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목차
1.작업형 답안 작성 지시사항
2.표준지 조사
3.표준지 매목조사 야장
4.표준지 수고조사 야장
5.표준지 재적조사 야장
6.산림조사 야장
7.산림경영계획서
8.산림경영계획도
9.하층식생
2.표준지 조사
3.표준지 매목조사 야장
4.표준지 수고조사 야장
5.표준지 재적조사 야장
6.산림조사 야장
7.산림경영계획서
8.산림경영계획도
9.하층식생
본문내용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손바닥 전체에 습기가 묻고 물에 대한 감촉이 뚜렷함
-약건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손바닥에 습기가 약간 묻는 정도
-약습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손가락 사이에 약간의 물기가 비친 정도
-습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손가락 사이에 물방울이 맺히는 정도
-건조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수분에 대한 감촉이 거의 없음
●경사도계산
-완경사지(완) : 15도 미만
-경 사 지(경) : 15~20도 미만
-급경사지(급) : 20~25도 미만
-험 준 지(험) : 25~30도 미만
-절 험 지(절) : 30도 이상
●방위는 ?
-동, 서, 남, 북, 남동, 남서, 북동, 북서(8방위)
●토심은 ?
표층토에서 심층토까지의 깊이
-천 : 유효토심 30㎝미만
-중 : 유효토심 30㎝~60㎝ 미만
-심 : 유효토심 60㎝이상
●영급구분
Ⅰ : 1~10년생
Ⅱ : 11~20년생
Ⅲ : 21~30년생
Ⅳ : 31~40년생
:
Ⅹ : 91~100년생
●토성조사
-사토 : 점토함량 12.5% 이하
-사양토 : 점토함량 12.5 ~ 25%
-양토 : 점토함량 25 ~ 37.5%
-식양토 : 점토함량 37.5% ~ 50%
-식토 : 점토함량 50% 이상
●경급
-치수 : 흉고직경 6cm미만 임목이 50%이상 생육
-소경목 : 흉고직경 6~16cm미만의 임목이 50%이상 생육
-중경목 : 흉고직경 18~28cm미만의 임목이 50%이상 생육
-대경목 : 흉고직경 30cm이상의 임목이 50%이상 생육
●소밀도
조사면적 전체에 대한 입목의 수관면적이 차지하는 비율
-소 : 수관밀도가 41%이하인 임분
-중 : 수관밀도가 41~70%인 임분
-밀 : 수관밀도가 71%이상인 임분
15
⑶ 표준지 매목조사 야장
표준지 조사가 끝나면 근처에 천막으로 된 시험장에 가서 야장을 작성한다
1. 경영계획구는 행정리 사유림 일반경영계획구라고 쓰고 산림소재지, 조사일시, 표준지번호는 쓰지 않아도 된다
2. 임반, 소반의 번호는 1페이지 지시사항에 나와 있다
3. 표준지 면적은 20mX20m, 0.04ha이다
4. 임상은 소나무 천연림이므로 침엽수림이다
5. 수종은 소나무이므로 소나무를 써넣는다
6. 흉고직경은 6부터 40정도까지 넉넉하게 쓴다
7. 본수는 바를정자로 개수를 써넣고 계를 꼭 쓴다
8. 맨 아래에 계가 15가 맞는지 확인해본다
⑷ 표준지 수고조사 야장
1. 표준지 매목조사 야장과는 달리 수고조사 야장에서는 입목이 존재하는 흉고직경만 써넣는다
2. 원래 32의 값이 없는데 이렇게 중간에 하나가 없는 경우에는 위나 아래의 많은 곳에서 하나를 가져와서 채워 넣는다.
