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담배(흡연)의 정의
3. 금연성공과 관련된 요인
4. 금연사업의 목적 및 추진방향
5. 금연사업의 목표
6. 금연사업의 세부영역 추진사업 내용, 방법
7. 결론
8. 참고자료
2. 담배(흡연)의 정의
3. 금연성공과 관련된 요인
4. 금연사업의 목적 및 추진방향
5. 금연사업의 목표
6. 금연사업의 세부영역 추진사업 내용, 방법
7. 결론
8. 참고자료
본문내용
성이 크므로 금연을 위한 사회정책적 제도 및 가격정책이 포괄적으로 강화될 필요성이 커졌다.
사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지식확산및도구개발: 금연환경조성을위한연구및실용적지식생산(예: 초중고교과서
개편안, 금연시설설치및관리방안등)
○ 금연조례, 금연구역 설정 및 관리, 흡연시설 설치
○ 담배규제 및 국제협력 : FCTC 준수 추진 및 국제 공동조사 참여
○ 제조판매 금지 추진
사업의 주체와 참여기관 단체는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정부 각 부문 간 협력을 한다.
7. 결론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 금연사업은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함으로써 흡연율을 낮추고 비흡연자를 보호하는 데 주요 목표를 두고 있고, 이러한 모든 과정에서 형평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정책과 사업추진을 지향한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 금연사업 목표는 청소년 흡연율을 낮추고, 일반계고, 전문계고 흡연율의 차이를 줄이는데 목표를 둔다.
중고생 흡연율 2008년 남자 16.8%, 여자 8.2%를 2020년까지 남자 12.0%, 여자 6.0%로 감소시킨다.
성인 흡연율을 감소시키며, 성인 흡연율의 지역간, 소득수준간 차이를 감소시킨다.
20세이상 성인남성흡연율을 2008년 47.7%에서 2020년 29.0%로 낮춘다.
흡연 시작률을 감소시킨다.
남학생의 중학교이전 흡연경험율을 2008년 10.3%에서 2020년 5.0%로 감소시킨다.
흡연자의 금연 의지 및 시도율을 제고한다.
성인 남자 흡연자의 금연의지율을 2008년 18.1%에서 2020년 40.0%로 증대한다.
간접흡연율을 감소시킨다.
청소년의 가정 간접흡연경험율을 2008년 46.8%에서 2020년 5.0%로 감소시킨다.
금연구역을 확대한다.
완전금연구역으로 지정된 사업장의 분율을 2020년 95.0%까지 확대한다.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있다.
첫째, 주기적으로 흡연과 관련된 자극을 통해 금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책자를 배부한다.
2010년 6월판 USDHHS 가이드라인에 나와 있는 증거표에 따르면, 흡연자가 “스스로” 담배를 6개월간 끊을 확률은 대략 16%이다. 교육, 새로운 행동 기술, 지속적인 지원은 이러한 확률을 세배로 껑충 올릴 수 있다.
둘째, 정기적 검진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한다.
금연요법 연구결과는 자신 앞에 놓인 도전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 2002년 미국 흡연자의 41.2%는 적어도 하루 동안 금연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20명 중 1명만이 1년 동안 지속적인 금연에 성공하였다. 그러므로 정기적 검진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하여 금연을 성공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흡연 상황에 처했을 때 대처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 전략 관련 책자를 배부한다.
금연클리닉이나 금연전화(1544-9030)에 도움을 구하여 구체적 전략 관련 책자를 구한다.
넷째, 금단증상을 극복하기 위한 대처법을 꾸준히 실행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의약 산업은 니코틴 대체 상품(NRT)을 사용할 때 성공 가능성에 대하여 흡연자들에게 완전 솔직하지는 않다. 2003년 3월의 연구(Hughes)에서 7가지 처방전 없이 살수 있는 니코틴 패치와 껌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피실험자의 7%만이 6개월 뒤에도 여전히 흡연을 하고 있지 않았다.
다섯째, 금연 결과의 긍정적 경험을 가진 실제적 사례를 찾아 금연유지에 도움을 준다.
일년 동안 성공적으로 금연할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에 당신과 동시에 금연을 한 금연 친구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고 먼저 담배를 끊은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금연 단체 사이트를 방문한다.
