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관련 연구
2.1 ISDN의 개요
2.1.1. ISDN의 출현 배경
2.1.2. ISDN의 정의와 특징 및 장점
2.2 ISDN의 구성
2.2.1 ISDN 표준 규정
2.2.2 ISDN장치와 접속 규정집
2.2.3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1) 기본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2) 1차군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2. 관련 연구
2.1 ISDN의 개요
2.1.1. ISDN의 출현 배경
2.1.2. ISDN의 정의와 특징 및 장점
2.2 ISDN의 구성
2.2.1 ISDN 표준 규정
2.2.2 ISDN장치와 접속 규정집
2.2.3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1) 기본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2) 1차군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본문내용
-3 ISDN 관련 CCITT 권고 내용
2.2.2 ISDN장치와 접속 규정집
ISDN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는 기존의 아날로그 단말(TE2)을 I인터페이스에 접속해 주는 터미널 어댑터(TA : Terminal Adaptor), ISDN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TE1, 가입자 구내 교환기를 나타내는 NT2, 가입자 접속망 종단장치를 나타내는 NT1, ISDN 교환기를 나타내는 단국 교환기(LE : Local Exchange) 등이 있다. 각 장치들 의 역할을 표 2-4에 나타내었다.
명 칭
설 명
NT 1
Network Termination 1, DSU와 같이 망측의 종단점에 위치하는 것
NT 2
Network Termination 2, PBX와 같이 회선접속 제어기능을 갖고 있는 것
TE 1
Terminal Equipment Type 1, I 인터페이스 권고에 준거한 단말
TE 2
Terminal Equipment Type 2, 기존의 X시리즈, V시리즈 인터페이스 단말
TA
Terminal Adapter, 기존 단말을 I인터페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표 2-4 ISDN 장치
이러한 ISDN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표준으로 CCITT에서는 그림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장치 간에 R, S, T, U 등과 같은 접속 규정점을 정의하고 각 접속 규정점 에 따른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표준화하였다.
그림 2-4 ISDN 장치와 접속 규정점
그림 2-3에서와 같이 R접속 규정점은 비 ISDN 단말기(TE2)를 터미널 어댑터(TA)와 접 속하기 위한 규정이며, S접속 규정점은 ISDN 단말장치(TE1)나 터미널 어댑터(TA)를 가입자 구내 교환장치(NT2)와 접속하기 위한 규정이다. 또한 T접속 규정점은 가입자 구내 교환장치를 가입자 접속망 종단장치(NT1)와 접속하기 위한 규정이며, U접속 규정점은 가 입자 접속망 종단장치를 ISDN 교환기(LE)와 접속하기 위한 규정이다.
2.2.3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ISDN의 채널에는 B채널, D채널, H채널의 3가지 종류가 있다. B채널은 64[kbps] 이하 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정보용 채널이며, D채널은 주로 다이얼링 신호 등을 전송하는 신호용 채널이다. 또한 H채널은 고속 팩시밀리, 움직이는 화상 등과 같은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정보용 채널이다.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UNI : User-Network Interface)상에서 이들 채널을 어떻게 조 합하여 사용 하는가에 따라 사용자·망 인터페이스는 기본(basic) 사용자망 · 인터페이 스, 1차군(primary)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로 분류한다.
(1) 기본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기본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는 그림 2-5(a)에 나타낼 것처럼 64[kbit / s]의 정보채널 (B채널) 2개와 16[kbit / s]의 제어신호용 채널(D채널) 1개를 포함하는 3채널을 ISDN 의 회선으로 하여 1개의 기존 가입자선으로 제공한다. 이때 정보 채널 2개는 여러 단말 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일례로 INS 네트워크에서는 그림 2-4(b)에 나타낸 것처럼 버스 배선으로 최대 8대까지 접속할 수 있으며,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소 등에 적용된다.
그림 2-5 기본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a) 채널구조
최 대 8 대 까 지 접 속 가 능
(b) INS 네트
예를 들면 하나의 전화회선으로 B1채널은 전화를 하면서 B2채널은 팩시밀리 전송이나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여기서 D채널은 제어신호용이지만 비음성의 패킷 통신에도 이용할 수 있어 최대144
[kbit / s](2 X 64[kbit / s] + 16[kbit / s])의 정보량을 보낼 수 있으며, 각 채널타 입과 채널속도는 다음 표 2-5와 같다.