이렇게 중간에 하나 없는 경우에 가르쳐주는 사람마다 달라서 저도 헷갈렸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아래 표와 같이 32는 쓰지 않고 34를 써서 그냥 삼점평균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제가 여기서 감점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20
9.0
10.0
10.0
22
10.0
24
11.0
12.0
12.0
26
11.0
12.0
28
12.0
13.0
30
14.0
14.0
14.0
34
15.0
3. 평균과 삼점평균은 소수점 일의자리까지 써넣는다.(1페이지 문제의 지시사항)
4. 삼점평균은 맨 위와 아래는 그대로 적고 나머지는 해당 평균값과 위아래 평균값 세 개의 평균을 구한다
5. 적용수고는 삼점평균값의 일의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입한다(1페이지 문제의 지시사항)
⑸ 표준지 재적조사 야장
1. 수고는 표준지 수고조사야장의 적용수고의 값을 적는다
2. 단재적은 수간재적표를 이용하여 구하는데 여러 종류의 수간재적표 중 반드시 ‘강원지방소나무의 수간재적표’를 이용한다.
3. 재적은 단재적 X 본수 의 값을 적는다
4. 계는 1페이지의 지시사항 대로 재적의 합계는 소수점 셋째자리, 재계는 둘째자리까지 적는다
5. 표준지가 0.04ha이므로 ha당재적은 나누기 0.04를 하고 소반의 면적이 2.7ha 이므로 총재적은 ha당재적에 2.7을 곱한다
⑹ 산림조사 야장
1. 2소반은 입목이 30%이상 점유하고 있으므로 입목지이며 면적은 2.7ha이다
2. 강릉의 방위는 남서, 경사는 경 또는 험, 토성은 사양, 토심은 중, 습도는 약건, 지리는 1급지이다
3. 임령의 값은 시험감독관이 알려준다
4. 축적은 재적조사야장에서 계산한 값을 써넣는다
5. 참고사항은 왼쪽과 같은 식으로 써넣으면 된다.
⑺ 산림경영계획서
1. 위와 같이 채워넣으면 되고 경영계획기간은 1페이지 문제에 나와있는 날짜에 10년을 더하고 하루를 빼야한다. 만약 2013년 1월 1일이면 2022년 12월 31일이 된다
2. 산림현황에 산지구분은 보전산지(임업용 산지)로 적는다. 산지관리법 제 4조에 따른 산지의 구분을 말한다
보전산지
임업용산지
①채종림 및 시험림의 산지
②요존국유림의 산지
③임업진흥권역의 산지
④그 밖에 필요한 산지
공익용산지
①자연휴양림의 산지
②사찰림의 산지
③산지전용일시사용제한지역
④야생생물 보호구역의 산지
⑤공원구역의 산지
⑥문화재보호구역의 산지
⑦상수원보호구역의 산지
⑧개발제한구역의 산지
⑨녹지지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녹지지역의 산지
⑩생태경관보전지역의 산지
⑪습지보호지역의 산지
⑫특정도서의 산지
⑬백두대간보호지역의 산지
⑭산림보호구역의 산지
⑮그 밖에 필요한 산지
준보전산지
보전산지 외의 산지
3. 자세한 내용은 뒤쪽에 산림경영계획서의 기재 방법 관련 법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여기부터는 자기가 나름대로 경영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세워서 쓰면 된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이건 정답이 아니라 제가 시험 때 썼던 내용을 예시로 참고하시라고 보여드리는 겁니다. 특히 이 부분은 학교에서나 교육 받았던 곳에서나 다 가르쳐주는 방법이 달라서 저도 확실히는 잘 모르겠습니다
5. 경영목표는 ‘소나무를 60년 벌기령으로 우량대경재 생산‘ 이라고 세웠다.
※인공림의 목표산림
대경재
중경재
소경재
목표지름
40㎝ 이상
40㎝ 미만 20㎝ 이상
20㎝ 미만
용도
문화재, 화장단판, 합판, 고급제재(각재, 판재) 구조재, 고급건축재, 가구재, 악기 등
건축재, 소형가구재, 공예재, 일반제재(각재, 판재) 등
가설재, 포장재, 일반제재(소각재, 소판재), 펄프재,
-약건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손바닥에 습기가 약간 묻는 정도
-약습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손가락 사이에 약간의 물기가 비친 정도
-습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손가락 사이에 물방울이 맺히는 정도
-건조 : 손으로 꽉 쥐었을 때 수분에 대한 감촉이 거의 없음
●경사도계산
-완경사지(완) : 15도 미만
-경 사 지(경) : 15~20도 미만
-급경사지(급) : 20~25도 미만
-험 준 지(험) : 25~30도 미만
-절 험 지(절) : 30도 이상
●방위는 ?
