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제언 및 문제제기 )
Ⅱ 본론
1. 성서방법론과 이 책의 비교
2. 편집비평을 통한 그림읽기와
성서 읽기의 장 * 단점
Ⅲ 결론
( 천천히 성서읽기 )
Ⅱ 본론
1. 성서방법론과 이 책의 비교
2. 편집비평을 통한 그림읽기와
성서 읽기의 장 * 단점
Ⅲ 결론
( 천천히 성서읽기 )
본문내용
기 어렵다는 점이다.
넷째, 편집비평방법이 신약성서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아주 최근에는 공관복음서에만 적용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을 미술사로 가져오면 적용되는 것에 대한 한계점이 부딪힌다. 많은 부분 에 적용하고자 한 것이 오히려 현대 미술로 접근하기에 모호하고 애매한 점 이있다 작품을 분류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이 책 전제’ 를 책의 작가의 의도대로 편집하였다고 보는 것이다. 작품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절대적으로 하나의 관점만 옳다고 주장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접근방법의 편집을 통해 하나의 작품의 생명을 끊어버리지 않으려고 노력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었다.
Ⅲ. 결론 ( 천천히 성서읽기 )
필자는 신학의 길에 접어든 학생으로서의 관점으로 이 책을 접하였고 성서읽기와 관련하여 보았을 때에 아직도 방법론은 끝나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적용방법으로 성서읽기와 그림읽기는 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편협적인 가지나 사고가 생길 수 있음을 보았으며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 보았다.
안타깝게도 다양한 비평방법을 모두 섭렵한다고 해도 성서의 바른 해석이라고 정의하기에 어려울 수 있으면 그림읽기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복음서의 해석에 편집비평이 지대한 영향을 끼쳤듯이 이책의 저자가 1장 2장을 통해 형식과 내용을 다루고 3장 4장에서 개인의 심리와 사회의 관점에서 다루고 5,6,7장을 통해 대안적 흐름과 방법을 제시하도록 분류하여 편집한 것으로 보아.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사회와 문화 역사적 배경 완결성 등을 바탕에 깔린 부분을 분석할 수 있듯이 성서도 바른 읽기를 위해 여러 가지를 함께 알아야 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단 하나의 올바른 해석이라는 것은 없다. 작가가 의도한 어떠한 효과는 있겠으나 내가 반드시 그 의도대로 작품을 감상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조이한, 진중권 『천천히 그림 읽기』(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1999), p.274
편집의도대로만 이해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성서읽기는 조금 다르다. 편집의도 뿐 아니라 원 의미로 바른 해석에 근접할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한가지의 성서읽기 방법만 주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 그림읽기에 적용할 수 있다면 창조적인 그림읽기를 위해 다양한 접근 방법을 가져보기를 해보는 것이 낫다고 생각 하는 것이다. 작품해석은 자의적 창조적해석이 , 단하나의 결론을 단정짓지 않음이 용이하나 성서 읽기는 아니다.
바른 진리 탐구를 위해서 더 나은 비평방법과 읽기 방법으로 가고자 하는 노력이 아닌가 생각한다. 필자는 어떠한 성서읽기 비평방법만을 옳다고 지지하고자 하는 마음은 없으나 이 책을 전체적으로 보고자 할 때 편집비평의 관점에서 보았던 것이다.
읽기의 방법을 알아두는 것은 독자로 하여금 자의적 해석만이 혹은 독자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만을 옳다고 제시하는 오류를 범하기 않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되어진다. 그래서 신약석의 방법론을 배우는 것은 성서읽기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필자는 생각된다.
넷째, 편집비평방법이 신약성서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아주 최근에는 공관복음서에만 적용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을 미술사로 가져오면 적용되는 것에 대한 한계점이 부딪힌다. 많은 부분 에 적용하고자 한 것이 오히려 현대 미술로 접근하기에 모호하고 애매한 점 이있다 작품을 분류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이 책 전제’ 를 책의 작가의 의도대로 편집하였다고 보는 것이다. 작품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절대적으로 하나의 관점만 옳다고 주장하지 않으므로 다양한 접근방법의 편집을 통해 하나의 작품의 생명을 끊어버리지 않으려고 노력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었다.
