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간염_ 만성간염환자식단, 만성간염식단, 만성간염치료식단, 만성간염식이요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성간염_ 만성간염환자식단, 만성간염식단, 만성간염치료식단, 만성간염식이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증상 및 식이 원칙, 증상별 식이 요법 실제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3. 금지 식품 및 조리법
4. 1일 영양기준
5.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6. 식단작성
7. 식품구입량(순식품량 × 출고계수)
8. 만드는 방법
9. 증상별 식단모음

본문내용

치즈, 난황, 마요네즈 등이 좋으며 지방산 조성을 고려한다. 흰살 생선, 탈지유, 저지방유, 요구르트 등을 이용한다.
-환자 특유의 기호나 식습관을 식단계획에 반영한다.
-간질환은 비타민 합성과 무기질의 저장량이 감소되므로 비타민과 무기질 함량이 높은 녹황색 채소, 과일류를 충분히 섭취한다.
☞ 이상과 같이 만성 간염환자를 위한 발병초기 단계에서는 유동식을, 회복기에는 5부죽 정도를 준다. 병세가 호전됨에 따라 5부죽→7부죽→전죽→부드러운 일반식으로 서서히 이행한다. 염분 섭취에도 주의한다. 특히 단맛이 강한 음식은 염분 함량도 많아지므로 유의한다.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공급원>
1) 단백질; 밥, 오토밀, 우육, 닭고기, 우유, 생선, 계란, 두부, 콩
☞ 대합탕 / 닭강정 / 장어구이 / 순두부찌개 / 계란 야채말이 / 굴무침 / 바지락국 /
전복구이
2) 지방; 버터, 치즈, 우유, 육류, 계란
3) 탄수화물; 밥, 죽, 빵, 면류, 고구마, 오토밀, 과일, 야채
4) 비타민 및 무기질; 우유, 계란, 호박, 홍당무, 시금치, 유채, 레테스, 토마토, 우유, 콩 국, 캬베츠, 오이, 과일
☞ 양배추쌈 / 콩나물무침 / 쑥절편 / 달래 초무침 / 과일 사라다 / 총각김치 / 파래무 침
- 바지락 엑기스: 양질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B12를 비롯해 칼슘, 철분도 풍부하다. 바지락은 간 기능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된장찌개에 넣어 먹든지 국의 재료로 사용해도 좋다. 바지락 엑기스를 만들어 먹으면 간염 치료에 효과가 있고 숙취에도 좋다.
- 배 식초 절임: 간의 염증으로 인해 생기는 황달 증세에 효과가 있다. 배의 생즙이나 배 를 달인 물, 배꿀 단지 등을 민간요법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황달에는 배를 깎아 식 초물에 며칠간 담가 만드는 배 식초 절임이 잘 듣는다.
- 미꾸라지탕: 미꾸라지는 철분, 비타민 B1.B2, 칼슘, 양질의 단백질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뇨.해독 작용이 있으며 황달이나 숙취에도 좋다. 자양.강장 식품으로 옛 부터 애 용되어 왔고, 간 기능의 회복에 특히 좋다.
- 사철쑥 달인 물: 잎, 줄기, 꽃에 이뇨 작용과 해열 작용의 성분이 있어 발열성 황달에 잘 듣는다. 최근에는 간 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자료가 발표되어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꽃이 피었을 때 줄기에서 따내어 그늘진 곳에서 말린 것을 달여 마신다. 사철 쑥 8g에 치자열매 3g, 대황 1g을 함께 넣고, 물 2컵 반을 부어 달인다. 물이 1컵 정도로 줄 어들면 따뜻한 상태에서 마신다.
