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靑山別曲) 창작자 보고서 (실연 당한 사람의 노래, 민란 가담한 자의 노래, 무신란 이후 문신 노래, 속세를 떠나고자한 지식인의 노래, 살길을 찾아 헤매는 유랑민의 노래, 몽고의 침입에대한 항거자 노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산별곡(靑山別曲) 창작자 보고서 (실연 당한 사람의 노래, 민란 가담한 자의 노래, 무신란 이후 문신 노래, 속세를 떠나고자한 지식인의 노래, 살길을 찾아 헤매는 유랑민의 노래, 몽고의 침입에대한 항거자 노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본문
 2.1. 실연을 당한 사람의 노래
 2.2. 민란에 가담한 자의 노래
 2.3. 무신란 이후 문신의 노래
 2.4. 속세를 떠나고자한 지식인의 노래
 2.5. 살길을 찾아 헤매는 유랑민의 노래
 2.6. 몽고의 침입에 대한 항거자의 노래

3. 꼬리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청산별곡(靑山別曲)은 작자 미상의 고려가요로,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전문이 수록되어 있다.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는 곡조(平調)와 1연이 실려 있으며 『악학편고(樂學便考)』에 청산별곡팔곡(靑山別曲八曲)이라는 이름으로 전문이 실려 있는데 『악장가사』의 내용과 큰 차이가 없다.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악학편고』 모두가 가사의 내용만 실려 있을 뿐 어느 문헌에도 이 작품에 대한 문학적 성격 규명에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찾아 볼 수가 없다. 청산별곡은 총 8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연(每聯)은 4구씩이다. 후렴구가 붙으며, 매구(每句)는 3·3·3(2)조(調)의 정형으로 되어 있다. 가시리, 서경별곡과 함께 가장 뛰어난 고려가요의 하나로 꼽힌다. ‘ㄹ’음이 연속되어 가락이 아름다운 것도 이 노래의 특징이다.
원문은 그대로 전해나 작자가 미상이므로 주제가 다양하게 나올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제에 따라 해석의 여지가 다양하다. 『악장가사』에 전해지는 원문은 다음과 같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한 나도
자고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아래 가던 새 본다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아래 가던 새 본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이링공 뎌렁공 야
나즈란 디내와숀뎌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엇디호리라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6.15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33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