Ⅲ. 결론 ( 천천히 성서읽기 )
필자는 신학의 길에 접어든 학생으로서의 관점으로 이 책을 접하였고 성서읽기와 관련하여 보았을 때에 아직도 방법론은 끝나지 않았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하나의 적용방법으로 성서읽기와 그림읽기는 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며 편협적인 가지나 사고가 생길 수 있음을 보았으며 다양한 접근 방법이 필요함을 보았다.
안타깝게도 다양한 비평방법을 모두 섭렵한다고 해도 성서의 바른 해석이라고 정의하기에 어려울 수 있으면 그림읽기 또한 마찬가지다. 그러나 복음서의 해석에 편집비평이 지대한 영향을 끼쳤듯이 이책의 저자가 1장 2장을 통해 형식과 내용을 다루고 3장 4장에서 개인의 심리와 사회의 관점에서 다루고 5,6,7장을 통해 대안적 흐름과 방법을 제시하도록 분류하여 편집한 것으로 보아. 화가가 그림을 그릴 때 사회와 문화 역사적 배경 완결성 등을 바탕에 깔린 부분을 분석할 수 있듯이 성서도 바른 읽기를 위해 여러 가지를 함께 알아야 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단 하나의 올바른 해석이라는 것은 없다. 작가가 의도한 어떠한 효과는 있겠으나 내가 반드시 그 의도대로 작품을 감상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조이한, 진중권 『천천히 그림 읽기』(서울: 웅진 지식하우스, 1999), p.274
편집의도대로만 이해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성서읽기는 조금 다르다. 편집의도 뿐 아니라 원 의미로 바른 해석에 근접할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그래서 한가지의 성서읽기 방법만 주장할 수 없다는 점에서 , 그림읽기에 적용할 수 있다면 창조적인 그림읽기를 위해 다양한 접근 방법을 가져보기를 해보는 것이 낫다고 생각 하는 것이다. 작품해석은 자의적 창조적해석이 , 단하나의 결론을 단정짓지 않음이 용이하나 성서 읽기는 아니다.
바른 진리 탐구를 위해서 더 나은 비평방법과 읽기 방법으로 가고자 하는 노력이 아닌가 생각한다. 필자는 어떠한 성서읽기 비평방법만을 옳다고 지지하고자 하는 마음은 없으나 이 책을 전체적으로 보고자 할 때 편집비평의 관점에서 보았던 것이다.
읽기의 방법을 알아두는 것은 독자로 하여금 자의적 해석만이 혹은 독자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만을 옳다고 제시하는 오류를 범하기 않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과제라고 생각되어진다. 그래서 신약석의 방법론을 배우는 것은 성서읽기에서 중요한 부분이라고 필자는 생각된다.
추천자료
신문읽기의 혁명 서평
책읽기 교육 실천하기
국어과지도-읽기
읽기학습, 쓰기학습, 수학학습에 장애가 있는 유아들의 학습방법
읽기 교육론
전략적 책읽기 읽고 요약정리 및 감상문
★영유아기 읽기발달단계와 쓰기발달단계 및 바람직한 언어교육의 방향★.
책읽기를 싫어하는 아동을 위한 독서 지도 방법
[세상읽기와 논술 C형] 한국 사회에서 고쳐야 할 사회적 부조리 또는 관습 - 교육양극화현상
[세상읽기와논술E형]최근 프랑스에서 발생한 샤를리 에브도 테러사건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
마음읽기 이론
세상읽기와 논술 C형 1번. 한국 사회에서 고쳐야 할 사회적 부조리 또는 관습 - 건강불평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