- 녹두와 대추 달인 물: 간경변으로 인해 배에 물이 찰 때는 녹두 30g과 대추 20g에 물 2 컵을 붓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끓여 싱겁게 간을 한 다음 하루 2회씩 마시면 좋다.
- 순무 달인 물: 꽃이나 씨를 달여 마시면 간의 활동을 돕고 간염이나 황달을 진정시켜 준다. 봄철에 딴 순무의 꽃을 그늘 에 말려 잘게 썰어 (10~15g) 물 3컵을 붓고 달여 절 반 정도 줄인 것을 마신다. 순무씨는 날것을 곱게 갈아 하루 10g을 3컵의 물에 달여 3회 나누어 따뜻한 상태로 데워 마신다.
- 복숭아: 싱싱한 복숭아를 먹으면 묵은 피를 내몰고 간의 기능을 활발하게 해주는 작용 이 있어 숙취로 인한 갈증, 간으로 생긴 복수(배에 물이 차는 증세)에 효과가 있다.
- 사과꿀즙: 황달기가 나타났을 때 사과를 강판에 갈아서 꿀에 넣어 먹으면 효과가 있다. 하루 5회 정도 먹도록 하며 사과 꿀 즙 먹을 때는 다른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3. 금지 식품 및 조리법
- 간염에 나쁜 식사: 방부제를 첨가한 음식 (햄, 라면, 피자, 햄버거, 포테이토칩 등)
다량의 향신료를 첨가한 음식 (겨자, 후추 ,고추 가루 ,카레 등)
다량의 카페인이 포함된 음식 (커피, 홍차, 녹차 등)
착색료를 첨가한 음식
알콜 음료(술 등)
4. 1일 영양기준
열량: 2500kcal, 당질: 390g, 단백질: 110g, 지방: 50g
콜레스테롤: 300mg이하, 염분: 35g(3500mg)이하
( ☞ 만성간염은 1일 열량 2,300~2,500㎉, 단백질 100~120g, 지질 50~60g,
탄수화물 350~400g 이 기준이므로 이렇게 적정하였다. )
교환군
식품군
교환단위수
당질(g)
단백질(g)
지방(g)
열량(kcal)
5
우유군
2
22
12
12
250
3
채소군
6
18
12
-
120
6
과일군
8.5
102
-
-
425
곡류제외한 당질함유
식품군에서 나온 당질 양
142
390 g : 권장당질 양
-142 g : 곡류를 제외한 식품군에서 나온 당질 양
254 g 당질 ÷ 23 = 곡류군 교환단위수 11
(곡류 1교환단 23g의 당질)
1
곡류군
11
253
22
-
1100
어육류를 제외한 단백질함유식품군
에서 나온 단백질 양
46
108 g : 권장단백질양
- 46 g : 육류를 제외한 식품군에서 나온 단백질 양
62 g 단백질 ÷ 8 = 어육류군 교환단위수 8
(어육류군 1교환당 8g의 단백질)
2
어육류군
저지방
5
-
40
10
250
중지방
3
-
24
15
225
고지방
-
-
-
-
-
지방군을 제외한 지방함유식품에서 나온 지방 양
37
52 g : 권장지방 양
- 37 g : 지방군을 제외한 식품군에서 나온 지방 양
15 g 지방 ÷ 5 = 지방군 교환단위수 3
4
지방군
3
-
-
15
135
총 영 양 량
395
110
52
2505
결 과
+5 g
당질
-
+2 g
지방
+5 kcal
열량
5.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교환단위수
아침
간식
점심
간식
저녁
간식
열량(Kcal)
곡 류
11
3
4
4
1100
어륙류

5
1
2
2
250

3
1
1
1
225

채 소
6
2
2.5
1.5
120
지 방
3
1
1
1
135
우 유
2
1
0.5
0.5
250
과 일
8.5
1.5
4
3
425
열량계
510
200
670
262.5
575
287.5
2505
%
20.4
8.0
26.7
10.5
22.9
11.5
100
6. 식단작성
구분
식단
재료
분량 (g)
교환단위수
열량 (kcal)
당질 (g)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4.08.08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3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