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헤지펀드(헷지펀드, 헷징펀드)의 정의
Ⅲ. 헤지펀드(헷지펀드, 헷징펀드)의 연혁
Ⅳ. 헤지펀드(헷지펀드, 헷징펀드)의 특징
1. 투자자들이 소수로 구성
2. 투자자금이 엄청나게 크다
3. 사적 투자 기관이다
4.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Ⅴ. 헤지펀드(헷지펀드, 헷징펀드)의 투자
1. 투자규모
2. 펀드의 종류 및 투자전략
1) 투자상황별
2) 투자지역별
3) 위험정도별
4) 투자분야별
3. 투자수익률
참고문헌
Ⅱ. 헤지펀드(헷지펀드, 헷징펀드)의 정의
Ⅲ. 헤지펀드(헷지펀드, 헷징펀드)의 연혁
Ⅳ. 헤지펀드(헷지펀드, 헷징펀드)의 특징
1. 투자자들이 소수로 구성
2. 투자자금이 엄청나게 크다
3. 사적 투자 기관이다
4.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Ⅴ. 헤지펀드(헷지펀드, 헷징펀드)의 투자
1. 투자규모
2. 펀드의 종류 및 투자전략
1) 투자상황별
2) 투자지역별
3) 위험정도별
4) 투자분야별
3. 투자수익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금흐름, 장부가치를 중시하며, 때로는 비선호주식에 초점을 맞춤.
― 내재가치보다 저평가된 주식에 장기투자하는 전략
지수 선물을 이용하여 시장위험을 회피함.
○ 성장/소기업형(Growth/small cap)펀드
― 성장주에 투자하며, 수익과 이익 그리고 잠재 성장 가능성이 주요 변수가 됨.
○ 단기형(Short term)펀드
― 단기간만 포지션을 보유하는 형태임.
3) 위험정도별
(1) 시장중립형(Market neutral)펀드
○ 기간 만료 시 동일한 가치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두 자산에 대한 동시적인 매입과 매도를 이용
― 전환사채나 주가지수선물 등의 파생금융상품과 기초자산의 가격불균형을 이용 서로 반대 포지션을 취하는 전략
― 특정형태의 시장 불완전으로부터 이익을 추구하며, 그 전략에 관련된 다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유동성 위험이 중요하므로 유동성이 높은 미국국채, 유동성이 큰 주식시장과 주요통화 시장을 이용
금융비용의 고려가 필요
○ 투자규모의 반은 매수 포지션을 갖고 나머지 반은 매도 포지션을 보유함.
― 즉, 시장위험으로부터 노출을 회피하거나 위험을 제거함. 이론적으로 시장위험은 크게 감소하나 잘 분산된 포트폴리오에서 고수익 실현이 매우 어려우므로 주식선정이 중요한 관건이 됨.
○ 전환채 차액거래(Convertible arbitrage)펀드
― 가장 보수적 투자행태의 하나이며, 전환채를 사고 전환근거채를 팔며, 양 채권의 관계에서 가격 차이로부터 이익을 취함.
○ 주가지수 차액거래(Stock index arbitrage)펀드
― 현물주식 포트폴리오를 사고 주가지수 선물을 팔거나, 그 반대 거래를 취함.
○ 고정채 차액거래(Fixed income arbitrage)펀드
― 미정부채를 사고 이자율이나 만기의 면에 있어 구매한 채권을 제외한 다른 정부채를 매도함.
(2) 공매도자형(Short seller)펀드
○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하에 주식을 빌려서 팔고, 더 낮은 가격으로 되사는 전략을 구사
― 즉, 시장이 약세로 돌아선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고평가된 주식을 공매도하나, 투자자가 잃을 수 있는 금액이 이론적으로 무한대라는 측면에서 위험도가 높은 형태임.
(3) 변동성 투자형(Volatility investing)펀드
○ 시장이 방향에 관계없이 변동성이 강한 경우를 전제로 투자하는 유형임.
4) 투자분야별
(1) 통화형(Currencies)펀드
○ 다양한 통화의 상대 가격으로부터 이익을 얻음.
(2) 분야별 펀드
― 펀드가 투자하기로 합의한 분야에만 투자
지역별 분야나 산업별 분야로 나눌 수 있음.
(3) 펀드의 펀드형(Funds of funds)펀드
○ 투자자본이 펀드들에 배분되어 높은 최소 투자 금액을 요구하는 펀드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다양한 펀드에 투자함으로 상이한 펀드매니저들 사이에서 위험을 분산할 수 있음.
3. 투자수익률
○ 헤지펀드는 위험이 높은 투자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나, 통계자료상으로는 위험이 오히려 낮음.
― 몇몇 헤지펀드들이 고수익을 추구하다 실패한 경우, 손실 금액이 크기 때문에 헤지펀드의 위험이 큰 것으로 인식되는 측면이 있음.
