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중국과 북한의 군사적 관계의 전개
1) 1990년대 이전
2) 1990년대 이후
ㄱ. 한 ․ 중수교 이후 중 ․ 북 관계
ㄴ. 미 ․ 북 기본합의 이후 중 ․ 북 관계
3) 2000년대 이후
Ⅲ. 중국과 북한의 군사적 측면에서의 현황
1) 제 1차 북한 핵실험 (2006년)
2) 제 2차 북한 핵실험 (2009년)
3) 천안함 침몰 사건
Ⅳ. 결론
Ⅵ. 참고문헌
Ⅱ. 중국과 북한의 군사적 관계의 전개
1) 1990년대 이전
2) 1990년대 이후
ㄱ. 한 ․ 중수교 이후 중 ․ 북 관계
ㄴ. 미 ․ 북 기본합의 이후 중 ․ 북 관계
3) 2000년대 이후
Ⅲ. 중국과 북한의 군사적 측면에서의 현황
1) 제 1차 북한 핵실험 (2006년)
2) 제 2차 북한 핵실험 (2009년)
3) 천안함 침몰 사건
Ⅳ.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반대한다는 의사를 표명하지도 않았다. 외교소식통들은, 중국이 북한에 대한 통제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 정도의 제재라면 응할 수도 있다고 관측하고 있다 한다. 즉, 제재의 강도와 시기가 문제라는 얘기라는 것이다. 따라서, 중국은 한·미·일이 주도하는 대북제재안이 구체적으로 모습을 갖추게 된 이후에야 비로소 제재의 강도와 시기를 조절하는데 힘을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 MBC 뉴스 2010.05.25
그러나 천안함 침몰의 책임을 물어 국제사회가 북한에 제재를 가한다면 전면전을 불사하겠다는 북한에 대해 중국의 정치 지도자들도 우려와 부담을 느끼고 있다. 또한, 자국에 이웃하고 있으면서 핵무기 보유국인 북한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중국은 원하지 않고, 북한이 붕괴되어 한국에 흡수 통일되는 경우, 통일된 한국이 미국 편에 서는 것도 중국은 원하지 않는다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국제사회의 압력이 거세어 북한이 붕괴됐을 경우 중국 안으로 북한의 피난민들이 몰려드는 것도 중국이 우려하는 상황 중의 하나다. 현재 중국은 북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것도 그 이유 중 하나다. \"전면전 불사 북한에 중국 지도자들도 부담\" - 오마이뉴스
이러한 중국의 태도를 변화된 모습으로 보는 관점도 있는 데, 점차 천안함 사태에 대한 `신중한 침묵`을 깨고 적극적으로 천안함 행보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 그 논리이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을 외교적 대응목표로 삼고 있는 우리 정부에겐 중국 입장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북핵 6자회담 의장인 중국의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는 25일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유명환 장관을 예방하고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이 문제를 각 레벨에서 긴밀한 협의를 통해해 서로 협력해서 잘 풀어나갔으면 좋겠다\"며 \"천안함 조사결과를 진지하게 검토했다\"고 말했다고 정부 당국자는 전했고, 이같은 우 대표의 `진지하게 검토했다`는 발언은 중국이 그동안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나 `냉정하고 절제된 태도` 등의 발언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는 현 상황이다. 매일경제 & mk.co.kr 2010.05.25
이처럼 천안함 사태는 크나큰 소용돌이가 되어서 동북아 국제관계를 뒤흔들어 놓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혈맹관계라 불리는 중국과 북한사이에 관계에도 크나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국제 사회여론이 북한에게 불리하게 작동함에 따라 북한의 최대 우방국인 중국의 향후 태도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Ⅳ. 결론
동북아 국제관계에 있어서 두 국가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밀접하고 친밀함이 지속되어지는 관계는 찾아보기가 드물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신기하리만치 그 관계를 잘 이어오고 있다. 물론 이데올로기적 측면이나 정치 ·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둘 사이에 끈끈하게 맺어진 연결망들이 그 것을 지탱하도록 도와주고 있기도 하지만 군사적인 측면을 둘러싼 작용 역시도 둘 사이의 관계에 크나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나 두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중국의 북한에 대한 태도나 생각들이 변화를 일으킨 것이나, 최근 천안함 사건을 둘러싼 둘의 관계의 미묘한 변화 포착은 둘의 관계를 군사적 측면에서 바라볼 때, 그 본질적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실이다. 이처럼 최근 이어지는 북한의 국제사회의 흐름에서 벗어난 행위들은 그의 최대 우방국이자 지원국인 중국에게 여러 난제로 다가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연 순망치한의 관계에 있는 중국은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에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이 아무리 북한과의 관계를 잘 이어나왔고 그러하고 있지만, 지속되는 북한의 중국을 난처하게끔 하는 사건들을 이어나간다면 둘의 관계에 있어서도 크나큰 변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분명 그 방향은 부정적인 형태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북한이나 중국은 서로와의 관계 지속을 위해서는 좀 더 국제정세 속에서 둘의 관계를 바라보고 정의해야하며 그 과정속에서 둘은 좀 더 그 들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천안함 사건을 둘러싼 두 국가의 태도 역시도 위 내용과 마찬가지로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그 관계가 국제사회에서 맺어진 다는 것을 잘 인지해야 할 것이다.
