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目 次
1. 쌓기 놀이와 유아 발달
2. 쌓기놀이의 선호도
3.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갈등
4. 쌓기놀이와 성차
5. 참고문헌
1. 쌓기 놀이와 유아 발달
2. 쌓기놀이의 선호도
3.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갈등
4. 쌓기놀이와 성차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나 밀고 당기기, 때리기, 부수기 같은 공격적 전략을 선별하여 사용하므로 힘을 얻는다고 하였다.
종합하면 유아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놀잇감이나 공간의 소유 드으이 물리적 환경이나 의견의 불일치나 제안의 거부, 놀이참여 등의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갈등을 겪게 된다. 갈등엔 두 흐름이 있는데 갈등의 논쟁적 흐름은 친구관계에 나타나는 갈등의 흐름으로 주로 대안이나 타협 등의 자율적인 해결전략으로 해결되어 상호작용이 계속되었으나 갈등의 다툼적 흐름은 비친구관계에 나타나는 갈등의 흐름으로 공격적인 제스처나 교사의 권위에 의존하여 해결되므로 상호작용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유아들은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다양한 사회적인 힘을 경험하며 그 힘의 논리에 지배받았고 특히 갈등상황을 통해 또래를 지배하기 위한 힘의 행사와 전략을 많이 사용했다.
유아들의 놀이 중심에서도 특히 쌓기놀이는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한 놀이로서 유아들은 놀이경험 과정 속에 자연스럽게 다양한 갈등을 겪게 될 것이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갈등해결전략과 함께 힘의 행사도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유아들의 쌓기놀이 경험과정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쌓기놀이 과정 속에 발생되는 갈등과 갈등해결 전략 및 힘의 행사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4. 쌓기놀이와 성차
쌓기놀이는 전통적으로 남아의 활동으로 생각되어왔기에 유아교육에서 쌓기놀이 영역은 종종 남아의 영역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Hewitt은 블록은 발달초기부터 남아의 놀잇감이라는 생각이 당연시되어 왔다고 주장하며 블록 놀잇감의 표지나 광고에는 대부분 남아들이 놀고 있는 사진이나 그림이 제시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실제로 성에 따라 쌓기놀이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많은 연구들을 보면 놀이에 참여한 시간, 참여의 수, 놀잇감의 선택 등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블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Farrell은 3세와 7세 사이의 유아 약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찰한 결과 남아가 2배나 더 길었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조성미의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쌓기영역에 있는 남아의 수가 여아의 수보다 6배나 많았고 남아는 여아에 비해 더욱 오랜 시간 쌓기놀이에 몰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rk, Wyon과 Richard은 10개월 동안 3-5세 40명의 중류층 유아를 관찰하며 놀이활동선택과 놀잇감을 가지고 논 시간량을 기준으로 19개의 놀이자료의 순위를 정한 결과 블록을 남아는 1위로 선호하였지만 여아는 9위로 선호하였다고 보고하였다. Hughes는 남아들은 쌓기놀이영역 같은 활동적인 놀이이영역을 선호하여 그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반면 여아들은 전형적으로 가정의 생활경험과 관련되어 있으면서도 언어 활동이 풍부한 역할놀이를 선호하여 그곳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놀이를 한다고 한다.
이외에도 놀잇감의 성차를 다룬 많은 연구들에서 남아는 블록이나 교통기관 놀잇감을 선호하고 전쟁놀이나 경찰, 우주선, 로봇 등의 놀이를 하며, 여아들은 인형이나 미술자료를 많이 사용하여 소꿉놀이나 미술활동을 좋아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놀이에서도 성차를 보인 연구가 있는데 오은순은 남아는 블록을 가지고 구조물 만들기를 좋아했으며 여아는 만들어진 구조물을 가지고 가상놀이 하는 것을 좋아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실제로 교실 현장에서 남아의 참여가 여아들에 비해 집중됨은 교사들에게 있어서도 쌓기놀이 영역의 문제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었다. (신유경 1999))
쌓기놀이에서 나타나는 성차의 원인은 무엇일까? 피아제와 미국 여자 대학 연합회에서는 부모들이 여아들보다는 남아들에게 블록을 놀잇감으로 제공해주는 경향이 있어 블록이 남아들에겐 친숙한 놀잇감일뿐 아니라 남아들이 기질적으로 시, 공간적인 놀잇감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박경희는 남아들이 블록영역을 그들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하여 말과 행동으로 여아들의 접근을 막으므로 여아들을 쌓기놀이에서 멀어지게 한다고 하였으며 여아들은 성인사회에서 건설분야는 남자들이 맡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쌓기놀이의 활동이 자신들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느껴 참여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Varma는 여아가 쌓기놀이 영역에서 보내는 시간이 남아보다 적은 것은 여아들이 남아보다 블록에 관심이 적어서가 아니라 교사와 남아가 쌓기영역을 남아의 영역으로 생각하는 경향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실제 쌓기 영역에 여아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역할영역에 새로운 쌓기영역을 만들었더니 여아들은 참여시간이 매우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Varma의 연구와 같이 블록 선호도에 있어 성차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연구들도 있다. Massey는 5세 남녀 유아를 관찰한 결과 구조물의 복잡성, 참여시간, 블록의 수와 소품 사용의 수를 비교해본 결과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여아에게 남아만큼 똑같이 블록을 가지고 놀이할 수 있도록 해주었을 때 여아는 남아만큼 관심을 보이고 능동적으로 사용했다고 보고하였다. Beeson과 Williams는 3-5세 유아의 집단활동에서 학년초에는 남아가 쌓기놀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말에는 여아들도 남아만큼 놀이에 참여하였다고 주장하였고, Kinsman과 Berk도 남아, 여아 모두 쌓기놀이를 선호하였으며 다른 놀이보다 쌓기놀이를 선호했다고 보고하였다.
