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공통점
2.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차이점
3.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갈등 원인
4.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갈등 사례
5.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화해의 가능성
Ⅲ 결론
< 참고문헌 >
Ⅱ 본론
1.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공통점
2.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차이점
3.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갈등 원인
4.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갈등 사례
5. 이슬람교와 기독교의 화해의 가능성
Ⅲ 결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있다고 생각하나 이슬람교는 자신의 행위에 따라 구원받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즉, 도덕적 죄의 전가를 배제하고 오로지 심판의 날에 선은 선으로 보상을 받으며 악은 악의 대가로 보상을 받게 된다고 주장한다.
“ 백성들이여 너희 주님을 경외하고 다가올 그 날을 두려워하라. 그 때는 아버지가 아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아들이 그의 아버지께 무익하도다.” (코란 34:34)
④ 구원자에 대한 시각 차이
“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 너와 같은 선지가 하나를 그들을 위해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려니 내가 그에게 명하는 것을 그가 무리에게 다 고하리라.” (성경)
그리스도교에서는 이 구절이 예수에 대한 예언이라고 보지만 이슬람교에서는 무함마드가 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슬림들은 유대교와 기독교가 무함마드가 태어날 것을 성경에서 삭제했기 때문에 성경이 잘못 번역되었다고 주장한다.
⑤ 우상숭배에 대한 차이
그리스도교는 신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성모 마리아, 바울, 성인, 성녀 등 신이 숭배를 금지한 우상을 얼마든지 받든다. 그러나 이슬람은 무함마드는 물론 성인의 그림조차 볼 수 없을 정도로 철저히 계율을 지킨다. 이 뿐만 아니라 할례의 의무나 단식의 의무 같은 것도 철저히 지킨다.
3. 이슬람교와 기독교 갈등의 원인
① 기독교의 무함마드에 대한 왜곡
기독교인들은 초기부터 무함마드의 인격을 비난하며 적대감을 표시했다. 따라서 서구에서는 무함마드에 대한 왜곡이 많았다. 무함마드를 ‘최고 신’으로 생각하며 그에 대한 황금상에 대한 경배를 운운했다. 이는 이슬람교의 기본 교리인 유일신 사상과 우상숭배에 대해 이해하지 못한 태도이며 사실이 아니다. 또한 서구에서는 그를 호색적인 인물로 묘사했다. 하지만 사실 그는 호색적인 인물이 아니라 첫째 부인이 살아 있는 동안 다른 여인과 결혼하지 않았다. 이처럼 이슬람에서 최후의 예언자라고 믿는 무함마드에 대한 왜곡은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갈등을 유발하였다.
② 현격한 교리의 차이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한 뿌리에서 출발했으나 예수를 비롯한 예언자들의 신학적인 위치에 대한 이견으로 서로 다른 종교로 발전했다. 이슬람교는 아담, 아브라함, 모세, 예수 등 많은 예언자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갖고 왔지만 마지막 예언자 무함마드에게 계시된 것이 완전하고 최종적인 형태의 하나님 말씀이라고 믿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는 예수가 신의 아들로서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다시 재림할 것을 믿고 그를 믿음으로써 구원받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기독교는 무함마드를 예언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③ 종교를 믿는 신도들의 세속화
신도들의 정치적, 세속적 욕망 때문에 종교의 갈등이 더 심화된다. 즉, 종교적 관용성을 망각한 광신적 종교생활에 빠져서 적대적 극단주의로 흘러가면서 기독교와 이슬람교에서의 가르침은 잊고 오로지 자신들의 영역을 지키고자 하는 세속적 아집 때문이다.
4. 이슬람교와 기독교 갈등의 사례
① 십자군 전쟁
이슬람의 교세 확대에 위기감을 느낀 로마 교회가 성지 팔레스타인과 성도 예루살렘을 탈환하기 위해 벌인 전쟁이다. 모두 8차에 걸쳐 약 200년간이나 계속되면서 두 종교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특히 관용을 중시하던 이슬람교는 더 이상 관용적이지 않게 되며 성전에 대한 정열이 높아져 갔다. 이 전쟁의 결과는 이슬람교의 승리로 돌아갔다 또한 이슬람교의 오스만 제국이 동방 정교회의 비잔틴 제국을 멸망시키면서 이슬람의 세력이 확대되었다.
