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길
Ⅱ. 시 쓰는 걸인 이외수.
Ⅲ. 도가의 중요 사상들
Ⅳ. 걸인의 사상 옅보기
Ⅳ-1. 마음의 눈으로 보라.
Ⅳ-2. 도인과 신선
Ⅴ. 맺음.
Ⅵ. 참고문헌
Ⅱ. 시 쓰는 걸인 이외수.
Ⅲ. 도가의 중요 사상들
Ⅳ. 걸인의 사상 옅보기
Ⅳ-1. 마음의 눈으로 보라.
Ⅳ-2. 도인과 신선
Ⅴ. 맺음.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자신을 맞추어서 오히려 만족할 수 있으며, 자신을 굽혀서 오히려 보전할 수 있고, 자신을 대중의 뒤에 두어서 오히려 대중의 앞에 있을 수 있다. 노자는 이러한 도리에 의거하여 사람들에게 치욕을 참고 분수를 지켜야지 매사에 너무 적극적으로 추구해서는 안된다고 훈계하였는데, 이는 결국 세상과 다투지 말고 조용히 무위해야 한다는 것이다.
Ⅳ. 걸인의 사상 옅보기
Ⅳ-1. 마음의 눈으로 보라.
「인간들은 진리와 사랑을 가장 아름다운 정신의 양식으로 평가 한다. 그러나 깨달음을 얻기 이전에는 진리와 사랑도 욕망도 허영의 껍질에 불과 하다. 욕망과 허영의 껍질은 부분과 유한에 종속(種屬)되어 있고, 진리와 사랑의 알맹이는 전체와 무한에 영속(永續)되어 있다. 그러나 인간들은 육안(肉眼)과 뇌안(惱眼)으로만 만물의 진정성을 보려고 드는 맹점을 가지고 있다. 인간들 중에는 박사들도 부지기수고 도사들도 부지기수다. 하지만 심안(心眼)과 영안(眼)을 뜨고 만물의 진정성을 볼 수 있는 인간들은 극히 드물다.」
「“옷이란 껍데기에 불과해요, 중요한 건 마음이지요.”
동생의 말을 빌면 아직도 깊은 산중에는 우리가 알 수 없는 어떤 문제 하나를 놓고 끊임없이 마음을 갈고 닦으면서 구도의 심지를 태우는 사람들이 수없이 많다는 거였다. 그리고 우리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경지에로 몰입해서 초자연적인 상태에까지 도달해 있는 사람이 부지기수에 달한다는 얘기였다.」
「“마음이 중요합니다. 우선 이 세상에서 지금까지 배워온 모든 것들을 전부 마음 안에서 추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마음을 투명하게 비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다음에 그 투명하게 비어 있는 마음 안에다 좋은 것들을 다시 채워 넣은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을 비우는 것도 마음으로 하고 마음을 채워 넣는 것도 마음으로 합니다. 안 되면 몇 백 번이고 다시 연습합니다. 나중에는 마음먹기만 하면 아무리 견고한 벽도 무너뜨릴 수가 있게 됩니다.”」
‘천하만물을 아름답게 보는 눈을 가지게 되면 천하만물을 사랑하는 눈도 가지게 되리니 그때는 천하만물이 어디로 가는지를 절로 깨닫게 되리라.’
육체의 눈이 아닌 마음과 영혼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 어느 것 하나 아름답지 않은 것이 없다 라고 했다. 개인의 영달을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뇌물착복, 공금 횡령, 상습 탈세, 부정부패가 남발하고 현실에만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는 시대. 현실을 움직일 수 있는 재산과 명예와 학벌과 권력 따위가 세상에 제일가는 가치가 되어 버린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마음과 영혼의 눈이 멀어가는 것도 모르고 물질에 유혹 앞에 너무도 쉽게 무너지고 있다. 심안과 영안으로 세상을 보고 우주를 느끼면 바로 내가 우주의 주인이 되는 것이라는 도가의 사상은 머리로 배우고 익히는 것이 아닌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Ⅳ-2. 도인과 신선
도가의 사상에는 도인과 신선들이 많이 나온다. 도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들. 도가에서 궁극의 경지에 오르면 신선이 되면 우주의 이치를 앉은 자리에서 모두 꾀
Ⅳ. 걸인의 사상 옅보기
Ⅳ-1. 마음의 눈으로 보라.