채 널
채널타입
채널속도
용 도
정보채널
B
64[kbit / s]
이용자의 정보를 전송한다.
회선교환에도 패킷교환에도 이용된다.
H
H0
384[kbit / s]
고속 이용자의 정보를 전송한다.
H1
1536[kbit / s]
신호채널
D
16[kbit / s](기본)
이용자 망사이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정보 채널과 독립하고 있다.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한 정보전송도 된다.
64[kbit / s](1 차군)
표 2-5 채널타입과 채널속도
(2) 1차군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1차군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펄스 코드 변조(PCM)의 1차군 방식을 가입자선 에 적용한 것이다. PCM 1차군 전송방식은 한국 · 미국 · 일본 · 캐나다 등의 1.544[Mbp
s](NAS)방식과 유럽의 2.048[Mbps](CEPT)방식이 있다. 1.544[Mbps]방식의 채널구조는 64[kbps]의 B채널 23개와 64[kpbs]의 D채널 1개, 그리고 프레임 동기를 위한 1비트 로 이루어지며, 총 193비트를 한 프레임으로 하는 채널 할당방식이다.
한편 2048[kbps]방식의 채널구조는 64[kbps]의 B채널 30개와 64[kbps]의 D채널 1 개, 그리고 맨 앞의 프레임 정렬용 8비트로 이루어지며 총 256비트를 한 프레임으로 하는 채널 할당방식을 취한다.
위와 같은 방식 외에도 1차군 사용자·망 인터페이스에서는 23B + D64, 30B + D64 또 는 4H0, 3H + D64, 5H00 + D64 등을 제공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방식을 표 2-6에 요약하였다.
표 2-6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구조
종류
속도
인터페이스의 구조
명칭
채널구조
기본
1.544[kpbs] 또는 2.048[kbps]
기본 인터페이스
2B + D16
1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1차군 B채널 인터페이스
(다중 엑세스)
23B + D64(144[kbps])
30B + D64(2.048[kbps])
1차군 H채널 인터페이스
(고속 엑세스)
4H0 또는
3H0 + D64(1.544[kbps])
5H0 + D64(2.048[kbps])
1차군 H채널 인터페이스
(고속 엑세스)
H11(1.544[kbps])
H12 + D64(2.048[kbps])
1차군 혼합 인터페이스
nB + mH0 + D64
2.2.2 ISDN장치와 접속 규정집
ISDN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장치는 기존의 아날로그 단말(TE2)을 I인터페이스에 접속해 주는 터미널 어댑터(TA : Terminal Adaptor), ISDN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TE1, 가입자 구내 교환기를 나타내는 NT2, 가입자 접속망 종단장치를 나타내는 NT1, ISDN 교환기를 나타내는 단국 교환기(LE : Local Exchange) 등이 있다. 각 장치들 의 역할을 표 2-4에 나타내었다.
명 칭
설 명
NT 1
Network Termination 1, DSU와 같이 망측의 종단점에 위치하는 것
NT 2
Network Termination 2, PBX와 같이 회선접속 제어기능을 갖고 있는 것
TE 1
Terminal Equipment Type 1, I 인터페이스 권고에 준거한 단말
TE 2
Terminal Equipment Type 2, 기존의 X시리즈, V시리즈 인터페이스 단말
TA
Terminal Adapter, 기존 단말을 I인터페이스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표 2-4 ISDN 장치
이러한 ISDN 장치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표준으로 CCITT에서는 그림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장치 간에 R, S, T, U 등과 같은 접속 규정점을 정의하고 각 접속 규정점 에 따른 각종 통신 프로토콜을 표준화하였다.
그림 2-4 ISDN 장치와 접속 규정점
그림 2-3에서와 같이 R접속 규정점은 비 ISDN 단말기(TE2)를 터미널 어댑터(TA)와 접 속하기 위한 규정이며, S접속 규정점은 ISDN 단말장치(TE1)나 터미널 어댑터(TA)를 가입자 구내 교환장치(NT2)와 접속하기 위한 규정이다. 또한 T접속 규정점은 가입자 구내 교환장치를 가입자 접속망 종단장치(NT1)와 접속하기 위한 규정이며, U접속 규정점은 가 입자 접속망 종단장치를 ISDN 교환기(LE)와 접속하기 위한 규정이다.
