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주요 동기 이론과 학습 동기의 유형 (심리)
1. 주요 동기 이론
2. 학습 동기의 유형
1. 주요 동기 이론
2. 학습 동기의 유형
본문내용
다.
Maehr(1976)는 내재적 동기에 의해 완성되지 않은 과제를 다시 학습하려는 의지를 지속적 동기(continuing motivation)이라고 한다. 즉 지속적 동기란 1) 연속된 시간과 2) 유사한 학습 과제 및 학습환경에서 3) 외부압력이 없어도 계속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이다.
Deci(1975)는 지속적 동기를 외부 압력이나 요구 없이 계속된 흥미에 의해 이전의 학습 과제로 돌아가고자 하는 성향이라고 본다. Lepper, Green & Nisbett(1973)는 학습 활동에 있어서의 지속적 흥미로 정의하였다.
수업 내용을 설계할 때, 학습자들이 학습 과제 자체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면, 학습자들은 미완성된 과제를 다시 학습하기를 선택할 것이다.
Maehr (1976)에 의하면 어떤 점에서 지속적 동기는 내재적 동기를 포함하고 있지만 양자는 다르다. 내재적 동기가 교육 결과로써 동기의 일부분을 설명하고 있는 반면 지속적 동기는 동기가 유발되고, 교육과 연관된 행동 유형에 관해 매우 세부적인 부분까지 관심을 갖고 설명하는 것이다. 지속적 동기는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와 내재적 동기 유발이 결과로써 생겨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Maehr(1976)는 내재적 동기에 의해 완성되지 않은 과제를 다시 학습하려는 의지를 지속적 동기(continuing motivation)이라고 한다. 즉 지속적 동기란 1) 연속된 시간과 2) 유사한 학습 과제 및 학습환경에서 3) 외부압력이 없어도 계속하여 학습하고자 하는 의지이다.
Deci(1975)는 지속적 동기를 외부 압력이나 요구 없이 계속된 흥미에 의해 이전의 학습 과제로 돌아가고자 하는 성향이라고 본다. Lepper, Green & Nisbett(1973)는 학습 활동에 있어서의 지속적 흥미로 정의하였다.
수업 내용을 설계할 때, 학습자들이 학습 과제 자체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된다면, 학습자들은 미완성된 과제를 다시 학습하기를 선택할 것이다.
Maehr (1976)에 의하면 어떤 점에서 지속적 동기는 내재적 동기를 포함하고 있지만 양자는 다르다. 내재적 동기가 교육 결과로써 동기의 일부분을 설명하고 있는 반면 지속적 동기는 동기가 유발되고, 교육과 연관된 행동 유형에 관해 매우 세부적인 부분까지 관심을 갖고 설명하는 것이다. 지속적 동기는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와 내재적 동기 유발이 결과로써 생겨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