-동, 서, 남, 북, 남동, 남서, 북동, 북서(8방위)
●토심은 ?
표층토에서 심층토까지의 깊이
-천 : 유효토심 30㎝미만
-중 : 유효토심 30㎝~60㎝ 미만
-심 : 유효토심 60㎝이상
●영급구분
Ⅰ : 1~10년생
Ⅱ : 11~20년생
Ⅲ : 21~30년생
Ⅳ : 31~40년생
:
Ⅹ : 91~100년생
●토성조사
-사토 : 점토함량 12.5% 이하
-사양토 : 점토함량 12.5 ~ 25%
-양토 : 점토함량 25 ~ 37.5%
-식양토 : 점토함량 37.5% ~ 50%
-식토 : 점토함량 50% 이상
●경급
-치수 : 흉고직경 6cm미만 임목이 50%이상 생육
-소경목 : 흉고직경 6~16cm미만의 임목이 50%이상 생육
-중경목 : 흉고직경 18~28cm미만의 임목이 50%이상 생육
-대경목 : 흉고직경 30cm이상의 임목이 50%이상 생육
●소밀도
조사면적 전체에 대한 입목의 수관면적이 차지하는 비율
-소 : 수관밀도가 41%이하인 임분
-중 : 수관밀도가 41~70%인 임분
-밀 : 수관밀도가 71%이상인 임분
15
⑶ 표준지 매목조사 야장
표준지 조사가 끝나면 근처에 천막으로 된 시험장에 가서 야장을 작성한다
1. 경영계획구는 행정리 사유림 일반경영계획구라고 쓰고 산림소재지, 조사일시, 표준지번호는 쓰지 않아도 된다
2. 임반, 소반의 번호는 1페이지 지시사항에 나와 있다
3. 표준지 면적은 20mX20m, 0.04ha이다
4. 임상은 소나무 천연림이므로 침엽수림이다
5. 수종은 소나무이므로 소나무를 써넣는다
6. 흉고직경은 6부터 40정도까지 넉넉하게 쓴다
7. 본수는 바를정자로 개수를 써넣고 계를 꼭 쓴다
8. 맨 아래에 계가 15가 맞는지 확인해본다
⑷ 표준지 수고조사 야장
1. 표준지 매목조사 야장과는 달리 수고조사 야장에서는 입목이 존재하는 흉고직경만 써넣는다
2. 원래 32의 값이 없는데 이렇게 중간에 하나가 없는 경우에는 위나 아래의 많은 곳에서 하나를 가져와서 채워 넣는다.
이렇게 중간에 하나 없는 경우에 가르쳐주는 사람마다 달라서 저도 헷갈렸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아래 표와 같이 32는 쓰지 않고 34를 써서 그냥 삼점평균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제가 여기서 감점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20
9.0
10.0
10.0
22
10.0
24
11.0
12.0
12.0
26
11.0
12.0
28
12.0
13.0
30
14.0
14.0
14.0
34
15.0
3. 평균과 삼점평균은 소수점 일의자리까지 써넣는다.(1페이지 문제의 지시사항)
4. 삼점평균은 맨 위와 아래는 그대로 적고 나머지는 해당 평균값과 위아래 평균값 세 개의 평균을 구한다
5. 적용수고는 삼점평균값의 일의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정수로 기입한다(1페이지 문제의 지시사항)
⑸ 표준지 재적조사 야장
1. 수고는 표준지 수고조사야장의 적용수고의 값을 적는다
2. 단재적은 수간재적표를 이용하여 구하는데 여러 종류의 수간재적표 중 반드시 ‘강원지방소나무의 수간재적표’를 이용한다.
3. 재적은 단재적 X 본수 의 값을 적는다
4. 계는 1페이지의 지시사항 대로 재적의 합계는 소수점 셋째자리, 재계는 둘째자리까지 적는다
5. 표준지가 0.04ha이므로 ha당재적은 나누기 0.04를 하고 소반의 면적이 2.7ha 이므로 총재적은 ha당재적에 2.7을 곱한다
⑹ 산림조사 야장
1. 2소반은 입목이 30%이상 점유하고 있으므로 입목지이며 면적은 2.7ha이다
2. 강릉의 방위는 남서, 경사는 경 또는 험, 토성은 사양, 토심은 중, 습도는 약건, 지리는 1급지이다
3. 임령의 값은 시험감독관이 알려준다
4. 축적은 재적조사야장에서 계산한 값을 써넣는다
5. 참고사항은 왼쪽과 같은 식으로 써넣으면 된다.