2.2.3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ISDN의 채널에는 B채널, D채널, H채널의 3가지 종류가 있다. B채널은 64[kbps] 이하 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정보용 채널이며, D채널은 주로 다이얼링 신호 등을 전송하는 신호용 채널이다. 또한 H채널은 고속 팩시밀리, 움직이는 화상 등과 같은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정보용 채널이다.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UNI : User-Network Interface)상에서 이들 채널을 어떻게 조 합하여 사용 하는가에 따라 사용자·망 인터페이스는 기본(basic) 사용자망 · 인터페이 스, 1차군(primary)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로 분류한다.
(1) 기본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
기본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는 그림 2-5(a)에 나타낼 것처럼 64[kbit / s]의 정보채널 (B채널) 2개와 16[kbit / s]의 제어신호용 채널(D채널) 1개를 포함하는 3채널을 ISDN 의 회선으로 하여 1개의 기존 가입자선으로 제공한다. 이때 정보 채널 2개는 여러 단말 들이 공유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데, 일례로 INS 네트워크에서는 그림 2-4(b)에 나타낸 것처럼 버스 배선으로 최대 8대까지 접속할 수 있으며,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소 등에 적용된다.
그림 2-5 기본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a) 채널구조
최 대 8 대 까 지 접 속 가 능
(b) INS 네트
예를 들면 하나의 전화회선으로 B1채널은 전화를 하면서 B2채널은 팩시밀리 전송이나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한 것을 말한다.
여기서 D채널은 제어신호용이지만 비음성의 패킷 통신에도 이용할 수 있어 최대144
[kbit / s](2 X 64[kbit / s] + 16[kbit / s])의 정보량을 보낼 수 있으며, 각 채널타 입과 채널속도는 다음 표 2-5와 같다.
채 널
채널타입
채널속도
용 도
정보채널
B
64[kbit / s]
이용자의 정보를 전송한다.
회선교환에도 패킷교환에도 이용된다.
H
H0
384[kbit / s]
고속 이용자의 정보를 전송한다.
H1
1536[kbit / s]
신호채널
D
16[kbit / s](기본)
이용자 망사이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정보 채널과 독립하고 있다.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한 정보전송도 된다.
64[kbit / s](1 차군)
표 2-5 채널타입과 채널속도
(2) 1차군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1차군 사용자 · 망 인터페이스는 종래의 펄스 코드 변조(PCM)의 1차군 방식을 가입자선 에 적용한 것이다. PCM 1차군 전송방식은 한국 · 미국 · 일본 · 캐나다 등의 1.544[Mbp
s](NAS)방식과 유럽의 2.048[Mbps](CEPT)방식이 있다. 1.544[Mbps]방식의 채널구조는 64[kbps]의 B채널 23개와 64[kpbs]의 D채널 1개, 그리고 프레임 동기를 위한 1비트 로 이루어지며, 총 193비트를 한 프레임으로 하는 채널 할당방식이다.
한편 2048[kbps]방식의 채널구조는 64[kbps]의 B채널 30개와 64[kbps]의 D채널 1 개, 그리고 맨 앞의 프레임 정렬용 8비트로 이루어지며 총 256비트를 한 프레임으로 하는 채널 할당방식을 취한다.
위와 같은 방식 외에도 1차군 사용자·망 인터페이스에서는 23B + D64, 30B + D64 또 는 4H0, 3H + D64, 5H00 + D64 등을 제공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방식을 표 2-6에 요약하였다.
표 2-6 사용자 망 인터페이스 구조
종류
속도
인터페이스의 구조
명칭
채널구조
기본
1.544[kpbs] 또는 2.048[kbps]
기본 인터페이스
2B + D16
1차군 속도 인터페이스
1차군 B채널 인터페이스
(다중 엑세스)
23B + D64(144[kbps])
30B + D64(2.048[kbps])
1차군 H채널 인터페이스
(고속 엑세스)
4H0 또는
3H0 + D64(1.544[kbps])
5H0 + D64(2.048[kbps])
1차군 H채널 인터페이스
(고속 엑세스)
H11(1.544[kbps])
H12 + D64(2.048[kbps])
1차군 혼합 인터페이스
nB + mH0 + D6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