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 시조 산중가, 송인 작품분석,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려시대 시조 산중가 작품분석
1. 어휘 풀이
1) 유심(幽深)
2) 담담(潭潭)하며
3) 고니(鵠)
4) 기초시(祁招詩)
5) 음음(愔愔)
6) 폐부(肺腑)
7) 도통(道通)
8) 태극(太極)
9) 유허(遺墟)
10) 삭방(朔方)
11) 장기(瘴氣)
2.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주제
5) 출전
3. 감상

Ⅱ. 고려시대 시조 송인 작품분석
1. 작품 정리
1) 연대
2) 작자
3) 형식
4) 압운
5) 주제
6) 출전
2. 감상

Ⅲ.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Ⅳ.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작품분석

Ⅴ.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Ⅵ.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3. 감상
4.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Ⅶ.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1) 서리서리
2) 어론님
3. 감상
4. 핵심 정리
1) 출전
2) 종류
3) 성격
4) 표현
5) 제재
6) 주제

Ⅷ.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5) 주제
6) 출전
2. 감상
Ⅲ.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Ⅳ.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작품분석
Ⅴ.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작품분석
Ⅵ. 조선시대 시조 오우가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3. 감상
4. 핵심 정리
1) 작자
2) 출전
3) 종류
4) 성격
5) 제재
6) 주제
Ⅶ. 조선시대 시조 부운거사 작품분석
1. 전문 풀이
2. 해설
1) 서리서리
2) 어론님
3. 감상
4. 핵심 정리
1) 출전
2) 종류
3) 성격
4) 표현
5) 제재
6) 주제
Ⅷ. 현대 시조 소녀꽃장수 작품분석
참고문헌
Ⅰ. 고려시대 시조 산중가 작품분석
산은 유심(幽深)한데, 빽빽한 숲이 담담(潭潭)하여, 누른 고니(鵠)도 그 꼭대기를 넘어가지 못하는구나. 깎아지른 듯 우뚝 솟은 바위들, 굽어보니 막막한 산 그늘엔, 서리와 이슬이 뽀얗게 젖어 있도다. 표범과 잔나비 번갈아 나와 울부짖고, 나는 새 휘돌아 나니 털깃이 너울너울, 밑 없는 굴속에 천둥이 요란하고, 수풀을 뒤흔들며 날개치는 풍신(風神), 돌부리는 내달아 옷을 갈퀴고, 가로지른 나뭇가지는 길을 막아 찌르는구나.
홀로 적막하게 서 있으니, 마치 옛 기초시(祁招詩)에서의 음음()인 듯, 멀어서 찾아가지 못하고 산 속 동서를 분간하지 못해 기진맥진하던 차에, 나는 듯 벼랑에 쏟아지는 샘물은 폐부(肺腑)를 시원케 하고 그 맛도 달구나. 손으로 움키니 싸늘한 얼음이요, 얼굴에 비추니 거울이라. 여기저기 돌아다니다가 쉬며 그 소리 들으니 옥패(玉佩)가 쨍그렁 울리는 듯하고, 불을 피워 차를 달아려 하니, 육우(肉牛)의 차 맛도 아쉽도다. 그리운 반곡(盤谷)은 놀 만한데, 한유(韓愈)의 글이 나의 길잡이로다. 도통(道通)을 천 년 만에 이었으니, 그 시내 이름은 염계(송나라 주 돈이의 호)로다. 산중에 혼자 있지만, 모시고 섬길 스승은 있어, 한 말씀 듣고 도를 깨달아 이욕(利慾)의 더러움을 씻고, 마음의 근원을 해맑게 하여, 오직 태극(太極)에만 정신을 쏟으리라.
잠깐 동안 만남이 있으면, 천지와는 셋이 될 수 있으리. 어찌하여 당우(唐虞)의 유허(遺墟)에 엉킨 풀, 한연(寒煙)되고 우리 도가 남방으로 가단 말고. 어찌하여 물은 고여 있기만 하여 비를 안 주고, 삭방(朔方)의 눈과 월령(越嶺)의 독한 장기(氣)가 썩어 진창이 된단 말고. 그러나 남은 그 여파로 천하를 다스릴 만하여, 노재(魯齋)는 홀로 가는 말을 달렸도다. 그 파급이 온 천하에 두루 미치지 않은 데가 없으니 참상(參商)을 어찌 한하리. 오직 후생(後生)이 두렵나니, 푸른빛은 남(藍)에서 나오도다. 다행히 그 도가 일월과 같이 걸려 있으니, 나는 그 빛에 의지하여 만족하고 권세를 잊고 안으로 도를 즐기며 날마다 처마 밑에서 휘파람 불며 지내리라. 괴롭게 불러 대면, 눈을 치뜨며 바라보기도 하나, 내 처음 마음 그지없거니, 일생을 두고 여기 머물러 있으리라.