⑺ 산림경영계획서
1. 위와 같이 채워넣으면 되고 경영계획기간은 1페이지 문제에 나와있는 날짜에 10년을 더하고 하루를 빼야한다. 만약 2013년 1월 1일이면 2022년 12월 31일이 된다
2. 산림현황에 산지구분은 보전산지(임업용 산지)로 적는다. 산지관리법 제 4조에 따른 산지의 구분을 말한다
보전산지
임업용산지
①채종림 및 시험림의 산지
②요존국유림의 산지
③임업진흥권역의 산지
④그 밖에 필요한 산지
공익용산지
①자연휴양림의 산지
②사찰림의 산지
③산지전용일시사용제한지역
④야생생물 보호구역의 산지
⑤공원구역의 산지
⑥문화재보호구역의 산지
⑦상수원보호구역의 산지
⑧개발제한구역의 산지
⑨녹지지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녹지지역의 산지
⑩생태경관보전지역의 산지
⑪습지보호지역의 산지
⑫특정도서의 산지
⑬백두대간보호지역의 산지
⑭산림보호구역의 산지
⑮그 밖에 필요한 산지
준보전산지
보전산지 외의 산지
3. 자세한 내용은 뒤쪽에 산림경영계획서의 기재 방법 관련 법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여기부터는 자기가 나름대로 경영목표를 세우고 계획을 세워서 쓰면 된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이건 정답이 아니라 제가 시험 때 썼던 내용을 예시로 참고하시라고 보여드리는 겁니다. 특히 이 부분은 학교에서나 교육 받았던 곳에서나 다 가르쳐주는 방법이 달라서 저도 확실히는 잘 모르겠습니다
5. 경영목표는 ‘소나무를 60년 벌기령으로 우량대경재 생산‘ 이라고 세웠다.
※인공림의 목표산림
대경재
중경재
소경재
목표지름
40㎝ 이상
40㎝ 미만 20㎝ 이상
20㎝ 미만
용도
문화재, 화장단판, 합판, 고급제재(각재, 판재) 구조재, 고급건축재, 가구재, 악기 등
건축재, 소형가구재, 공예재, 일반제재(각재, 판재) 등
가설재, 포장재, 일반제재(소각재, 소판재), 펄프재,
추천자료
기사제도와 기사도(중세문화)
기사 첫머리 유형, 기사 바르게 읽는 법
현대사회의 가족문제에 해당하는 신문기사를 1개 스크랩 한 후 기사에 해당하는 가족문제에 ...
부모역할에 관한 최근의 보도 자료(신문 및 잡지 등) 2편을 골라 제시하고 기사의 선정근거와...
부모역할에 관한 최근의 보도 자료(신문 및 잡지 등) 2편을 골라 제시하고, 기사의 선정근거...
지금까지 학습하였던 부모역할 관련 내용과 아동기 전반의 발달특성 혹은 각 시기별 부모역할...
2012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일간지 신문기사 가운데 관심 있는 기사를 하나 골라서 ...
[보육교사 민감성] 예비보육교사로서 민감성을 기르기 위해 보육교사 관련 기사를 찾아 읽고,...
[뉴스취재와기사쓰기 공통] 아래에 제공된 정보를 바탕으로 스트레이트 기사 1개와 미니 인터...
무상보육관련기사분석(사회복지정책론, 무상보육기사분석, 무상보육언론보도, 개인의견)
[사회복지관련 기사] 본인이 관심 있는 사회복지분야의 신문(잡지)기사를 3개 스크랩한 후, ...
아동복지의 사각지대와 관련된 기사를 찾아보고 해당기사에서 말하고자 하는 복지문제는 무엇...
노인관련기사스크랩 신문 관련기사 6건과 의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