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구구조의 고령화
2. 출산율 하락의 원인
3. 인구전망
4.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 노동시장
5.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 저축
6.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 잠재성장률
7.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 금융시장
8. 고령화의 재정에 대한 영향
9. 정책대응과제: 개관
10. 정책대응과제: 재정일반
11. 정책대응과제: 인구 ∙노동부문
12. 정책대응과제: 보건 ∙복지부문
2. 출산율 하락의 원인
3. 인구전망
4.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 노동시장
5.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 저축
6.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 잠재성장률
7. 인구고령화의 파급효과: 금융시장
8. 고령화의 재정에 대한 영향
9. 정책대응과제: 개관
10. 정책대응과제: 재정일반
11. 정책대응과제: 인구 ∙노동부문
12. 정책대응과제: 보건 ∙복지부문
본문내용
교육수준 향상: 고학력 여성의 증가 및 여성경제활동(전문/사무직) 증가
도시화 정도: 대도시일수록 출산율 하락(서울 및 부산의 TFR: 1.0)
보육 및 교육비 등 양육비용의 증가
단기적 요인: 외환위기 및 경기침체효과(스웨덴의 70년대 및 90년대의 사례)
여성 초혼연령의 증가 : ′72년 22.6세 → ′92년 25.0세 → ′03년 27.3세
미혼율(25-29세)의 증가 : ′70년 9.7% → ′00년 40.1%
결혼관 및 자녀관의 변화( 통계청 서베이 조사결과)
- 자녀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기혼여성): ′95년 90.3% → ′13년 54.5%
- 사교육비 부담, 여성의 취업장애요인, 양성간 가사분담 불평등 등이 주요 요인
현재 출산율 수준(1.19)이 유지될 경우: 2017년 정점 이후 급격한 인구 하락
인구대체수준(2.10)으로 증가할 경우: 2031년 정점 이후 점진적 하락
취업자수: ′03년 2,217만명 → ′19년 2,481만명 → ′50년 1,700 ~ 1,900만명
노동인구의 고령화와 청년노동력의 공급감소 → 전체 노동생산성의 하락이 우려
피부양인구의 증가로 2010년대 중반이후 저축률 하락이 본격화 예상
공적연금의 구조적 불균형문제가 저축률 하락을 가속화시킬 가능성
국민연금 납부예외자 및 보험료 체납자에 대한 조속한 대책마련으로 사각지대 해소
현행 퇴직금제도의 기업연금(퇴직연금) 전환을 위한 유인체계 마련
* 일본 영국 등은 적격기업연금 가입시 국민연금의 가입의무를 일부 면제 (적용제외방식)
개인연금저축의 활성화를 통해 노후 대비 자구노력 장려
* 개인연금에 대한 세제지원 점진적 확대, 개인연금기금에 대한 보호장치 마련
도시화 정도: 대도시일수록 출산율 하락(서울 및 부산의 TFR: 1.0)
보육 및 교육비 등 양육비용의 증가
단기적 요인: 외환위기 및 경기침체효과(스웨덴의 70년대 및 90년대의 사례)
여성 초혼연령의 증가 : ′72년 22.6세 → ′92년 25.0세 → ′03년 27.3세
미혼율(25-29세)의 증가 : ′70년 9.7% → ′00년 40.1%
결혼관 및 자녀관의 변화( 통계청 서베이 조사결과)
- 자녀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기혼여성): ′95년 90.3% → ′13년 54.5%
- 사교육비 부담, 여성의 취업장애요인, 양성간 가사분담 불평등 등이 주요 요인
현재 출산율 수준(1.19)이 유지될 경우: 2017년 정점 이후 급격한 인구 하락
인구대체수준(2.10)으로 증가할 경우: 2031년 정점 이후 점진적 하락
취업자수: ′03년 2,217만명 → ′19년 2,481만명 → ′50년 1,700 ~ 1,900만명
노동인구의 고령화와 청년노동력의 공급감소 → 전체 노동생산성의 하락이 우려
피부양인구의 증가로 2010년대 중반이후 저축률 하락이 본격화 예상
공적연금의 구조적 불균형문제가 저축률 하락을 가속화시킬 가능성
국민연금 납부예외자 및 보험료 체납자에 대한 조속한 대책마련으로 사각지대 해소
현행 퇴직금제도의 기업연금(퇴직연금) 전환을 위한 유인체계 마련
* 일본 영국 등은 적격기업연금 가입시 국민연금의 가입의무를 일부 면제 (적용제외방식)
개인연금저축의 활성화를 통해 노후 대비 자구노력 장려
* 개인연금에 대한 세제지원 점진적 확대, 개인연금기금에 대한 보호장치 마련
추천자료
중국의 외교정책 결정구조
미․일 신 방위협력지침에 대한 중국의 외교안보정책 대응에 관한 연구
[BEST]저출산에 대한 원인과 이에 따른 문제 및 정책적 대응방안
미국의 환경정책수행에 있어 정책적 권력구조와 사법부의 역할
정책논증 구조모형의 특징
정책집행 개념구조) 정책집행의 개념과 특징 및 정책결정자와 집행자의 관계유형
정책의 개념구조) 정책의 개념과 구성요소 및 유형, 정책과정
자유와 평등의 개념 하에 사회복지정책의 갈등구조를 논하시고 본인의 생각을 작성.
SK텔레콤 자본구조와 배당정책보고서
교육재정 정책의 기본구조 (요약)
[산업기술][산업기술정책]산업기술과 산업기술정책, 산업기술연구, 산업기술과 산업기술개발,...
[기업지배구조][기업]기업지배구조의 개념, 기업지배구조의 종류, 기업지배구조의 평가, 기업...
[정부][기업][기업 민영화][기업 정책][기업 규제]정부의 기업 정책, 정부의 기업 민영화, 정...
[산업조직론] 한국 제지산업에 대한 산업조직론적 연구 {제지산업의 개요, 제지산업의 시장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