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사극에서 본 의복
3. 풍속화에서 본 의복
4. 조선시대 남성의 의복
5.조선시대 여성의 의복
-장옷과 쓰개치마
-저고리의 변화
-조선시대 여성의 속옷
-상박하후
2. 사극에서 본 의복
3. 풍속화에서 본 의복
4. 조선시대 남성의 의복
5.조선시대 여성의 의복
-장옷과 쓰개치마
-저고리의 변화
-조선시대 여성의 속옷
-상박하후
본문내용
. 흰색 깃은 남자를 마주치면 자신의 얼굴을 가리기 위해 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주름을 겹쳐 잡아 머리 위로 볼록하게 이마에서부터 턱으로 돌려쓰고, 허리에 달린 양쪽 끈을 턱밑으로 모아 흘러내리지 않도록 손으로 잡고 다녔다.
㉡저고리의 변화
*초기
저고리가 엉덩이까지 내려올 정도로 길었고, 남자 옷처럼 폭이 넓다. 소매 또한 풍성하고 길었던 반면, 고름은 좁고 짧다. 긴 저고리는 잘 벌어지지 않아서 고름이 클 필요가 없었기 때문 이었다. 깃 또한 목까지 올라올 정도로 높았다. 치마는 현재의 치마 길이에 비해 매우 짧은데, 당시에는 저고리 길이가 길었던 관계로 허리춤에 치마를 매어 입었기 때문이다. 치마폭은 10폭 정도로 6폭이 기준인 지금 치마보다 넓다.
*중기
저고리가 초기에 비해서 꽤나 짧아지고, 높고 날카로웠던 깃의 모양도 많이 변했다. 넓고 평평했던 소매도 꽤 좁아졌다. 점점 짧아지던 저고리의 길이가 임진왜란을 계기로 폭발적으로 짧아지기 시작하였다. 고리가 짧아지는 속도에 비례하여, 치마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허리선이 점점 위로 올라오면서 길고 넓어지게 되었다. 그곳에 자수를 놓거나 노리개를 달았다. 또한 활동의 자유를 위해 서민층 여성들에게서 볼 수 있는 치마 밑 속곳의 노출이 있는데, 이 시기에는 기생 을 중심으로 복식에서 성적 미감을 자극하는 장식으로 공공연하게 나타났다.
*후기
여자저고리 는 급속도로 좁고 짧아지는 모습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은 후기로 갈수록 더욱 현저해졌다. 깃은 이전의 넓적한 목판깃 대신 작고 유려한 모양의 당코깃이 많이 쓰였으며, 깃의 너비도 좁아지고 섶도 작게 줄어들었다. 이에 반하여 고름은 길이가 늘어났는데 저고리가 ㅖ아 지면서 작은 고름으로는 이를 여미기가 힘이 들었던 것이다. 실물을 보면 가슴은 가리지도 못할만큼 저고리 길이가 짧고 소매도 매우 좁아서 착용 시에는 터질 듯이 몸을 압박하여 몸선이 드러나게 된다. 이와 함께 가슴의 노출을 막기 위해 치마 허리위에 가짜 허리띠를 만들어 한 장더 착용하는 풍속이 생겼다.
㉢조선시대 여성의 속옷
*다리속곳
속속곳이 없어지면서부터 흔히 입었으며 살에 직접 닿는 것이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흰 무명이나 모시, 베 등을 사용하였다. 1920년 무렵부터는 무명으로 된 짧은 팬티로 대체되었다.
*속속곳
다리속곳을 입지 않을 경우 가장 속에 입는 것으로 지금의 팬티와 같다. 가랑이 폭은 넓고 밑이 막혔으며 용변을 볼 때는 부리를 걷었다.
*단속곳
치마 바로 안에 입는 옷으로 모양은 속속곳과 같으나 크기가 조금 크다. 치마보다는 길이가 조금 짧으며 고급옷감을 쓰고 바느질도 정교하게 하였다. 지금의 속치마와 같은 용도였다.
*너른바지
단속곳 형이며 조선시대 상류층 여자들이 정장할 때 하체를 더욱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입었다.
*고쟁이
차마 속바지를 벗어버릴 수 없었던 그들에게 여름의 더위는 최악의 고난이었다. 이 때, 더위를 식혀 줄 수 있는 물건으로 허리말기 아래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고쟁이가 등장한다.
*개짐
가장 많이 알려진 재료로는 무명과 삼베이다. 무명은 흡수력이 좋고 부드러우며, 삼베는 세탁이 용이하다는 장점이있었다.
㉣상박하후
여성복식은 조선후기에 들어서 여성들의 복식은 다분히 성적인 매력을 강조하도록 변화하였다. 그 유행의 중심에는 기생들이 있었습니다. 속곳, 바지, 속속곳, 다리속곳, 너른바지 등등 이름도 다양한 속옷들을 최소 5겹 이상 껴입어 하체를 부풀리는 것. 가냘픈 여성의 상체의 곡선이 드러나는 좁고 짧은 저고리와 하체를 강조한 풍성하고 긴 치마가 등장하여 양반층 여성에게까지 유행이 확대. 하류층의 패션이 위로 전달된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고리의 변화
*초기
저고리가 엉덩이까지 내려올 정도로 길었고, 남자 옷처럼 폭이 넓다. 소매 또한 풍성하고 길었던 반면, 고름은 좁고 짧다. 긴 저고리는 잘 벌어지지 않아서 고름이 클 필요가 없었기 때문 이었다. 깃 또한 목까지 올라올 정도로 높았다. 치마는 현재의 치마 길이에 비해 매우 짧은데, 당시에는 저고리 길이가 길었던 관계로 허리춤에 치마를 매어 입었기 때문이다. 치마폭은 10폭 정도로 6폭이 기준인 지금 치마보다 넓다.