「인간들은 진리와 사랑을 가장 아름다운 정신의 양식으로 평가 한다. 그러나 깨달음을 얻기 이전에는 진리와 사랑도 욕망도 허영의 껍질에 불과 하다. 욕망과 허영의 껍질은 부분과 유한에 종속(種屬)되어 있고, 진리와 사랑의 알맹이는 전체와 무한에 영속(永續)되어 있다. 그러나 인간들은 육안(肉眼)과 뇌안(惱眼)으로만 만물의 진정성을 보려고 드는 맹점을 가지고 있다. 인간들 중에는 박사들도 부지기수고 도사들도 부지기수다. 하지만 심안(心眼)과 영안(眼)을 뜨고 만물의 진정성을 볼 수 있는 인간들은 극히 드물다.」
「“옷이란 껍데기에 불과해요, 중요한 건 마음이지요.”
동생의 말을 빌면 아직도 깊은 산중에는 우리가 알 수 없는 어떤 문제 하나를 놓고 끊임없이 마음을 갈고 닦으면서 구도의 심지를 태우는 사람들이 수없이 많다는 거였다. 그리고 우리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경지에로 몰입해서 초자연적인 상태에까지 도달해 있는 사람이 부지기수에 달한다는 얘기였다.」
「“마음이 중요합니다. 우선 이 세상에서 지금까지 배워온 모든 것들을 전부 마음 안에서 추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마음을 투명하게 비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다음에 그 투명하게 비어 있는 마음 안에다 좋은 것들을 다시 채워 넣은 것이 중요합니다. 마음을 비우는 것도 마음으로 하고 마음을 채워 넣는 것도 마음으로 합니다. 안 되면 몇 백 번이고 다시 연습합니다. 나중에는 마음먹기만 하면 아무리 견고한 벽도 무너뜨릴 수가 있게 됩니다.”」
‘천하만물을 아름답게 보는 눈을 가지게 되면 천하만물을 사랑하는 눈도 가지게 되리니 그때는 천하만물이 어디로 가는지를 절로 깨닫게 되리라.’
육체의 눈이 아닌 마음과 영혼의 눈으로 세상을 보면 어느 것 하나 아름답지 않은 것이 없다 라고 했다. 개인의 영달을 위해서라면 물불을 가리지 않고 뇌물착복, 공금 횡령, 상습 탈세, 부정부패가 남발하고 현실에만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는 시대. 현실을 움직일 수 있는 재산과 명예와 학벌과 권력 따위가 세상에 제일가는 가치가 되어 버린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마음과 영혼의 눈이 멀어가는 것도 모르고 물질에 유혹 앞에 너무도 쉽게 무너지고 있다. 심안과 영안으로 세상을 보고 우주를 느끼면 바로 내가 우주의 주인이 되는 것이라는 도가의 사상은 머리로 배우고 익히는 것이 아닌 마음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다.
Ⅳ-2. 도인과 신선
도가의 사상에는 도인과 신선들이 많이 나온다. 도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들. 도가에서 궁극의 경지에 오르면 신선이 되면 우주의 이치를 앉은 자리에서 모두 꾀
추천자료
기형도의 시세계 서술시로 분석하기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기말 4단원 시의 세계 예상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기말 4단원 01시의 세계 예상문제
[빗물이용]빗물이용의 필요성과 빗물이용 현황, 빗물이용 관련규정, 빗물이용 시 얻을 수 있...
[인문과학] [고전문학A+] 호남가단(湖南歌壇) 시의 특징,대표문인(송순,정철)과 작품 및 면앙...
유치환의 청마시집을 중심으로 한 인생파 시의 문학사적 의의
삼봉(三峰) 정도전(鄭道傳)의 한시(漢詩)연구
2011년 2학기 일본의 시와 노래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5)국어-나눔의 기쁨-사과하고 싶은 내용을 시로 쓰기(세안)
학교폭력 현황, 원인 유형 및 발생 시 처리과정, 기관사례 청소년 폭력 예방재단
[광고학_]__경기침체시의_마케팅전략
2013년 2학기 일본의시와노래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면접 시 종결하기 어려운 사례를 선정하여 사회복지전문가의 입장에서 극복전략을 제시하시오.
한용운(韓龍雲)이 말하는 사상 연구 - 침묵에 관한 연구, 시에 나타난 님의 견해, 승려 한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