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현대사과제내용] 공녀(중국으로 끌려간 우리 여인들의 역사) _ 지은이 : 정구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근현대사과제내용] 공녀(중국으로 끌려간 우리 여인들의 역사) _ 지은이 : 정구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요약
1) 중국과의 조공외교 관계
2) 공녀의 요구의 목적
3) 공녀의 헌납 상황
4) 공녀의 선발과정
5) 공녀의 폐단 및 기피 실태
6) 공녀 출발시의 참상
7) 공녀들이 끌려간 길
8) 공녀 중지 운동
9) 공녀의 운명
10) 기왕후의 등장과 그 일족의 득세
11) 공녀로 혜택을 본 친족들
12) 고자의 헌납
13) 공녀의 영향


2. 느낀점 및 감상

본문내용

딸을 원나라 고관이었던 아홉마에게 바쳐 단숨에 정 6품 관직인 낭장이라는 벼슬을 얻었다. 또 공민왕 1년에는 복안부원군 권겸이 딸을 황태자에게 바치고 원나라로부터 태부감 태부의 벼슬을 받았다. 이처럼 고려의 처녀들은 엽관운동을 위한 성상납대상으로 희생되기도 하였다.
조선의 경우 공녀로 선발, 헌납된 처녀의 가족이나 친척들을 위로하고 회유하기 위하여 조정에서 관직이나 물품 하사 등의 각종혜택을 부여하여 하였다. 먼저, 관직하사의 사례를 들면, 세종 9년 4차로 명나라에 보내어진 7명의 처녀들의 아버지, 오빠 등에게 관직이 내려졌다.
12) 고자의 헌납
중국에서는 공녀와 함께 고자도 요구하였다. 고자는 다 아는 바와 같은 생식기가 원래 없거나 거세된 남자인데, 고려나 조선시대에는 이들을 화자 또는 엄인이라고 불렀다. 생식기를 거세하여 고자를 만드는 방법에는 어릴적 생식기를 자르거나, 개에게 물리도록 하여 제거하는 것 등이 있었다. 중국으로 끌려간 고자를 만드는 방법에는, 어릴적에 생식기를 자르거나 개에게 물리도록 하여 제거하는 것 등이 있었다. 중국에서는 특히 한국의 고자들을 선호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총명하고 민첩하여 환관의 일을 잘 해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시대와 마찬가지로 고자를 중국에 바쳐야 했다. 고려에서는 원나라에 바쳤으나 조선에서는 명나라에 보내었다는 차이가 있었을 뿐이다. 조선왕조에서는 중종때까지 모두 16차례의 고자헌납을 강요당했다.
13) 공녀의 영향
공녀의 헌납 문제는 고려와 조선인들에게는 커다란 고통이요 비극이었다. 또 그로 인하여 풍속이 크게 훼손되는 등 정치, 사회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공녀문제는 고려, 조선의 정계에 커다란 두통거리의 하나였다. 중국과의 사대외교 관계상 이는 피할 수 없는 과제였기 때문이다. 공녀를 데려가기 위한 사신이 오면 조정은 한동한 소용돌이에 휘말려야 했다.
한편 공녀문제는 백성들에게도 크나큰 고통과 공포의 대상이었다. 공녀를 뽑아간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하면 귀한 딸을 뺏기지 않으려는 부모들과 처녀들의 눈물겨운 몸부림이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부모들은 어린 딸을 일찍 결혼 시키거나, 멀쩡한 처녀를 중풍걸린 병자처럼 보이게 하거나, 얼굴에 약을 발라 흉하게 만드는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었다.
어쨌든 공녀의 헌납은 고려와 조선왕조를 크게 동요시킨 비극적인 사건인 동시에 중국 사회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친 국제적인 성격의 역사적 산물이었다. 또한 공녀는 역사의 희생양이요, 약소국의 비애를 나타내 주는 상징이기도 하였다.
2. 느낀점 및 감상
요즘 기황후라는 드라마가 방영되면서 공녀에 대한 관심이 조금 생긴차에 학교도서관에가서 읽을 책을 고르던중 눈에 띄어서 빌려서 읽게 되었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그렇게 많은 숫자의 공녀가 중국으로 끌려 갔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도 일본에게 많은 수탈을 당했지만 그전에도 중국에게 공녀 및 많은 물품들을 강탈당하면서도 아무말도 할 수 없는 약소국의 비해가 어떤 것이 느껴
  • 가격9,66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5.27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93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