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Ⅰ. 한미FTA와 서비스산업
1. 한미FTA의 경제적 효과
2. 한국의 서비스 산업
Ⅱ. 법률분야
Ⅲ. 지적재산권분야
Ⅳ. 방송분야
1. 한미FTA의 경제적 효과
2. 한국의 서비스 산업
Ⅱ. 법률분야
Ⅲ. 지적재산권분야
Ⅳ. 방송분야
본문내용
<서비스무역론>
한미FTA & 서비스산업
- 법률, 지적재산권, 방송분야 중심으로
한미FTA
≪ 그 림 ≫ ≪ 그 림 ≫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2006. 6 ~ 2007. 4 한미FTA 공식협상
2007. 4. 22 한미FTA 협상타결
2011. 11. 22 한미FTA 비준동의안 국회 통과
2012. 3. 15 한미FTA 발효
한미FTA의 경제적효과
GDP 실질 GDP는 약 0.02~5.66% 추가 증가
한․미 FTA가 실질 GDP 및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효과
≪ 표 ≫
한미FTA의 경제적효과
고용
한미 FTA 이행으로 35만명 고용 증가
☞ 단기적으로는 4천 3백명 증가
☞ 장기적으로는 35만명까지 증가 예상
한미 FTA의 고용효과(천명)
≪ 표 ≫
한미FTA의 경제적효과
서비스업의 경우 자본축적만 발생할 경우 27.8천명의 일자리창출 예상
생산성 향상이 발생할 경우 269천명의 고용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
고용창출의 규모 측면에서 서비스업의 고용창출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
한미 FTA의 영향이 국내 서비스업에서 얼마나 크게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변화를 가져오느냐가 가장 중요한 변수
≪ … 중 략 … ≫
한국의 서비스산업
한국의 서비스 산업
한국의 5대 주력 제조업은 이미 세계 공급과잉에 직면
고용 창출력의 지속적인 악화
서비스산업은 내수와 고용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서비스 산업은 10억원,생산당 18.2명의 취업 유발계수를 갖는다
이는 제조업의 9.6명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
부가가치 유발계수: 서비스산업은 0.855로 제조업을 넘어선다.
즉, 서비스산업은 고용 유발 효과뿐 아니라 부가가치 창출 효과도 크다
산업별 취업유발계수 추이
≪ 표 ≫
≪ … 중 략 … ≫
법률 분야
법률 분야
• 한-칠레, 한-싱가포르 FTA에서는 제외
• 2011.7.1 한-EU FTA 발효로 개방 본격화
- 3단계 개방
• 2012.3.15 한-미 FTA 에서도 3단계 개방
• 세계 법률서비스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의 로펌들의 한국 시장 진입문이 열림
≪ 그 림 ≫ ≪ 그 림 ≫
한미FTA & 서비스산업
- 법률, 지적재산권, 방송분야 중심으로
한미FTA
≪ 그 림 ≫ ≪ 그 림 ≫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2006. 6 ~ 2007. 4 한미FTA 공식협상
2007. 4. 22 한미FTA 협상타결
2011. 11. 22 한미FTA 비준동의안 국회 통과
2012. 3. 15 한미FTA 발효
한미FTA의 경제적효과
GDP 실질 GDP는 약 0.02~5.66% 추가 증가
한․미 FTA가 실질 GDP 및 소비자 후생에 미치는 효과
≪ 표 ≫
한미FTA의 경제적효과
고용
한미 FTA 이행으로 35만명 고용 증가
☞ 단기적으로는 4천 3백명 증가
☞ 장기적으로는 35만명까지 증가 예상
한미 FTA의 고용효과(천명)
≪ 표 ≫
한미FTA의 경제적효과
서비스업의 경우 자본축적만 발생할 경우 27.8천명의 일자리창출 예상
생산성 향상이 발생할 경우 269천명의 고용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추정
고용창출의 규모 측면에서 서비스업의 고용창출이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
한미 FTA의 영향이 국내 서비스업에서 얼마나 크게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변화를 가져오느냐가 가장 중요한 변수
≪ … 중 략 … ≫
한국의 서비스산업
한국의 서비스 산업
한국의 5대 주력 제조업은 이미 세계 공급과잉에 직면
고용 창출력의 지속적인 악화
서비스산업은 내수와 고용확대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서비스 산업은 10억원,생산당 18.2명의 취업 유발계수를 갖는다
이는 제조업의 9.6명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
부가가치 유발계수: 서비스산업은 0.855로 제조업을 넘어선다.
즉, 서비스산업은 고용 유발 효과뿐 아니라 부가가치 창출 효과도 크다
산업별 취업유발계수 추이
≪ 표 ≫
≪ … 중 략 … ≫
법률 분야
법률 분야
• 한-칠레, 한-싱가포르 FTA에서는 제외
• 2011.7.1 한-EU FTA 발효로 개방 본격화
- 3단계 개방
• 2012.3.15 한-미 FTA 에서도 3단계 개방
• 세계 법률서비스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의 로펌들의 한국 시장 진입문이 열림
≪ 그 림 ≫ ≪ 그 림 ≫
추천자료
서비스무역
[외국인투자]외국인투자정책 제도, 외국인투자유치의 필요성, 외국인투자의 경제적 영향, 외...
한미 FTA - 지적재산권을 중심으로
일본의 무역 (무역환경론)
라이센싱(라이센스)과 로열티, 라이센싱(라이센스)과 스포츠, 라이센싱(라이센스)과 스포츠마...
[경영자와 법률환경] 지적재산권과 퇴직금지급규정을 통해 살펴 본 디지털컨텐츠산업의 법률...
[무역경영론] CJ그룹의 녹색경영 전략과 사례연구
한미 FTA 협상을 통해본 지적재산권
디지털혁명과 멀티미디어(지적재산권)
[전자무역론] 중국의 경제와 한국과의 무역, ppt자료
[전자무역론] 중국의 경제와 한국과의 무역
디지털저작권의 의미, 디지털저작권의 유형, 디지털저작권의 미디어간 융합, 디지털저작권의 ...
[벤처기업특허][벤처기업][특허]벤처기업특허의 특징, 벤처기업특허의 준비, 벤처기업특허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