1. 어휘 풀이
1) 유심(幽深)
그윽하고 깊숙함
2) 담담(潭潭)하며
깊고 깊으며
3) 고니(鵠)
물새의 일종
4) 기초시(祁招詩)
주나라 충목왕의 신하 모부(謨父)가 ‘기초’라는 시를 지어 충목왕의 방자함을 간하였다고 한다.
5) 음음()
화평한, 조용하게 침묵을 지키는 모양
6) 폐부(肺腑)
마음의 깊은 속
7) 도통(道通)
사물의 오묘한 이치를 깨달아 통함
8) 태극(太極)
우주 만물이 생기는 근원이라고 보는 본체
9) 유허(遺墟)
황폐한 옛터
10) 삭방(朔方)
북방
11) 장기(氣)
축축하고 더운 땅에서 생기는 독기
2.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말
2) 작자
이색(李穡)
3) 형식
사(辭)
4) 주제
자연의 아름다움
5) 출전
동문선
3. 감상
이 글은 산에 들어가 자연을 대하면서, 자연에 대한 무한한 애착과 인격 수양 또는 달관한 인생의 심경을 조화 있게 서술한 수필이다. 특히 이 작품은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만을 찬미하는데 그치지 않고, 인생의 길잡이로서 또는 지기(知己)로서 자연을 대하고 있다는 데에 묘미가 있다.
Ⅱ. 고려시대 시조 송인 작품분석
宇歇長堤草色多 비 갠 강둑에는 풀잎이 이들이들
送君南浦動悲歌 남포에 임 보네니 슬픈 노래 북 받치네
大同江水何時盡 어느 제 마르오리 대동강 푸른 물
別淚年年添綠波 해마다 이별 눈물 푸른 물결에 더하네
1. 작품 정리
1) 연대
고려 인종(仁宗) 때
2) 작자
정지상
3) 형식
한시(七言絶句)
4) 압운
평성 ‘가(歌)’ 운인 ‘多, 歌, 波’
5) 주제
이별의 슬픔
6) 출전
동문선. 파한집
2. 감상
이 작품은 이별을 제제로 한 한시 중에서는 압권(壓卷)이란 평을 받는 작품으로, 당나라의 왕유(王維)의 ‘送元二使安西’에 견주기도 한다. 또한 대동강에서 이별을 노래했다는 점에서 고려 가요 ‘서경별곡’과도 일치한다.
1-2행에서는 자연의 싱그러움과 서정적 자아의 슬픈 이별을 대조시켜 이별의 한을 더하고 있다. 3행에서는 과장법으로 반전, 이별의 한을 대동강 물에 비유하여 설의법으로 극대화하였다. 4행에서도 과장법을 써서 서정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예로부터 4행은 신운(神韻)이 감돈다고 할 정도로 극찬하였다.
Ⅲ. 고려시대 시조 백발가 작품분석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한 손에 가시 쥐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 막대로 치렸더니
백발이 저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우탁, 고려 원종)
<백발가>라는 제목으로 불리는 시조이다. 세월이 흘러 늙게 됨을 안타까워하는 마음이 잘 드러나 있다. <백발>은 하얗게 센 머리털을 뜻한다.
Ⅳ. 조선시대 시조 도산십이곡 작품분석
도산십이곡
이런 엇더며 뎌런 엇다료 [1]
草野愚生(초야 우생)이 이러타 엇더료
 려 泉石膏 (천석 고황)을 고텨 므슴료
煙霞(연하)로 지블 삼고 風月(풍월)로 버들사마 [2]
太平聖代(태평 성대)예 病(병)으로 늘거나뇌
이듕에 바라  이른 허믈이나 업고쟈
淳風(순풍)이 죽다니 眞實(진실)로 거즈마리 [3]
人生(인생)이 어디다 니 眞實(진실)로 올 마리
天下(천하)애 許多英才(허다 영재)를 소겨 말솜 가
幽蘭(유란)이 在谷(재곡)니 自然(자연)이 듣디 됴해 [4]
白雲(백운)이 在山(재산)니 自然(자연)이 보디됴해
이 듕에 彼美一人(피미일인)을 더옥 닛디
  • 가격7,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07.15
  • 저작시기2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0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