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씨남정기의 여성상 비교 및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씨남정기의 여성상 비교 및 고찰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사씨남정기>의 성격
1) <사씨남정기>의 창작배경
2) 사실이 반영된 <사씨남정기>
3) 역사와의 비교
3. <사씨남정기>의 인물 분석
1) 사정옥의 인물분석
2) 교채란의 인물분석
4. 나가며

본문내용

<사씨남정기의 여성상
비교 및 고찰>
목차
1. 들어가며
2. <사씨남정기>의 성격
1) <사씨남정기>의 창작배경
2) 사실이 반영된 <사씨남정기>
3) 역사와의 비교
3. <사씨남정기>의 인물 분석
1) 사정옥의 인물분석
2) 교채란의 인물분석
4. 나가며
1. 들어가며
요즘 들어 TV속에서는 동이의 인기와 함께 숙종 대의 역사적 사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역시나 장희빈이 있다. 드라마로 만들어지기만도 수 차례. 장희빈의 이야기는 수도 없이 많다. 그 속에서 장희빈은 항상 악인으로 존재해 왔다. 심지어 김혜수가 장희빈으로 출연한 대하드라마 <장희빈>에서는 초반부에서 악인이 아니었음에도 시청률이 저조해지자 다시 악인으로 변한 경우도 있다. 대중들의 인식 속에는 이미 악인으로서 장희빈만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연 장희빈은 악인인 것일까’ 에 대해 우리 조는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숙종은 즉위 직후 초부터 정쟁에 시달려 왔고,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집권당의 견제, 즉 혼맥을 이용한 정권의 잦은 교체를 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로 인해 희생된 것이 인현왕후와 장희빈이라는 것이 우리조의 생각이다. 그런데도 장희빈만이 악인으로 비춰지는 것은 역사가 승리한 자들의 기록이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남인을 견제하기 위해 숙종은 다시 서인을 택하였고, 그것이 바로 장희빈의 강등과 인현왕후의 복위라는 것이다. <사씨남정기>를 선택한 것도 그 때문이다. 정쟁의 중심에 있던 서인이자 외척세력인 김만중이 지은 <사씨남정기>를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 괜찮은 것일까? 그 속에서 교채란을 과연 악인만으로 상정 할 수 있을까? 아래 그녀들을 위한 변명을 해본다.
2. <사씨남정기>의 성격
김만중이 <사씨남정기>를 숙종을 겨냥하고 썼다는 설은 <사씨남정기>의 창작배경에 대한 설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다. 김만중이 진실로 숙종을 겨냥해 <사씨남정기>를 썼든 그렇지 않든 간에 <사씨남정기> 속의 인물 관계도를 살펴보면 숙종과 인현왕후 그리고 장희빈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면 <사씨남정기>는 당대 부녀자들의 오락물로써만이 아니라 당대의 현실 비판을 위한 소설, 더 나아가 사실을 어느정도 반영한 소설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서는 <사씨남정기>의 창작배경을 숙종의 처사에 대한 비판일 것이라는 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입장에 입각하여 사실과의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다.
1) <사씨남정기> 창작배경
<사씨남정기>의 창작동기를 살펴보면 축첩문제와 관련하여 일부 아녀자들을 깨우치기 위해 쓰였다는 설, 장희빈 사건과 관련하여 성심을 깨우치기 위해 지었다는 설, 유배상황에서 왕에게 자신의 결백을 하소연하기 위해 지었다는 설, 관음신앙으로 부녀, 대중을 교화 구제하기 위해 썼다는 설, 작자의 삶의 지향 및 현실인식을 표현하려는 내적 욕구에서 지었다는 설, 숙종의 처사에 대한 비판과 문제적 상황이 잘 해결되기를 바라는 원망, 처첩질서 확립과 가문 부흥의 원망에서 지었다는 설 등 <<사씨남정기>>의 창작동기 및 시기 논란 -이원수
이 있다. 그 중에서 장희빈 사건과 관련하여 성심을 깨우치기 위해 지었다는 설을 중심으로 다루어 본다. 김만중이 <사씨남정기>를 짓게 된 것은 비단 충신으로서의 마음만이 아니었다. 시대적 상황을 살펴보면 1661년{현종 2년} 광주(光州) 김씨 광성부원군(光城府院君) 김만기(金萬基)의 딸로 태어난 인경왕후는 11세 때 세자빈(世子嬪)에 책봉되었고, 1674년 숙종이 즉위하자 왕비로 진봉(進封)된다. 숙종과의 슬하에 두 공주(公主)를 두었으 책모두 일찍 죽었고, 왕비嬪)에 20세의 나이에 천연두(天然痘) 증세로 요절(夭折)하고 만다. 김만기가 바로 김만중의 친형이고, 인경왕후가 바로 그의 조카이다. 그의 집안은 서인의 중심 가문이자 왕의 외척 가문이기 집
  • 가격2,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4.10.22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3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