Ⅵ. 참고문헌
김용현「한국전쟁 이후 중국인민지원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보 제10권 제2호
최영관 「북중 군사협력 실태와 전망 그리고 대책」, 전략논총, 1998년 1월호
신상진 「中北 關係 전망 - 미북관계와 관련하여」, 민족통일연구원, 1997
이종석「북한-중국관계 : 1945~2000」, 도서출판 중심, 2001
박종철 외 「북중 관계 강화의 영향과 우리의 대응책」, 통일정세분석(統一情勢分析), 2006년 4월호
신상진 「국내의 중국북한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통일정책연구, 2004년 12월 [제13권 제2호]
박갑수 「2004 북한이해」, 통일부, 2004
신상진 「중국의 통일외교안보정책 전망」, 통일정세분석(統一情勢分析), 2006년 4월호
박치정, 강석찬 「북중 관계와 북한의 개혁개방 전망」, 사회과학연구, 2004년 [제18집]
안인해 「북한 핵실험이후 : 중국의 대북정책 현황과 전망」
남종호 「중국의 대 북한 재인식과 전망」, 국제지역연구 제11권 제3호 , 2007년
한광수 「중국은 북핵사태를어떻게 보는가」Chindia Journal , 2006 . 12
김흥규 「북한의 제2차 핵실험과 중국의 대북정책」 시대정신 , 2009년 가을호
洪學智, 「抗美援朝戰爭回憶 再版(北京: 解放軍文藝出版社, 1991)」중국이 본 한국전쟁
(서울: 고려원, 1992)
통일원, 「주간 북한동향」(1992. 10. 11~17), p. 5
내외통신, 제356호 1983년 11월 4일자
한중문화협회 총재 이영일 「천암함 사태로 본 중국의 대북정책」 , 2010.05.21
중국 국방부 성명 , 2006
매일경제 , 2010.05.25
MBC 뉴스 , 2010.5.25
시대정신 신문
오마이 뉴스 \"전면전 불사 북한에 중국 지도자들도 부담\" , 2010 .05 .25
위키디피아 백과사전
그러나 천안함 침몰의 책임을 물어 국제사회가 북한에 제재를 가한다면 전면전을 불사하겠다는 북한에 대해 중국의 정치 지도자들도 우려와 부담을 느끼고 있다. 또한, 자국에 이웃하고 있으면서 핵무기 보유국인 북한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중국은 원하지 않고, 북한이 붕괴되어 한국에 흡수 통일되는 경우, 통일된 한국이 미국 편에 서는 것도 중국은 원하지 않는다고 이 신문은 분석했다. 국제사회의 압력이 거세어 북한이 붕괴됐을 경우 중국 안으로 북한의 피난민들이 몰려드는 것도 중국이 우려하는 상황 중의 하나다. 현재 중국은 북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것도 그 이유 중 하나다. \"전면전 불사 북한에 중국 지도자들도 부담\" - 오마이뉴스
이러한 중국의 태도를 변화된 모습으로 보는 관점도 있는 데, 점차 천안함 사태에 대한 `신중한 침묵`을 깨고 적극적으로 천안함 행보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 그 논리이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채택을 외교적 대응목표로 삼고 있는 우리 정부에겐 중국 입장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북핵 6자회담 의장인 중국의 우다웨이 한반도사무 특별대표는 25일 서울 도렴동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유명환 장관을 예방하고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이 문제를 각 레벨에서 긴밀한 협의를 통해해 서로 협력해서 잘 풀어나갔으면 좋겠다\"며 \"천안함 조사결과를 진지하게 검토했다\"고 말했다고 정부 당국자는 전했고, 이같은 우 대표의 `진지하게 검토했다`는 발언은 중국이 그동안 천안함 사태와 관련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조사`나 `냉정하고 절제된 태도` 등의 발언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는 현 상황이다. 매일경제 & mk.co.kr 2010.05.25
이처럼 천안함 사태는 크나큰 소용돌이가 되어서 동북아 국제관계를 뒤흔들어 놓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혈맹관계라 불리는 중국과 북한사이에 관계에도 크나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국제 사회여론이 북한에게 불리하게 작동함에 따라 북한의 최대 우방국인 중국의 향후 태도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Ⅳ. 결론