*중기
저고리가 초기에 비해서 꽤나 짧아지고, 높고 날카로웠던 깃의 모양도 많이 변했다. 넓고 평평했던 소매도 꽤 좁아졌다. 점점 짧아지던 저고리의 길이가 임진왜란을 계기로 폭발적으로 짧아지기 시작하였다. 고리가 짧아지는 속도에 비례하여, 치마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허리선이 점점 위로 올라오면서 길고 넓어지게 되었다. 그곳에 자수를 놓거나 노리개를 달았다. 또한 활동의 자유를 위해 서민층 여성들에게서 볼 수 있는 치마 밑 속곳의 노출이 있는데, 이 시기에는 기생 을 중심으로 복식에서 성적 미감을 자극하는 장식으로 공공연하게 나타났다.
*후기
여자저고리 는 급속도로 좁고 짧아지는 모습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은 후기로 갈수록 더욱 현저해졌다. 깃은 이전의 넓적한 목판깃 대신 작고 유려한 모양의 당코깃이 많이 쓰였으며, 깃의 너비도 좁아지고 섶도 작게 줄어들었다. 이에 반하여 고름은 길이가 늘어났는데 저고리가 ㅖ아 지면서 작은 고름으로는 이를 여미기가 힘이 들었던 것이다. 실물을 보면 가슴은 가리지도 못할만큼 저고리 길이가 짧고 소매도 매우 좁아서 착용 시에는 터질 듯이 몸을 압박하여 몸선이 드러나게 된다. 이와 함께 가슴의 노출을 막기 위해 치마 허리위에 가짜 허리띠를 만들어 한 장더 착용하는 풍속이 생겼다.
㉢조선시대 여성의 속옷
*다리속곳
속속곳이 없어지면서부터 흔히 입었으며 살에 직접 닿는 것이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흰 무명이나 모시, 베 등을 사용하였다. 1920년 무렵부터는 무명으로 된 짧은 팬티로 대체되었다.
*속속곳
다리속곳을 입지 않을 경우 가장 속에 입는 것으로 지금의 팬티와 같다. 가랑이 폭은 넓고 밑이 막혔으며 용변을 볼 때는 부리를 걷었다.
*단속곳
치마 바로 안에 입는 옷으로 모양은 속속곳과 같으나 크기가 조금 크다. 치마보다는 길이가 조금 짧으며 고급옷감을 쓰고 바느질도 정교하게 하였다. 지금의 속치마와 같은 용도였다.
*너른바지
단속곳 형이며 조선시대 상류층 여자들이 정장할 때 하체를 더욱 풍성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입었다.
*고쟁이
차마 속바지를 벗어버릴 수 없었던 그들에게 여름의 더위는 최악의 고난이었다. 이 때, 더위를 식혀 줄 수 있는 물건으로 허리말기 아래에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고쟁이가 등장한다.
*개짐
가장 많이 알려진 재료로는 무명과 삼베이다. 무명은 흡수력이 좋고 부드러우며, 삼베는 세탁이 용이하다는 장점이있었다.
㉣상박하후
여성복식은 조선후기에 들어서 여성들의 복식은 다분히 성적인 매력을 강조하도록 변화하였다. 그 유행의 중심에는 기생들이 있었습니다. 속곳, 바지, 속속곳, 다리속곳, 너른바지 등등 이름도 다양한 속옷들을 최소 5겹 이상 껴입어 하체를 부풀리는 것. 가냘픈 여성의 상체의 곡선이 드러나는 좁고 짧은 저고리와 하체를 강조한 풍성하고 긴 치마가 등장하여 양반층 여성에게까지 유행이 확대. 하류층의 패션이 위로 전달된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추천자료
[여성상][우리나라 여성상][한국 여성상][조선시대][문학][여성운동]우리나라 여성상(여성상,...
[법원][조선시대의 법원][법원의 권한][법원의 종류][헌법재판][법원의 재판][재판][조선시대...
불상의 시대별특징(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조선시대)
[교육사상가]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황(성리학), 조선시대 교육사상가 이이(성리학), 조선시...
[한국교육사][고구려][백제][신라][조선][실학][근대]한국교육사 고구려시대교육, 한국교육사...
[주거문화][원시][원삼국][삼국][고구려][고려][조선][일제]원시시대의 주거문화, 원삼국시대...
[조선해어화사][춘향뎐][춘향전][기생][조선시대]조선해어화사와 춘향뎐(춘향전)을 통해 본 ...
[시조]고려시대 시조 배열부전, 고려시대 시조 하여가, 고려시대 시조 송인, 조선시대 시조 ...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
[조선시대 과학기술] 기상학을 통해 살펴본 조선 후기 근대 과학 기술 (조선시대의 기상학, ...
[건축역사] 조선시대 한옥의 이해 - 한옥의 개념, 특징(지역별 구분, 계층별 구분), 조선시대...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및 문화 (고려와 조선시대의 제도, 고려시대의 문화, 조선시대의 문...
[사회복지행정] 한국의 사회복지 행정에 관하여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중 한 시대를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