여섯째, 금연 중 유혹을 경험한 사례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금연을 유지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처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니코틴의 반감기는 두 시간이다. 다시 채워지지 않으면 혈액 속에 남아있는 니코틴의 양은 두 시간마다 반으로 떨어진다. 갑작스레 금연했을 때, 니코틴의 100%와 대사산물 90%는 72시간 내에 몸 밖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면 뉴런의 감각 복귀(아세틸콜린에 대한)가 완전한 가동을 시작한다.
금단 증상은, 이성적인 범위 내에서, 금연 시작 3일 동안 대부분 느끼게 될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자신의 몸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우려될만할 경우 의사를 찾도록 한다.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지속적으로 치유되고 있다는 좋은 징조로 보도록 한다.
일곱째, 금연을 이루게 된 후 여러 가지 장점들을 생각 하면서 금연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담배 한 모금에는 500여 가지의 가스와 2,500가지의 입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3,000가지 이상의 화학 물질 중 하나 이상은 갑상선병(요오드), 천식(기관지확장제), 혹은 심지어 만성 구조적 우울(니코틴)과 같은 잠재적인 건강상의 문제를 감추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당신이 피우는 담배의 화학 성분들이 현재 복용 중인 약물과 상호 작용하여 조정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주의를 집중하고 있다가 조금이라도 걱정된다면 의사 혹은 약사를 찾아가 보도록 한다.
여덟째, 대체방법 중 행동요법인 운동이나 금연침 같은 경우는 금연클리닉 사회 지원을 통해 유지를 지지한다.
8. 참고자료
석소현, 성인 남성의 흡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07
주영수 등저 / 식품과 건강정보,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1
류호영(2009). 한국 금연정책의 사회적 효과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Mendez D, Warner K (2008). Setting a challenging yet realistic smoking prevalence
이주열「평생국민건강관리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target for healthy perople 2020: learning from the California experience. AJPH
98:3:556.
윤명옥 (2006). 우울.스트레스와 금연유지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사업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지식확산및도구개발: 금연환경조성을위한연구및실용적지식생산(예: 초중고교과서
개편안, 금연시설설치및관리방안등)
○ 금연조례, 금연구역 설정 및 관리, 흡연시설 설치
○ 담배규제 및 국제협력 : FCTC 준수 추진 및 국제 공동조사 참여
○ 제조판매 금지 추진
사업의 주체와 참여기관 단체는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정부 각 부문 간 협력을 한다.
7. 결론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 금연사업은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함으로써 흡연율을 낮추고 비흡연자를 보호하는 데 주요 목표를 두고 있고, 이러한 모든 과정에서 형평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정책과 사업추진을 지향한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에서 금연사업 목표는 청소년 흡연율을 낮추고, 일반계고, 전문계고 흡연율의 차이를 줄이는데 목표를 둔다.
중고생 흡연율 2008년 남자 16.8%, 여자 8.2%를 2020년까지 남자 12.0%, 여자 6.0%로 감소시킨다.
성인 흡연율을 감소시키며, 성인 흡연율의 지역간, 소득수준간 차이를 감소시킨다.
20세이상 성인남성흡연율을 2008년 47.7%에서 2020년 29.0%로 낮춘다.
흡연 시작률을 감소시킨다.
남학생의 중학교이전 흡연경험율을 2008년 10.3%에서 2020년 5.0%로 감소시킨다.
흡연자의 금연 의지 및 시도율을 제고한다.
성인 남자 흡연자의 금연의지율을 2008년 18.1%에서 2020년 40.0%로 증대한다.
간접흡연율을 감소시킨다.
청소년의 가정 간접흡연경험율을 2008년 46.8%에서 2020년 5.0%로 감소시킨다.
금연구역을 확대한다.
완전금연구역으로 지정된 사업장의 분율을 2020년 95.0%까지 확대한다.
흡연의 예방과 흡연자의 금연, 그리고 이를 지지하는 금연 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있다.
첫째, 주기적으로 흡연과 관련된 자극을 통해 금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 및 책자를 배부한다.
2010년 6월판 USDHHS 가이드라인에 나와 있는 증거표에 따르면, 흡연자가 “스스로” 담배를 6개월간 끊을 확률은 대략 16%이다. 교육, 새로운 행동 기술, 지속적인 지원은 이러한 확률을 세배로 껑충 올릴 수 있다.
