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놀이문화)와 일, 놀이(놀이문화)와 놀이연수자료, 놀이(놀이문화)와 운동회놀이, 놀이(놀이문화)와 화전놀이, 놀이(놀이문화)와 대방놀이, 놀이(놀이문화)와 북청사자놀이, 놀이(놀이문화)와 탈놀이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놀이(놀이문화)와 일, 놀이(놀이문화)와 놀이연수자료, 놀이(놀이문화)와 운동회놀이, 놀이(놀이문화)와 화전놀이, 놀이(놀이문화)와 대방놀이, 놀이(놀이문화)와 북청사자놀이, 놀이(놀이문화)와 탈놀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놀이(놀이문화)와 일

Ⅲ. 놀이(놀이문화)와 놀이연수자료
1. 여는 마당
1) 함성
2) 건강박수
3) 안마 박수
4) 접촉 박수
5) 영차 박수
6) 몸풀기 율동
2. 본 마당
1) 손님 모셔오기
2) 승마놀이
3) 짝 놀이
4) 모둠 만들기
5) 노래 대항전
6) 모둠 대항 올림픽
3. 닫는 마당-대동의 장
1) 알까기 술래잡기
2) 진드기 술래잡기
3) 어부 술래잡기

Ⅳ. 놀이(놀이문화)와 운동회놀이
1. 투호
2. 공기놀이
3. 산가지
4. 딱지치기
5. 줄씨름
6. 콩알줍기
7. 종이접기
8. 성황당
9. 보물찾기
10. 장구치기
11. 두꺼비집

Ⅴ. 놀이(놀이문화)와 화전놀이
1. 놀이 공론
2. 택일
3. 통문
4. 시부모님(舅姑)
5. 음식 준비
6. 몸치장
7. 나들이
8. 화전 굽기
9. 유흥
10. 귀가

Ⅵ. 놀이(놀이문화)와 대방놀이

Ⅶ. 놀이(놀이문화)와 북청사자놀이
1. 북청 현지의 연희 배경
2. 북청사자놀이의 기능과 의의
3. 현재의 연희 내용
1) 마당놀이 마당
2) 사자놀이 마당
4. 북청사자놀이의 음악