쌓기놀이와 성차에 관한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대부분의 연구들은 쌓기놀이에서 성차를 나타내며 주로 남아들이 쌓기놀이를 선호하여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기질적인 면에서의 차이나 남녀 유아들이 가지고 인식 및 교사나 부모들의 인식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수이긴 하나 쌓기놀이에서는 놀이환경의 차이일 뿐 성차는 나타나지 않으며 남녀 유아 모두 쌓기놀이를 선호한다는 보고들도 계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쌓기놀이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하여 실제로 유아들이 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탐구해보았고 그 원인을 유아들의 내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5. 참고문헌
- 유아들의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경순 저,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아동학과 2004.2)
종합하면 유아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놀잇감이나 공간의 소유 드으이 물리적 환경이나 의견의 불일치나 제안의 거부, 놀이참여 등의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갈등을 겪게 된다. 갈등엔 두 흐름이 있는데 갈등의 논쟁적 흐름은 친구관계에 나타나는 갈등의 흐름으로 주로 대안이나 타협 등의 자율적인 해결전략으로 해결되어 상호작용이 계속되었으나 갈등의 다툼적 흐름은 비친구관계에 나타나는 갈등의 흐름으로 공격적인 제스처나 교사의 권위에 의존하여 해결되므로 상호작용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유아들은 또래들과 상호작용하면서 다양한 사회적인 힘을 경험하며 그 힘의 논리에 지배받았고 특히 갈등상황을 통해 또래를 지배하기 위한 힘의 행사와 전략을 많이 사용했다.
유아들의 놀이 중심에서도 특히 쌓기놀이는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한 놀이로서 유아들은 놀이경험 과정 속에 자연스럽게 다양한 갈등을 겪게 될 것이며 상황에 따라 다양한 갈등해결전략과 함께 힘의 행사도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유아들의 쌓기놀이 경험과정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쌓기놀이 과정 속에 발생되는 갈등과 갈등해결 전략 및 힘의 행사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4. 쌓기놀이와 성차
쌓기놀이는 전통적으로 남아의 활동으로 생각되어왔기에 유아교육에서 쌓기놀이 영역은 종종 남아의 영역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Hewitt은 블록은 발달초기부터 남아의 놀잇감이라는 생각이 당연시되어 왔다고 주장하며 블록 놀잇감의 표지나 광고에는 대부분 남아들이 놀고 있는 사진이나 그림이 제시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실제로 성에 따라 쌓기놀이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많은 연구들을 보면 놀이에 참여한 시간, 참여의 수, 놀잇감의 선택 등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블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Farrell은 3세와 7세 사이의 유아 약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관찰한 결과 남아가 2배나 더 길었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조성미의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쌓기영역에 있는 남아의 수가 여아의 수보다 6배나 많았고 남아는 여아에 비해 더욱 오랜 시간 쌓기놀이에 몰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rk, Wyon과 Richard은 10개월 동안 3-5세 40명의 중류층 유아를 관찰하며 놀이활동선택과 놀잇감을 가지고 논 시간량을 기준으로 19개의 놀이자료의 순위를 정한 결과 블록을 남아는 1위로 선호하였지만 여아는 9위로 선호하였다고 보고하였다. Hughes는 남아들은 쌓기놀이영역 같은 활동적인 놀이이영역을 선호하여 그곳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반면 여아들은 전형적으로 가정의 생활경험과 관련되어 있으면서도 언어 활동이 풍부한 역할놀이를 선호하여 그곳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놀이를 한다고 한다.