○ Hennessee Hedge fund Advisory Group 의 자료에 의하면 헤지펀드의 표준편차는 9%이나 뮤추얼 펀드와 S&P 500 지수는 각각 14%, 13.8%로 헤지펀드의 위험이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음.
○ 헤지펀드의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미국 헤지펀드 수익률의 지표가 될 수 있는 Van U.S. Hedge Fund Index 수익률은 17.8%인 반면, Average Equity Mutual Fund는 14.9%, Average Bond Mutual Fund는 6.2%, World Equity Index는 13.5%, S&P 500 지수는 20.3%로 헤지펀드가 뮤추얼 펀드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시현하고 있음.
○ 실적은 부진하나, 기준치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함.
― 7월과 8월의 헤지펀드 수익률은 -0.3%, -7.6%인 반면,
― S&P 500 지수 수익률은 -1.1%, -1.5%이며,
― 주식 뮤추얼펀드의 경우는 -2.6%, -16.6%이고,
― 세계 증권지수는 -0.3%, -13.5%를 나타냄.
― 미국시장의 조정기였던 Van U.S. Hedge Fund Index는 3.1%인 반면, Morningstar Average Equity Mutual Fund는 -23.7%, Morningstar Average Taxable Bond Fund는 -2.5%이며, S&P500 지수는 -21.7%를 나타내어, 시장조정기에도 여전히 높은 수익률을 시현하고 있음.
― 헤지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수익률을 비교
최상위 10개 펀드와 상위 10%의 비교시, 수익률이 31.4%대 30.0%, 29.1%대 22.7%로 헤지펀드의 수익률이 높음.
최하위 20개 펀드와 하위 25%의 경우에 있어서도, 1.4%대-11.5%, 7.4%대 4.3%로 헤지펀드가 전반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스위스 리퍼블릭 내셔날 뱅크의 조사자료에 의하면 최근실적은 부진함.
― 금융위기가 확산됐던 지난 1년간 세계 17대 헤지펀드의 투자 수익률이 3%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남.
― 금융위기에 휘말렸던 아시아, 중남미, 러시아 등 신흥국가에 투자했던 헤지펀드들은 지난 1년간 20%이상의 손실을 보았음.
― 주요 헤지펀드의 수익률이 급락한 이유는 러시아 시장의 몰락과 달러화 폭락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주요 헤지펀드들은 저금리 엔화를 차입, 이를 달러로 바꾸어, 고금리 상품에 투자해 왔음.
참고문헌
노희진(2011), 헤지펀드의 이론과 실제, 박영사
다니엘 스트래치맨 저, 박광수 역(2003), 헤지펀드, 아침이슬
라스 크로이저 저, 박경락 외 2명 역(2012), 헤지펀드의 진실 펀드 매니저의 고백, 새로운제안
세바스찬 말라비 저, 김지욱 외 2명 역(2011), 헤지펀드 열전, 첨단금융출판
신현규(2009), 한국의 헤지펀드 스토리, 한스미디어
Mark Berman 저, 이상복 역(2009), 헤지펀드와 프라임 브로커, 비엠에스
― 내재가치보다 저평가된 주식에 장기투자하는 전략
지수 선물을 이용하여 시장위험을 회피함.
○ 성장/소기업형(Growth/small cap)펀드
― 성장주에 투자하며, 수익과 이익 그리고 잠재 성장 가능성이 주요 변수가 됨.
○ 단기형(Short term)펀드
― 단기간만 포지션을 보유하는 형태임.
3) 위험정도별
(1) 시장중립형(Market neutral)펀드
○ 기간 만료 시 동일한 가치가 될 것으로 기대되는 두 자산에 대한 동시적인 매입과 매도를 이용
― 전환사채나 주가지수선물 등의 파생금융상품과 기초자산의 가격불균형을 이용 서로 반대 포지션을 취하는 전략
― 특정형태의 시장 불완전으로부터 이익을 추구하며, 그 전략에 관련된 다른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유동성 위험이 중요하므로 유동성이 높은 미국국채, 유동성이 큰 주식시장과 주요통화 시장을 이용
금융비용의 고려가 필요
○ 투자규모의 반은 매수 포지션을 갖고 나머지 반은 매도 포지션을 보유함.
― 즉, 시장위험으로부터 노출을 회피하거나 위험을 제거함. 이론적으로 시장위험은 크게 감소하나 잘 분산된 포트폴리오에서 고수익 실현이 매우 어려우므로 주식선정이 중요한 관건이 됨.
○ 전환채 차액거래(Convertible arbitrage)펀드
― 가장 보수적 투자행태의 하나이며, 전환채를 사고 전환근거채를 팔며, 양 채권의 관계에서 가격 차이로부터 이익을 취함.
○ 주가지수 차액거래(Stock index arbitrage)펀드
― 현물주식 포트폴리오를 사고 주가지수 선물을 팔거나, 그 반대 거래를 취함.
