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타벅스 커피의 선정동기
2. 라이센싱과 합작투자의 개념
3. 스타벅스 커피의 회사 개요 및 소개
4. 스타벅스 커피의 세계진출 현황 및 성과
5. 스타벅스 커피의 SWOT 분석
6. 스타벅스 커피의 STP 전략
7. 스타벅스 커피의 4P mix 변수분석
8. 스타벅스 커피의 성공요인
9. 종합적인 결론 및 시사점
2. 라이센싱과 합작투자의 개념
3. 스타벅스 커피의 회사 개요 및 소개
4. 스타벅스 커피의 세계진출 현황 및 성과
5. 스타벅스 커피의 SWOT 분석
6. 스타벅스 커피의 STP 전략
7. 스타벅스 커피의 4P mix 변수분석
8. 스타벅스 커피의 성공요인
9. 종합적인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또 다른 선행을 실천하고 있다.
(2) Weakness (약점)
- 비싼가격 : 스타벅스는 4000~5000원대의 고가 전략을 실시하고 있다. 많은 수의 스타벅스 고객들은 커피의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아직 스타벅스에 익숙하지 않는 고객들에게는 이러한 가격대가 커피 한잔의 값으로는 지나친 것이라고 생각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스타벅스는 한국에서만 비싸다. 물가 비싼 런던 스타벅스 에서도 톨사이즈 카페라떼와 카푸치노는 동일하게 1.75 파운드이다. 우리나라 돈으로 치자 면 3000원 정도이다.
어떻게 4~5천 원짜리 커피를 매일 아침마다 주문해서 들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는가.
- 일회용품 사용 : 일회용품의 사용 때문에 환경오염을 등한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추출된 커피와 아메리카노의 경우에는 뜨거운 종이컵이 고객이 들고 있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두 개의 종이컵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버려지는 종이컵은 두 배로 된다. 일회용 컵 이외에도 일회용 플라스틱 컵과 뚜껑, 종이냅킨 등이 한번 쓴 후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다.
(3) Opportunity (기회)
- 고급 커피 시장의 확대 : 수십 년 간 지속되어 왔던 자판기 커피문화는 소비성향이 커진 90년대 중반 이후로부터 고급 커피 문화로 서서히 바뀌어 가고 있다. 커피의 구매에 대한 전반적인 소비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추세에 따라 최근 커피 전문점들은 무서운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맞춰 소비자들도 커피의 맛과 질을 중요시 하게 되었다. 단순히 커피를 마신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기호로써, 문화로써 커피를 즐기게 되면서 커피 한잔을 마셔도 내가 원하는 맛의 커피를 마시겠다는 욕구가 커진 것이다. 고객의 취향에 맞춰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스타벅스에서는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 새로운 문화/트렌드 형성 : 신세대 소비자 시장에서의 카페문화는 과거의 1대1만남을 의미하던 다방 같은 것에서 개방적이고 속도감 있게 변화했다. 이러한 신세대 계층에서 휴대폰과 노트북의 사용, 스탠딩 콘서트 증가들의 문화가 형성 되면서 ‘take out\' 으로 하여 길에서 마시는 것이 유행으로 되었다. 이러한 유행에 빠르게 수용했으며, 이제는 길에서 커피를 손에 들고 마시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4) Threats (위협)
- 토종 커피 전문점 증가 : 최근 카페베네는 중국 베이징에 매장 3곳을 열고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이는 미국시장 진출에 이은, 두 번째 해외 진출이다. 김선권 카페베네 대표는 지난 27일 카페베네 ‘베이징’에서 중국 진출 기념식을 열고, “카페베네의 운영 노하우와 한류스타 마케팅을 결합해 중국 커피시장을 바꿔놓겠다. 중국에서 3년내 매장 1500개를 열어 스타벅스를 제치고 1위 브랜드가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 차 문화로 대표되던 중국에 커피를 즐겨 마시는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커피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이에 따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며 ‘2년내에 스타벅스를 넘어설 것’ 이라고 말했다.