Ⅷ. 놀이(놀이문화)와 탈놀이
1. 악사의 유래와 구실
2. 공연장소와 극중장소의 관계
3. 탈놀이의 구성요소
1) 탈
2) 음악과 춤
3) 시기와 장소
4) 재담
5) 작자와 연회자와 관중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여겼다.
대방놀이는 양반을 공격하는 외적 기능뿐만 아니라 주민의 단결 도모라는 내적 기능도 아울러 수행하는데, 이는 길놀이, 군무, 탈놀이로 진행되는 수영 야류에 잘 나타난다. 길놀이는 놀이패가 구경꾼의 흥을 돋구고, 군무로서 진을 다해 구경꾼들은 대방놀음을 내부적으로 다지며, 탈놀이를 통해 놀이패와 구경꾼들은 하나가 되어 현실의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고 인식한다. 대방놀이는 단지 에너지를 발산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이 발산을 억압하는 세력과의 싸움에까지 이르러야 비로소 그 온전함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몰아도취의 군무와 비판적인 싸움을 전개하는 탈놀이는 대방놀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이런 일련의 세 과정들이 다른 탈춤에까지 뚜렷하게 나타나 있는 것은 아니다. 농촌탈춤에서 도시탈춤으로의 변모를 거치면서 길놀이와 군무의 비중이 작아지고, 그 대신 탈놀이가 이들의 내용까지 포함하여 더욱 풍부해진 형태로 발전하였다. 그 결과 대방놀이로 당연히 인식되었던 탈춤 속에는 자연스런 놀이패와 구경꾼간의 대화 외에 인위적으로 넣은 대화(악사와 등장인물간의 대화 등..) 를 끼워 넣는 등의 조작을 가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아예 놀이패의 일방적인 진행으로까지 변이되어 탈춤의 대방놀이적 성격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탈춤의 현대적인 계승에 대해 생각할 때도 단결과 유대를 기반으로 한 대방놀이적 성격을 우리는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Ⅶ. 놀이(놀이문화)와 북청사자놀이
1. 북청 현지의 연희 배경
토착적 현장과 민속놀이는 부리해서 생각할 수 없다. 그러나 현재 북천사자놀이는 월남한 연희자들에 의하여 연희되므로 북청 현지에서 연희되던 것과는 다른 점이 많다. 향토 민속놀이가 남에게 보여주는 무대의 놀이로 바뀜에 따라 무대예술로서의 조건을 갖추기 위하여 많은 윤색이 가해졌던 것이다. 여기에서는 북청 현지의 연희, 즉 원형에 대하여 많은 논의를 펼 것이다.
함경도에서는 함남의 북청. 함주. 정평. 영흥. 홍원. 함북의 경성. 명천. 무산. 종성. 경원 등지에서 사자놀이를 놀았다고 한다. 이중 북청의 사자놀이가 가장 유명하며 함경도의 사자놀이를 대표한다.
북청사자놀이는 함남 북청군 산하 11개 면과 3개 읍에 속하는 각 마을에서 음력 정월 15일 밤 세시풍속의 하나로 행하여졌다. 그리고 수십 호 단위의 마을마다 사자놀이가 독자적으로 행하여졌다. 사자놀이는 추위를 물리치기 위해 모닥불을 피워 놓고, 술과 음식을 장만하여 먹으면서 흥과 신명에 의해 진행이 된다.
2. 북청사자놀이의 기능과 의의
북청사자놀이는 정월 보름을 기하여 거행되는 대부분의 민속놀이와 마찬가지로 벽사진경(邪進慶)을 목적으로 거행되었다. 백수의 왕인 사자가 등장하는 것만으로도 벽사적인 기능을 하지만, 특히 사자가 방울소리를 울리면서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집안 구석구석의 잡귀를 쫓는 모습은 바로 나례의 매귀라고 하는 행사와 완전히 일치한다.
사자는 이미 오랜 옛날부터 벽사의 성격을 가진 동물로 인정되었음을 여러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다. 우선 신라 분황사의 모전탑과 불국사의 다보탑의 기단 네 모서리에 앉힌 사자개(사자의 몸체를 한 개)는 이 탑들을 수호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문무왕돠 흥덕왕의 능 앞에 앉힌 사자개도 역시 같은 것이다.
사자놀이는 종교적 기능을 갖고 있다. 아이를 사자에 태우면 무병장수한다거나, 사자털을 베어다 두면 장수한다는 생각도 사자놀이의 종교적인 측면이다.
사자놀이는 마을의 단결과 협동을 도모하는 사회적 통합의 기능도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각 마을 자체로 사자놀이를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각 가정마다 방문하여 사자를 놀아 주고, 유지의 집을 순회하며 생긴 곡식으로 마을의 공공사업에 사용함으로써 모든 마을 주민의 단결과 화합을 도모할 수 있었던 것이다.
3. 현재의 연희 내용
1) 마당놀이 마당
(1) 마당놀이 과장
토성리에서는 사자놀이와 관원놀이가 합쳐져서 연희되었는데, 관원놀이는 후대의 것이다. 길놀이를 할 때는 사자놀이와 관원놀이의 연희자들이 구식악기의 반주에 따라 진행했는데, 대단히 큰 행사였다고 한다. 길잡이가 막대를 휘두르며 놀이판을 정리하면, 꼭쇠가 양반을 데리고 등장하여 사자놀이를 소개하는 대화를 주고 받는다.
(2) 애원성춤 과장
애원성춤은 본래 북청 현지에서는 추지 않던 것인데, 사자놀이전 흥을 돋우기 위해 애원성. 돈돌날이. 어랑타령 등의 민요를 노래만 부르던 것을 새로 춤을 만들어 공연하고 있다. 따라서 북청 고유의 춤이 아닌 것이 들어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현재 연희자들은 북청 고유의 춤인 ‘넉두리’라는 춤을 응용하여 춤사위를 보완하고 있다.
(3) 사당. 거사춤 과장
애원성춤이 퇴장하면 양반은 사당.거사춤을 불러들이라고 한다. 이때 퉁소가락은 사당. 거사곡으로 바뀐다. 고소를 든 거사 2인이 등장하여 마주보고 춤을 추다가 양쪽으로 벌어질 때, 사당 2인이 등장하여 4인이 십자형으로 왔다갔다 하며 춤춘다.
현재는 여자가 거사춤을 추는데 북청 현지에서는 남자들이 추는 것이 일반적이었다고 한다.
(4) 무동춤 과장
무동춤의 퉁소가락은 사당. 거사춤과 같이 ‘내 딸 봉섬이’이다. 무동 아래는 남녀 2인이 맡으며 무동 위에는 남자아이와 여자아이가 올라간다. 무동춤은 아이들의 귀여운 춤이 주가되는데 일정한 춤사위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고 몇가지 춤사위를 섞어 구사하며, 대개 5~7세의 아이들이 역할을 맡는다. 그러나 무동 아래의 사람들은 십자형의 정해진 길을 왔다갔다 하면서 무동 위의 연희가 사방에 보이도록 한다.
(5) 넉두리춤 과장
넉두리춤은 북청 지방의 특징적인 춤사위를 보여 주기 위하여 1980년대 중반에 새로 삽입한 것이다. 이 춤은 원래 북청 지방의 여성들이 한식 이튿날 남대천가에 모여 춤추고 노래할 때 추던 춤으로 돈돌날이춤이라고 부른다. 넉두리춤은 한국의 일반적 민속춤의 특징인 날씬하고 우아한 춤사위와 대조적으로, 활발하고 움직임이 잦고 절도가 명료한 모습을 보인다.
(6) 꼽추춤 과장
무동춤이 끝나면 양반은 꼭쇠에게 꼽추춤을 물러들이라고 한다. 꼽추춤은 꼽새츰이라고도 하며 장단이 매우 빠르다. 춤사위의 내용은 뒤뚱거리며 걷는 것,

추천자료

  • 가격9,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8.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93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