○ 고정채 차액거래(Fixed income arbitrage)펀드
― 미정부채를 사고 이자율이나 만기의 면에 있어 구매한 채권을 제외한 다른 정부채를 매도함.
(2) 공매도자형(Short seller)펀드
○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하에 주식을 빌려서 팔고, 더 낮은 가격으로 되사는 전략을 구사
― 즉, 시장이 약세로 돌아선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고평가된 주식을 공매도하나, 투자자가 잃을 수 있는 금액이 이론적으로 무한대라는 측면에서 위험도가 높은 형태임.
(3) 변동성 투자형(Volatility investing)펀드
○ 시장이 방향에 관계없이 변동성이 강한 경우를 전제로 투자하는 유형임.
4) 투자분야별
(1) 통화형(Currencies)펀드
○ 다양한 통화의 상대 가격으로부터 이익을 얻음.
(2) 분야별 펀드
― 펀드가 투자하기로 합의한 분야에만 투자
지역별 분야나 산업별 분야로 나눌 수 있음.
(3) 펀드의 펀드형(Funds of funds)펀드
○ 투자자본이 펀드들에 배분되어 높은 최소 투자 금액을 요구하는 펀드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 있으며, 다양한 펀드에 투자함으로 상이한 펀드매니저들 사이에서 위험을 분산할 수 있음.
3. 투자수익률
○ 헤지펀드는 위험이 높은 투자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나, 통계자료상으로는 위험이 오히려 낮음.
― 몇몇 헤지펀드들이 고수익을 추구하다 실패한 경우, 손실 금액이 크기 때문에 헤지펀드의 위험이 큰 것으로 인식되는 측면이 있음.
○ Hennessee Hedge fund Advisory Group 의 자료에 의하면 헤지펀드의 표준편차는 9%이나 뮤추얼 펀드와 S&P 500 지수는 각각 14%, 13.8%로 헤지펀드의 위험이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음.
○ 헤지펀드의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 미국 헤지펀드 수익률의 지표가 될 수 있는 Van U.S. Hedge Fund Index 수익률은 17.8%인 반면, Average Equity Mutual Fund는 14.9%, Average Bond Mutual Fund는 6.2%, World Equity Index는 13.5%, S&P 500 지수는 20.3%로 헤지펀드가 뮤추얼 펀드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시현하고 있음.
○ 실적은 부진하나, 기준치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함.
― 7월과 8월의 헤지펀드 수익률은 -0.3%, -7.6%인 반면,
― S&P 500 지수 수익률은 -1.1%, -1.5%이며,
― 주식 뮤추얼펀드의 경우는 -2.6%, -16.6%이고,
― 세계 증권지수는 -0.3%, -13.5%를 나타냄.
― 미국시장의 조정기였던 Van U.S. Hedge Fund Index는 3.1%인 반면, Morningstar Average Equity Mutual Fund는 -23.7%, Morningstar Average Taxable Bond Fund는 -2.5%이며, S&P500 지수는 -21.7%를 나타내어, 시장조정기에도 여전히 높은 수익률을 시현하고 있음.
― 헤지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수익률을 비교
최상위 10개 펀드와 상위 10%의 비교시, 수익률이 31.4%대 30.0%, 29.1%대 22.7%로 헤지펀드의 수익률이 높음.
최하위 20개 펀드와 하위 25%의 경우에 있어서도, 1.4%대-11.5%, 7.4%대 4.3%로 헤지펀드가 전반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그러나 스위스 리퍼블릭 내셔날 뱅크의 조사자료에 의하면 최근실적은 부진함.
― 금융위기가 확산됐던 지난 1년간 세계 17대 헤지펀드의 투자 수익률이 3%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남.
― 금융위기에 휘말렸던 아시아, 중남미, 러시아 등 신흥국가에 투자했던 헤지펀드들은 지난 1년간 20%이상의 손실을 보았음.
― 주요 헤지펀드의 수익률이 급락한 이유는 러시아 시장의 몰락과 달러화 폭락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주요 헤지펀드들은 저금리 엔화를 차입, 이를 달러로 바꾸어, 고금리 상품에 투자해 왔음.
참고문헌
노희진(2011), 헤지펀드의 이론과 실제, 박영사
다니엘 스트래치맨 저, 박광수 역(2003), 헤지펀드, 아침이슬
라스 크로이저 저, 박경락 외 2명 역(2012), 헤지펀드의 진실 펀드 매니저의 고백, 새로운제안
세바스찬 말라비 저, 김지욱 외 2명 역(2011), 헤지펀드 열전, 첨단금융출판
신현규(2009), 한국의 헤지펀드 스토리, 한스미디어
Mark Berman 저, 이상복 역(2009), 헤지펀드와 프라임 브로커, 비엠에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