② 레콘키스타
우마이야 왕조가 이베리아를 정복하게 되었는데 반란으로 인해 이슬람 세력이 약화되게 된다. 이 때부터 레콘키스타 운동이 시작되게 되고 15세기 말에는 스페인이 성립이 되면서 가톨릭으로 개종되지 않은 무슬림을
“ 백성들이여 너희 주님을 경외하고 다가올 그 날을 두려워하라. 그 때는 아버지가 아들에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아들이 그의 아버지께 무익하도다.” (코란 34:34)
④ 구원자에 대한 시각 차이
“ 내가 그들의 형제 중에 너와 같은 선지가 하나를 그들을 위해 일으키고 내 말을 그 입에 두려니 내가 그에게 명하는 것을 그가 무리에게 다 고하리라.” (성경)
그리스도교에서는 이 구절이 예수에 대한 예언이라고 보지만 이슬람교에서는 무함마드가 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슬림들은 유대교와 기독교가 무함마드가 태어날 것을 성경에서 삭제했기 때문에 성경이 잘못 번역되었다고 주장한다.
⑤ 우상숭배에 대한 차이
그리스도교는 신 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 성모 마리아, 바울, 성인, 성녀 등 신이 숭배를 금지한 우상을 얼마든지 받든다. 그러나 이슬람은 무함마드는 물론 성인의 그림조차 볼 수 없을 정도로 철저히 계율을 지킨다. 이 뿐만 아니라 할례의 의무나 단식의 의무 같은 것도 철저히 지킨다.
3. 이슬람교와 기독교 갈등의 원인
① 기독교의 무함마드에 대한 왜곡
기독교인들은 초기부터 무함마드의 인격을 비난하며 적대감을 표시했다. 따라서 서구에서는 무함마드에 대한 왜곡이 많았다. 무함마드를 ‘최고 신’으로 생각하며 그에 대한 황금상에 대한 경배를 운운했다. 이는 이슬람교의 기본 교리인 유일신 사상과 우상숭배에 대해 이해하지 못한 태도이며 사실이 아니다. 또한 서구에서는 그를 호색적인 인물로 묘사했다. 하지만 사실 그는 호색적인 인물이 아니라 첫째 부인이 살아 있는 동안 다른 여인과 결혼하지 않았다. 이처럼 이슬람에서 최후의 예언자라고 믿는 무함마드에 대한 왜곡은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갈등을 유발하였다.
② 현격한 교리의 차이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한 뿌리에서 출발했으나 예수를 비롯한 예언자들의 신학적인 위치에 대한 이견으로 서로 다른 종교로 발전했다. 이슬람교는 아담, 아브라함, 모세, 예수 등 많은 예언자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갖고 왔지만 마지막 예언자 무함마드에게 계시된 것이 완전하고 최종적인 형태의 하나님 말씀이라고 믿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는 예수가 신의 아들로서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다시 재림할 것을 믿고 그를 믿음으로써 구원받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기독교는 무함마드를 예언자로 인정하지 않는다.
③ 종교를 믿는 신도들의 세속화
신도들의 정치적, 세속적 욕망 때문에 종교의 갈등이 더 심화된다. 즉, 종교적 관용성을 망각한 광신적 종교생활에 빠져서 적대적 극단주의로 흘러가면서 기독교와 이슬람교에서의 가르침은 잊고 오로지 자신들의 영역을 지키고자 하는 세속적 아집 때문이다.
4. 이슬람교와 기독교 갈등의 사례
① 십자군 전쟁
이슬람의 교세 확대에 위기감을 느낀 로마 교회가 성지 팔레스타인과 성도 예루살렘을 탈환하기 위해 벌인 전쟁이다. 모두 8차에 걸쳐 약 200년간이나 계속되면서 두 종교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특히 관용을 중시하던 이슬람교는 더 이상 관용적이지 않게 되며 성전에 대한 정열이 높아져 갔다. 이 전쟁의 결과는 이슬람교의 승리로 돌아갔다 또한 이슬람교의 오스만 제국이 동방 정교회의 비잔틴 제국을 멸망시키면서 이슬람의 세력이 확대되었다.
② 레콘키스타
우마이야 왕조가 이베리아를 정복하게 되었는데 반란으로 인해 이슬람 세력이 약화되게 된다. 이 때부터 레콘키스타 운동이 시작되게 되고 15세기 말에는 스페인이 성립이 되면서 가톨릭으로 개종되지 않은 무슬림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