이외에도 놀잇감의 성차를 다룬 많은 연구들에서 남아는 블록이나 교통기관 놀잇감을 선호하고 전쟁놀이나 경찰, 우주선, 로봇 등의 놀이를 하며, 여아들은 인형이나 미술자료를 많이 사용하여 소꿉놀이나 미술활동을 좋아한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블록 구조물을 이용한 놀이에서도 성차를 보인 연구가 있는데 오은순은 남아는 블록을 가지고 구조물 만들기를 좋아했으며 여아는 만들어진 구조물을 가지고 가상놀이 하는 것을 좋아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실제로 교실 현장에서 남아의 참여가 여아들에 비해 집중됨은 교사들에게 있어서도 쌓기놀이 영역의 문제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었다. (신유경 1999))
쌓기놀이에서 나타나는 성차의 원인은 무엇일까? 피아제와 미국 여자 대학 연합회에서는 부모들이 여아들보다는 남아들에게 블록을 놀잇감으로 제공해주는 경향이 있어 블록이 남아들에겐 친숙한 놀잇감일뿐 아니라 남아들이 기질적으로 시, 공간적인 놀잇감을 선호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박경희는 남아들이 블록영역을 그들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하여 말과 행동으로 여아들의 접근을 막으므로 여아들을 쌓기놀이에서 멀어지게 한다고 하였으며 여아들은 성인사회에서 건설분야는 남자들이 맡는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쌓기놀이의 활동이 자신들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느껴 참여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하였다.
Varma는 여아가 쌓기놀이 영역에서 보내는 시간이 남아보다 적은 것은 여아들이 남아보다 블록에 관심이 적어서가 아니라 교사와 남아가 쌓기영역을 남아의 영역으로 생각하는 경향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실제 쌓기 영역에 여아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 역할영역에 새로운 쌓기영역을 만들었더니 여아들은 참여시간이 매우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Varma의 연구와 같이 블록 선호도에 있어 성차는 나타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연구들도 있다. Massey는 5세 남녀 유아를 관찰한 결과 구조물의 복잡성, 참여시간, 블록의 수와 소품 사용의 수를 비교해본 결과 성차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여아에게 남아만큼 똑같이 블록을 가지고 놀이할 수 있도록 해주었을 때 여아는 남아만큼 관심을 보이고 능동적으로 사용했다고 보고하였다. Beeson과 Williams는 3-5세 유아의 집단활동에서 학년초에는 남아가 쌓기놀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년말에는 여아들도 남아만큼 놀이에 참여하였다고 주장하였고, Kinsman과 Berk도 남아, 여아 모두 쌓기놀이를 선호하였으며 다른 놀이보다 쌓기놀이를 선호했다고 보고하였다.
쌓기놀이와 성차에 관한 연구결과를 정리해보면 대부분의 연구들은 쌓기놀이에서 성차를 나타내며 주로 남아들이 쌓기놀이를 선호하여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기질적인 면에서의 차이나 남녀 유아들이 가지고 인식 및 교사나 부모들의 인식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수이긴 하나 쌓기놀이에서는 놀이환경의 차이일 뿐 성차는 나타나지 않으며 남녀 유아 모두 쌓기놀이를 선호한다는 보고들도 계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쌓기놀이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하여 실제로 유아들이 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탐구해보았고 그 원인을 유아들의 내부적인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5. 참고문헌
- 유아들의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경순 저,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아동학과 2004.2)
추천자료
유아 실외놀이의 특징과 실외놀이 환경구성
[놀이지도] 유아 윷놀이 교육 계획안
유아기 운동놀이의 지도원리와 운동놀이지도 및 활동내용의 실예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E)놀이가 유아교육에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논의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 놀이가 유아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영유아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을 정리하고 놀이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에...
영유아 놀이발달의 특징, 발달 수준에 적합한 놀잇감, 놀이발달을 촉진시킬수 있는 교사의 역...
< 영유아교수방법론 > 영유아의 발달과 교수학습 모델을 이론적으로 간단하게 정리 실제 어...
[언어지도] 영유아 극놀이 활동의 언어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하시오 - 극놀이
[놀이지도] 놀이가 영유아 및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신체발달, 인지발달, 정서발달, 언어발...
[놀이지도] 유아 놀이에서의 교사 개입의 부정적 · 긍정적 관점과 교사의 개입 및 교사의 역할
만3세 유아의 놀이발달 및 놀이특징에 대해서 기술하시오.
[놀이지도] 유아의 놀이유형에 대해 기술하고 자신의 생각을 제시하시오
현대적 놀이이론 중 본인이 지지하는 하나의 이론을 선택하여 주요 내용과 지지하는 이유 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