카페베네 뿐만 아니라 스타벅스보다 가격은 저렴하고, 맛과 질도 나쁘지 않고, 서비스나 분위기 혹은 인테리어 등 과 같은 다른 부분에 있어서 더 충실한 토종 커피 전문점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6. 스타벅스의 STP분석
(1) 시장세분화(Segementation)
10대 : 주로 커피보다는 탄산음료를 즐겨 마신다. 커피전문점보다 저렴한 패스트푸드점을 선호한다. 집에서 끓여 마시거나 자판기 캔 커피들을 이용한다.
20대 : 모든 소비문화를 주도하는 연령층이다. 약속장소로 커피전문점을 추구한다. 가장 빈번하게 이용하고, 커피전문점에서 간단한 끼니를 해결하기도 한다. 개개인의 커피 취향이 정해져 있다.
30대 : 커피전문점을 사업 미팅을 목적으로 찾는 경우가 많다. 커피 전문점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업무를 겸하기도 한다. 자신만의 브랜드를 찾는다.
40대: 주로 40대 여성들의 휴식을 위한 목적이다.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곳이다.
(2) 목표시장 선정(Targeting)
연령: 주로 20대,30대 연령층들이 주로 방문한다.
지리적 위치: 번화가, 대학가, 문화 중심지, 사무실, 회사 밀집지역에 분포되어있다.
고객특성: 스타벅스만 찾는 매니아층이 존재한다.
학력: 대학재학생 및 대학 졸업자, 유학생 등을 중심의 고학력 중요시하는 가치
-최고급의 커피: 매혹적인 향기, 다양한 맛
-세련된 분위기: 부드러운 음악, 아늑한 느낌
(2) Weakness (약점)
- 비싼가격 : 스타벅스는 4000~5000원대의 고가 전략을 실시하고 있다. 많은 수의 스타벅스 고객들은 커피의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아직 스타벅스에 익숙하지 않는 고객들에게는 이러한 가격대가 커피 한잔의 값으로는 지나친 것이라고 생각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스타벅스는 한국에서만 비싸다. 물가 비싼 런던 스타벅스 에서도 톨사이즈 카페라떼와 카푸치노는 동일하게 1.75 파운드이다. 우리나라 돈으로 치자 면 3000원 정도이다.
어떻게 4~5천 원짜리 커피를 매일 아침마다 주문해서 들고 다니면서 마실 수 있는가.
- 일회용품 사용 : 일회용품의 사용 때문에 환경오염을 등한시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추출된 커피와 아메리카노의 경우에는 뜨거운 종이컵이 고객이 들고 있는 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두 개의 종이컵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버려지는 종이컵은 두 배로 된다. 일회용 컵 이외에도 일회용 플라스틱 컵과 뚜껑, 종이냅킨 등이 한번 쓴 후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다.
(3) Opportunity (기회)
- 고급 커피 시장의 확대 : 수십 년 간 지속되어 왔던 자판기 커피문화는 소비성향이 커진 90년대 중반 이후로부터 고급 커피 문화로 서서히 바뀌어 가고 있다. 커피의 구매에 대한 전반적인 소비수준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추세에 따라 최근 커피 전문점들은 무서운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맞춰 소비자들도 커피의 맛과 질을 중요시 하게 되었다. 단순히 커피를 마신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기호로써, 문화로써 커피를 즐기게 되면서 커피 한잔을 마셔도 내가 원하는 맛의 커피를 마시겠다는 욕구가 커진 것이다. 고객의 취향에 맞춰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써 스타벅스에서는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 새로운 문화/트렌드 형성 : 신세대 소비자 시장에서의 카페문화는 과거의 1대1만남을 의미하던 다방 같은 것에서 개방적이고 속도감 있게 변화했다. 이러한 신세대 계층에서 휴대폰과 노트북의 사용, 스탠딩 콘서트 증가들의 문화가 형성 되면서 ‘take out\' 으로 하여 길에서 마시는 것이 유행으로 되었다. 이러한 유행에 빠르게 수용했으며, 이제는 길에서 커피를 손에 들고 마시는 것이 일상화되었다.
