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서론
제1부 에스겔의 소명 (1-3장)
제2부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과 상징적 행동(4-7장)
제3부 성전 환상과 하나님의 영광이 떠나심(8-11장)
제4부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과 비유들(12-19장)
제5부 유다의 반역과 하나님의 심판(20-24장)
제6부 열방에 대한 심판(25-32장)
제7부 회복의 예언들(33-39장)
제8부 영원한 성전(40-48장)
부록: 에스겔서에 나타난 성자와 성령의 사역
참고문헌
서론
제1부 에스겔의 소명 (1-3장)
제2부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과 상징적 행동(4-7장)
제3부 성전 환상과 하나님의 영광이 떠나심(8-11장)
제4부 유다와 예루살렘에 대한 심판과 비유들(12-19장)
제5부 유다의 반역과 하나님의 심판(20-24장)
제6부 열방에 대한 심판(25-32장)
제7부 회복의 예언들(33-39장)
제8부 영원한 성전(40-48장)
부록: 에스겔서에 나타난 성자와 성령의 사역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일치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이 성전은 역사적인 성취라기보다는 미래에 일어날 예언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 성저에 대한 우화적이거나 상징적이거나 영적이거나 비유적인 해석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볼 수 있다. 이 미래의 성전은 ‘천년왕국’에 이루어지는 성전을 의미한다. 그리고 영원적 상태로 가는 시작 단계가 천년 왕국이기 때문에 이 상태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성전은 하나님이 백성들 가운데 임하심을 준비하게 하며, 성전의 벽과 뜰과 나누어진 여러 방들(40:5; 42:14-20)은 하나님의 거룩을 나타낸다. 따라서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에 들어오는 43:1-12은 성전의 절정을 이룬다.
내용적으로 볼 때 40-48장은 에스겔서의 메시지를 완성하는 부분이다. 1-3장에서 여호와의 영광이 나타났고, 8-11장에 하나님의 심판을 통해서 영광이 떠나갔다. 그리고 하나님의 영광이 40-48장에서 다시 회복된다. 지성소안 언약궤에서(9:3) 여호와의 영광이 그룹에서 올라 성전 문지방에 임하니 구름이 성전에 가득하였다(10:4).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 문지방에 이르며, 백성들의 죄악으로 인해 그 영광이 성전 문지방을 떠나 그룹들 위에, 그리고 동문에 머물게 된다(10:18-20). 결국 여호와의 영광은 성읍에서 떠나 성읍 동편 산에 머문다(11:23). 이러한 여호와의 영광의 회복에서 43:5에 “여호와의 영광이 이 전에 가득하였다” 그리고 “여호와가 거기 거하신다”(야웨 샴마 48:35)로 끝을 맺는다. 즉 하나님의 영광이 회복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떠나심에 대해서 성경과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많은 자료들을 비교해 보면 “성경 외의 자료들은 그 신당에 돌아오는 신들의 마음이 먼저 변화될 것을 강조하고 있지만, 에스겔서는 하나님이 사람들의 마음을 변화시킬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나님의 영광의 회복은 백성들을 변화시키시고 죄의 문제를 해결하시고 성전에 다시 임하시는 것이다(40-48장). 40-48장의 문예적인 구조는 대략 세 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달락은 새 성전(40:1-43:11)에 관한 기록이며, 둘째 단락은 새로운 법(43:12-46:24)에 관한 내용이며, 마지막 단락은 새로운 땅(47:1-48:35)에 관한 기록이다.
부록: 에스겔서에 나타난 성자와 성령의 사역
에스겔이 보여주는 삼위 하나님은, 성부 “여호와의 영광”, “성자의 영광의 모습”, “성령의 이끄심과 회복케 하심”이다. 에스겔서 계시를 통하여 강조된 모든 하나님의 구원의 사역을 발견하는 것이 이 본문의 해석의 목적 이며 유익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예언의 구조에 있어서도 특히 40-48장에 나타난 영원한 성전의 부분은 그리스도의 사역을 통해서 성취되었지만, 영원히, 그리고 완전히 성취되지 않았다. 이것은 재림으로 완전히 이루어 질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거할 그 영원한 성전(40-48장)에서는 여호와의 영광이 야웨 샴마를 거하실 것이며, 이 회복은 성자와
참고문헌
이학재 저, 에스겔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서유니온선교회 2002
내용적으로 볼 때 40-48장은 에스겔서의 메시지를 완성하는 부분이다. 1-3장에서 여호와의 영광이 나타났고, 8-11장에 하나님의 심판을 통해서 영광이 떠나갔다. 그리고 하나님의 영광이 40-48장에서 다시 회복된다. 지성소안 언약궤에서(9:3) 여호와의 영광이 그룹에서 올라 성전 문지방에 임하니 구름이 성전에 가득하였다(10:4). 여호와의 영광이 성전 문지방에 이르며, 백성들의 죄악으로 인해 그 영광이 성전 문지방을 떠나 그룹들 위에, 그리고 동문에 머물게 된다(10:18-20). 결국 여호와의 영광은 성읍에서 떠나 성읍 동편 산에 머문다(11:23). 이러한 여호와의 영광의 회복에서 43:5에 “여호와의 영광이 이 전에 가득하였다” 그리고 “여호와가 거기 거하신다”(야웨 샴마 48:35)로 끝을 맺는다. 즉 하나님의 영광이 회복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하나님의 떠나심에 대해서 성경과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많은 자료들을 비교해 보면 “성경 외의 자료들은 그 신당에 돌아오는 신들의 마음이 먼저 변화될 것을 강조하고 있지만, 에스겔서는 하나님이 사람들의 마음을 변화시킬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하나님의 영광의 회복은 백성들을 변화시키시고 죄의 문제를 해결하시고 성전에 다시 임하시는 것이다(40-48장). 40-48장의 문예적인 구조는 대략 세 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달락은 새 성전(40:1-43:11)에 관한 기록이며, 둘째 단락은 새로운 법(43:12-46:24)에 관한 내용이며, 마지막 단락은 새로운 땅(47:1-48:35)에 관한 기록이다.
부록: 에스겔서에 나타난 성자와 성령의 사역
에스겔이 보여주는 삼위 하나님은, 성부 “여호와의 영광”, “성자의 영광의 모습”, “성령의 이끄심과 회복케 하심”이다. 에스겔서 계시를 통하여 강조된 모든 하나님의 구원의 사역을 발견하는 것이 이 본문의 해석의 목적 이며 유익이라고 하겠다. 그리고 예언의 구조에 있어서도 특히 40-48장에 나타난 영원한 성전의 부분은 그리스도의 사역을 통해서 성취되었지만, 영원히, 그리고 완전히 성취되지 않았다. 이것은 재림으로 완전히 이루어 질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거할 그 영원한 성전(40-48장)에서는 여호와의 영광이 야웨 샴마를 거하실 것이며, 이 회복은 성자와
참고문헌
이학재 저, 에스겔 어떻게 읽을 것인가, 성서유니온선교회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