동북아 국제관계에 있어서 두 국가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밀접하고 친밀함이 지속되어지는 관계는 찾아보기가 드물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신기하리만치 그 관계를 잘 이어오고 있다. 물론 이데올로기적 측면이나 정치 · 사회적인 측면에서의 둘 사이에 끈끈하게 맺어진 연결망들이 그 것을 지탱하도록 도와주고 있기도 하지만 군사적인 측면을 둘러싼 작용 역시도 둘 사이의 관계에 크나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나 두 차례의 핵실험을 통해 중국의 북한에 대한 태도나 생각들이 변화를 일으킨 것이나, 최근 천안함 사건을 둘러싼 둘의 관계의 미묘한 변화 포착은 둘의 관계를 군사적 측면에서 바라볼 때, 그 본질적 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실이다. 이처럼 최근 이어지는 북한의 국제사회의 흐름에서 벗어난 행위들은 그의 최대 우방국이자 지원국인 중국에게 여러 난제로 다가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연 순망치한의 관계에 있는 중국은 어떠한 결정을 내릴지에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이 아무리 북한과의 관계를 잘 이어나왔고 그러하고 있지만, 지속되는 북한의 중국을 난처하게끔 하는 사건들을 이어나간다면 둘의 관계에 있어서도 크나큰 변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으며, 분명 그 방향은 부정적인 형태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북한이나 중국은 서로와의 관계 지속을 위해서는 좀 더 국제정세 속에서 둘의 관계를 바라보고 정의해야하며 그 과정속에서 둘은 좀 더 그 들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천안함 사건을 둘러싼 두 국가의 태도 역시도 위 내용과 마찬가지로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고 그 관계가 국제사회에서 맺어진 다는 것을 잘 인지해야 할 것이다.
Ⅵ. 참고문헌
김용현「한국전쟁 이후 중국인민지원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보 제10권 제2호
최영관 「북중 군사협력 실태와 전망 그리고 대책」, 전략논총, 1998년 1월호
신상진 「中北 關係 전망 - 미북관계와 관련하여」, 민족통일연구원, 1997
이종석「북한-중국관계 : 1945~2000」, 도서출판 중심, 2001
박종철 외 「북중 관계 강화의 영향과 우리의 대응책」, 통일정세분석(統一情勢分析), 2006년 4월호
신상진 「국내의 중국북한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통일정책연구, 2004년 12월 [제13권 제2호]
박갑수 「2004 북한이해」, 통일부, 2004
신상진 「중국의 통일외교안보정책 전망」, 통일정세분석(統一情勢分析), 2006년 4월호
박치정, 강석찬 「북중 관계와 북한의 개혁개방 전망」, 사회과학연구, 2004년 [제18집]
안인해 「북한 핵실험이후 : 중국의 대북정책 현황과 전망」
남종호 「중국의 대 북한 재인식과 전망」, 국제지역연구 제11권 제3호 , 2007년
한광수 「중국은 북핵사태를어떻게 보는가」Chindia Journal , 2006 . 12
김흥규 「북한의 제2차 핵실험과 중국의 대북정책」 시대정신 , 2009년 가을호
洪學智, 「抗美援朝戰爭回憶 再版(北京: 解放軍文藝出版社, 1991)」중국이 본 한국전쟁
(서울: 고려원, 1992)
통일원, 「주간 북한동향」(1992. 10. 11~17), p. 5
내외통신, 제356호 1983년 11월 4일자
한중문화협회 총재 이영일 「천암함 사태로 본 중국의 대북정책」 , 2010.05.21
중국 국방부 성명 , 2006
매일경제 , 2010.05.25
MBC 뉴스 , 2010.5.25
시대정신 신문
오마이 뉴스 \"전면전 불사 북한에 중국 지도자들도 부담\" , 2010 .05 .25
위키디피아 백과사전
키워드
추천자료
남북경협 어떻게 풀어가야 하나
러시아의 對한반도 정책
남북한 물류전망과 SLB 및 TCR에 관한 연구
남북정상회담
동북아 지역의 평화협력의 모색과 발전방안
국가보안법의존폐론
도덕과 통일교육의 방향과 포용 및 안보
남북 문제(통일방안, 대북정책, 동북아질서, 세계정세)
한반도 위협요인 따른 안보방향과 동북아의 한반도 위치
현시점에서 바라본 개성공단을 바라보는 행정학적과 경영학적 관점의 차이에 대해서 논하시오.
한미 전략적 공조와 주한미군의 역할
동북아 질서와 주변 4강의 대한반도 정책
[아시아, 아시아 경제협력, 아시아 기술협력, 아시아 평화협력, 아시아 안보협력, 경제협력, ...
동북아시아(동북아) 농업교류, 동북아시아(동북아) 문화협력, 동북아시아(동북아) 환경협력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