(4) Threats (위협)
- 토종 커피 전문점 증가 : 최근 카페베네는 중국 베이징에 매장 3곳을 열고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이는 미국시장 진출에 이은, 두 번째 해외 진출이다. 김선권 카페베네 대표는 지난 27일 카페베네 ‘베이징’에서 중국 진출 기념식을 열고, “카페베네의 운영 노하우와 한류스타 마케팅을 결합해 중국 커피시장을 바꿔놓겠다. 중국에서 3년내 매장 1500개를 열어 스타벅스를 제치고 1위 브랜드가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 차 문화로 대표되던 중국에 커피를 즐겨 마시는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커피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이에 따른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며 ‘2년내에 스타벅스를 넘어설 것’ 이라고 말했다.
카페베네 뿐만 아니라 스타벅스보다 가격은 저렴하고, 맛과 질도 나쁘지 않고, 서비스나 분위기 혹은 인테리어 등 과 같은 다른 부분에 있어서 더 충실한 토종 커피 전문점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6. 스타벅스의 STP분석
(1) 시장세분화(Segementation)
10대 : 주로 커피보다는 탄산음료를 즐겨 마신다. 커피전문점보다 저렴한 패스트푸드점을 선호한다. 집에서 끓여 마시거나 자판기 캔 커피들을 이용한다.
20대 : 모든 소비문화를 주도하는 연령층이다. 약속장소로 커피전문점을 추구한다. 가장 빈번하게 이용하고, 커피전문점에서 간단한 끼니를 해결하기도 한다. 개개인의 커피 취향이 정해져 있다.
30대 : 커피전문점을 사업 미팅을 목적으로 찾는 경우가 많다. 커피 전문점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업무를 겸하기도 한다. 자신만의 브랜드를 찾는다.
40대: 주로 40대 여성들의 휴식을 위한 목적이다.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곳이다.
(2) 목표시장 선정(Targeting)
연령: 주로 20대,30대 연령층들이 주로 방문한다.
지리적 위치: 번화가, 대학가, 문화 중심지, 사무실, 회사 밀집지역에 분포되어있다.
고객특성: 스타벅스만 찾는 매니아층이 존재한다.
학력: 대학재학생 및 대학 졸업자, 유학생 등을 중심의 고학력 중요시하는 가치
-최고급의 커피: 매혹적인 향기, 다양한 맛
-세련된 분위기: 부드러운 음악, 아늑한 느낌
추천자료
스타벅스 경영전략 - Starbucks의 탄생과 성장
마케팅 성공 사례-스타벅스 커피 코리아
스타벅스 마케팅전략 파워 포인트 자료
[인문과학] 스타벅스 마케팅전략
[국제경영전략론]스타벅스 경영전략분석
스타벅스 마케팅전략분석 PPT
“스타벅스 감성마케팅”을 읽고 스타벅스(Starbucks)의 경영전략 분석, 표준화 전략, 현지화 ...
『스타벅스 커피한잔에 담긴 성공신화』요약정리
스타벅스(STARBUCKS), 그녀들의 사랑을 “듬뿍듬뿍” 받기 위한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전략...
스타벅스 (Starbucks) 기업분석 및 마케팅전략분석, 스타벅스 위기극복전략 및 나의의견
[스타벅스] 스타벅스(Starbucks)의 마케팅 전략
스타벅스 기업특징과 차별화전략, 스타벅스 마케팅전략 사례, 스타벅스 미래 마케팅전략 제언
스타벅스 성공요인과 스타벅스 마케팅,경영전략분석및 스타벅스 기업 활성화방안 제언 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