둘째, 정기적 검진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한다.
금연요법 연구결과는 자신 앞에 놓인 도전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평가하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다. 2002년 미국 흡연자의 41.2%는 적어도 하루 동안 금연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불행히도, 20명 중 1명만이 1년 동안 지속적인 금연에 성공하였다. 그러므로 정기적 검진에 대한 필요성을 교육하여 금연을 성공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흡연 상황에 처했을 때 대처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 전략 관련 책자를 배부한다.
금연클리닉이나 금연전화(1544-9030)에 도움을 구하여 구체적 전략 관련 책자를 구한다.
넷째, 금단증상을 극복하기 위한 대처법을 꾸준히 실행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의약 산업은 니코틴 대체 상품(NRT)을 사용할 때 성공 가능성에 대하여 흡연자들에게 완전 솔직하지는 않다. 2003년 3월의 연구(Hughes)에서 7가지 처방전 없이 살수 있는 니코틴 패치와 껌에 대한 연구를 한 결과, 피실험자의 7%만이 6개월 뒤에도 여전히 흡연을 하고 있지 않았다.
다섯째, 금연 결과의 긍정적 경험을 가진 실제적 사례를 찾아 금연유지에 도움을 준다.
일년 동안 성공적으로 금연할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에 당신과 동시에 금연을 한 금연 친구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고 먼저 담배를 끊은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금연 단체 사이트를 방문한다.
여섯째, 금연 중 유혹을 경험한 사례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 금연을 유지 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처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니코틴의 반감기는 두 시간이다. 다시 채워지지 않으면 혈액 속에 남아있는 니코틴의 양은 두 시간마다 반으로 떨어진다. 갑작스레 금연했을 때, 니코틴의 100%와 대사산물 90%는 72시간 내에 몸 밖으로 나가게 된다. 그러면 뉴런의 감각 복귀(아세틸콜린에 대한)가 완전한 가동을 시작한다.
금단 증상은, 이성적인 범위 내에서, 금연 시작 3일 동안 대부분 느끼게 될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이후에는 자신의 몸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우려될만할 경우 의사를 찾도록 한다.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지속적으로 치유되고 있다는 좋은 징조로 보도록 한다.
일곱째, 금연을 이루게 된 후 여러 가지 장점들을 생각 하면서 금연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담배 한 모금에는 500여 가지의 가스와 2,500가지의 입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3,000가지 이상의 화학 물질 중 하나 이상은 갑상선병(요오드), 천식(기관지확장제), 혹은 심지어 만성 구조적 우울(니코틴)과 같은 잠재적인 건강상의 문제를 감추고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당신이 피우는 담배의 화학 성분들이 현재 복용 중인 약물과 상호 작용하여 조정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주의를 집중하고 있다가 조금이라도 걱정된다면 의사 혹은 약사를 찾아가 보도록 한다.
여덟째, 대체방법 중 행동요법인 운동이나 금연침 같은 경우는 금연클리닉 사회 지원을 통해 유지를 지지한다.
8. 참고자료
석소현, 성인 남성의 흡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07
주영수 등저 / 식품과 건강정보, 동아대학교 출판부, 2011
류호영(2009). 한국 금연정책의 사회적 효과 분석.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Mendez D, Warner K (2008). Setting a challenging yet realistic smoking prevalence
이주열「평생국민건강관리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target for healthy perople 2020: learning from the California experience. AJPH
98:3:556.
윤명옥 (2006). 우울.스트레스와 금연유지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관한 연구
- 건강증진
- 정신건강증진
- [생활과건강]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의 내용과 사업 활동의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의료소비자...
- 갱년기(폐경기) 여성의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PPT
- [건강증진] 도시와 농어촌 건강관리 특징 및 현황
- 우리나라의 건강증진 정책
- 유아건강교육의 목적과 유아건강증진을 위한 사전예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제시한 사전예방...
- 건강증진사업
- 건강증진과별사업내용
- 9. 노인건강증진사업
- 지역사회간호학-건강증진- 개념, 역사, 원칙
- 연대. 연세대학교. RN-BSN. 건강증진. 개인과제 3. 건강증진 관련 이론들 중 2개 이론을 선정...
-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