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민속놀이(전통놀이) 호드기불기, 풀각시놀이, 여름 민속놀이(전통놀이) 두꺼비집짓기, 사방치기(망줍기), 가을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놀이, 가마타기(가마싸움), 겨울 민속놀이(전통놀이) 썰매타기, 고누놀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봄 민속놀이(전통놀이) 호드기불기, 풀각시놀이, 여름 민속놀이(전통놀이) 두꺼비집짓기, 사방치기(망줍기), 가을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놀이, 가마타기(가마싸움), 겨울 민속놀이(전통놀이) 썰매타기, 고누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봄 민속놀이(전통놀이) 호드기불기
1. 참가인원
2. 방법
3. 참고

Ⅲ. 봄 민속놀이(전통놀이) 풀각시놀이

Ⅳ. 여름 민속놀이(전통놀이) 두꺼비집짓기

Ⅴ. 여름 민속놀이(전통놀이) 사방치기(망줍기)
1. 규칙
2. 유의점
3. 효과

Ⅵ. 가을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놀이

Ⅶ. 가을 민속놀이(전통놀이) 가마타기(가마싸움)
1. 놀이인원
2. 놀이장소
3. 놀이방법

Ⅷ. 겨울 민속놀이(전통놀이) 썰매타기

Ⅸ. 겨울 민속놀이(전통놀이) 고누놀이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체발달, 책임, 협동, 자아개념, 적응행동
Ⅵ. 가을 민속놀이(전통놀이) 자치기놀이
자치기는 전국적으로 알려진 남자아이들이 주로 하는 놀이다. 주로 겨울철에 많이 하는데, 운동량이 많기 때문에 놀이에 열중하다 보면 어느 새 온몸이 땀으로 젖는다. 날씨가 추워 방안에서 뒹굴다 보면 건강을 잃을 염려도 있는데 친구들과 자치기를 하며 신나게 뛰놀아 보자.
놀이 인원은 10명 이내면 적당하다. 자치기는 적당한 공간이 있어야 하며, 기왕이면 흙바닥으로 된 놀이판이 좋다. 놀이를 하려면 ‘자’라는 장난감이 필요하다.
*자 만들기
작은 자(새끼자) 만들기 : 지름 2.5 - 3 cm의 동그란 나무 막대를 사선으로 평행하게 양끝을 자른다. 길이는 15 - 20 cm 정도가 적당하다. 너무 짧으면 잘 칠 수 없고, 너무 길면 공격 시간이 길어 수비 편이 지루하다.
큰 자(어미자) 만들기 : 작은 자 정도의 굵기거나 조금 더 굵은 나무 막대를 길이 30 - 50 cm 정도로 준비한다.
Ⅶ. 가을 민속놀이(전통놀이) 가마타기(가마싸움)
1. 놀이인원
4-6명
2. 놀이장소
실외
3. 놀이방법
1)가위, 바위, 보를 해서 마지막까지 남은 두 아이가 가마꾼이 된다.
2)가마꾼이 되면 손을 엮어 가마를 만들어 제일 먼저 이긴 아이가 가마를 탄다.
3)미리 정한 곳을 돌아오고 나서 다시 가위, 바위, 보를 해서 가마꾼과 탈 아이를 정해서 계속 놀 수 있다.
Ⅷ. 겨울 민속놀이(전통놀이) 썰매타기
겨울철에 얼음이 얼면 사내아이들이 신발로 얼음을 지치며 놀거나 썰매를 만들어 타고 논다. 나무쪽을 깎아서 한 쪽에 날이 서게 만들고 철사를 입힌 것을 두 쪽으로 놓고 판때기를 덮어서 썰매를 만든다. 서도에서는 이것을 \'설매\'라 부른다. 썰매를 얼음 위에 놓고 두 발로 올라서서 양손에 서너 자 가량 긴 막대기 끝에 못을 박은 \'썰매딕\'을 갈라 쥐고 이것으로 얼음을 찍어 밀며 탄다.
Ⅸ. 겨울 민속놀이(전통놀이) 고누놀이
고누 놀이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주로 평민층의 놀이로 방법이 단순하여 쉽사리 익혀 잠시 쉬는 동안 논두렁이나, 그늘진 곳, 마당구석, 종이 같은 것에 말판을 그려놓고 서로 시합하는 민중 오락의 하나이다.
돌멩이나 나무토막 등으로 말을 삼아 약속된 놀이 규약에 따라 두어가면서 먼저 상대편의 말을 다 잡거나 상대편의 집을 차지하는 편이 이기는 것이다.
고누란 말의 어원은 알 수 없고 지방에 따라서 꼬누, 고니, 꼰,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