인근 지역을 통치, 약 260년 동안 존속하였다. 셀류쿠스왕조의 역사는 톨레미 왕조와 로마 제국과의 갈등이 주요 사건이 되지만, 성서와 연관되는 사건으로는 셀류쿠스Ⅳ과 그 동생 안티오쿠스Ⅳ의 행동이 두드러진다.
2) 로마의 동방 진출
기원전 3시게 말부터 시작된 로마와 마케도니아 사이의 전쟁은 4차례의 접전을 거리면서 마침내 마케도니아가 로마의 속주가 됨으로 끝났다.
5. 신 구약 중간시대의 유대역사
1) 페르시아 시대
유대인들이 정치적 속박의 상태에서 민족적 구심점을 확보하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사실을 에스라서와 느헤미야 서에 나타난 개혁 사업을 통하여 추분히 짐작할 수 있다.
2) 헬레니즘 시대
페르시아 제국하에서 유대인들은 비교적 자유로웠고, 페르시아에 대한 그들의 태도도 긍정적이였다.
3) 로마시대
팔레스타인의 좁은 지역에서 하스모니아 왕가의 세력 다툼을 하는 동안 로마의 점증하는 세력은 본도와 아르메니아를 정복하고 팔레스타인으로 내려가 마침내 예루살렘을 3개월만에 점령
6, 신구약 중간시대의 종교
1) 조로아스터교
사회적 혼란기에 출현. 선과 악의 문제와 인생의 목적에 대해 깊이 묵상. 우주에는 창죄되지 않은 영원한 존재인 아후라 마즈다가 선과 지
추천자료
기초신학 계시론
[신학][과학][종교][신학 예정론][과학과 종교][과학과 성경][과학의 자연발생설][창조론]신...
조직신학
누가복음신학서평
개혁신학탐구 이승구
(신학)요한신학 - 스티븐 S. 스몰리
치유신학의 신학적 배경
기독교신학서설 5~9장 정리본
조직신학 인간론 요약
시편 8편에 나타난 인간 이해 - 시편8편의 본문사역 및 구조, 시편8편의 주석과 강해, 구약과...
<삼위일체(三位一體)> 삼위일체의 교리 개관 및 삼위일체 교리의 성경적 증명(구약과 신약의 ...
[바울Paul신학] 바울 복음의 구약적 근거 (바울이 그의 교회들을 구약 성경의 신학과 연결시...
조직신학(교회)
조직신학(교회의 예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