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사 개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영화사 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 영화사>

들어가기

(1)한국영화의 흐름
<초창기>
<개척기>
<암흑기>
<광복 및 동란기>
<모색기>
<현재>

(2)영화유통과정(배급시스템)(동아일보 발췌문)

(3)영화배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맺음말

본문내용

1억원의 흥행수익을 올린 영화의 경남 전체(부산 제외)흥행수익을 5000만원으로 정해 판권을 매긴다는 뜻이다.
(3)영화배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그러나 이 같은 주먹구구식 방법으로는 영화의 전국 흥행수익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뿐더러 상당한 수익이 누락되기 일쑤다. 영화 유통을 국내 영화산업에서 가장 낙후된 분야로 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 배급 관계자는 “‘우라’방식을 통해 영화를 배급하면 직배를 했을 때 얻을 수 있는 수익의 20%가량을 잃게 된다”고 밝혔다.“지난해 삼성이 전국에 직배한 한국영화‘약속’의 충청지역 흥행수익은 3억6100여만원, 이중 대전의 흥행수익은 1억9800여만원이었다. 이를,‘우라’방식으로 계산해보면 충청지역의‘우라’는 대전의 50%이므로 9900여만원이 된다. 결국 지역 전체 흥행수익은 2억9700여만원이 되어 직배를 했을 때보다 6400여만원을 손해 보는 셈이다.”이 때문에 제작자가 한 편의 영화로 돈을 번 뒤 다음 영화에 재투자하는 확대 재생산이 어려워진다는 주장이다. 이 같은 전근대적인 구조에다 미국 배급사의 ‘영화 끼워 팔기’에 밀려 한국영화는 이중의 피해를 겪고 있다.‘끼워 팔기’란 대규모 영화의 개봉전후에 작은 영화를 묶어 파는 것인데, 영화인들이 스크린쿼터 축소에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도 이 때문이다.“지금도 스크린쿼터를 잘 지키지 않는 극장주들이 그나마 스크린쿼터가 없어지면 한 회사마다 1년에 영화를 20편 이상씩 푸는 미국 배급사들의‘끼워 팔기’요구에 모두 굴복할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한국영화의 상영과 기획제작이 요원해질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영화관계자들은 이 같은 배급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할리우드 배급사에 맞설 수 있는 국내 배급사를 육성하고 통합전산망을 구축, 전국 관객과 흥행현황을 투명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맺음말
한국영화는 특히나 사회의 영향이 매우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검열과 삭제로 인해 그들의 표현의 자유는 묵살당한 채 영화가 존속되어 가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시점에 우리의 영화는 사회체제 속에서 굴하지 않는, 오히려 그러한 사회를 향해 비판을 할 수 있는 대중문화의 꽃이 되었다. 그러나 영화계에서는 장기적으로 우리 영화의 제작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 영화인들은 자본 투자의 다변화를 그 첫째 목표로 꼽는다. 먼저 방송과 영화의 관계를 재정립하는 통합시청각정책 이 우선돼야 한다. 선진국처럼 방송사가 공동 기획·공동 참여한 뒤 이를 사들여 의무적으로 방영하는 ‘한국 영화쿼터제’가 필요하다. 또 최근 정부가 발표한 문화산업진흥기본법이 하루빨리 자리를 잡아 자본 걱정 없이 영화가 제작돼야 한다는 것이다. 우량 투자자가 유치되고, 투자조합이 결성된다면 지금보다는 한결 나은 제작 환경에서 좋 은 영화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는 유통 구조 개선. 좋은 영화를 제작하고도 유통망을 확보하지 않아 사장되는 모순이 사라져야 한다. 최근 몇몇 영화제작 사들이 유통망 확보에 나서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은 좋은 징조가 아닐 수 없다. 또 인력 문제도 중요하다. 현재 충무로에서 활동 중인 젊은 영화인들 은 80년대 영상문화의 수혜를 받았던 세대들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층 이 엷어서 좀더 많은 신진세력들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공 기금을 조성하여 신인지원프로그램을 운영, 새로운 세대의 영화산업 참여를 적극 유도해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된다면 비록 외국에 비해서는 아직까지 영화소재의 다양성과, 그 규모가 떨어지긴 하지만, 현재의 발전하고 있는 영화산업을 본다면, 우리나라 역시 헐리우드 못지않은 영화시장을 갖게 될 것이라는 것이 우리의 전망이다.

추천자료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8.21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