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공연예술 4학년] 교재 제14장과 제15장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20세기 초에 나온 중국 최초의 영화 《定軍山》으로부터 1980년대 제6세대감독의 실험영화에 이르는 중국영화의 발달과정에 대해 논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공연예술 4학년] 교재 제14장과 제15장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20세기 초에 나온 중국 최초의 영화 《定軍山》으로부터 1980년대 제6세대감독의 실험영화에 이르는 중국영화의 발달과정에 대해 논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20세기 초에 나온 중국 최초의 영화 《定軍山》
2. 중국의 1980년대 제6세대 감독의 실험영화
3. 중국영화의 발달과정 - 중국의 1900년대 초 영화(제1세대, 제2세대, 제3세대)
1) 1905년∼20년대
2) 1930년대 황금기
3) 일제점령기
4. 중국영화의 발달과정 - 중국 제4세대 영화
1) 제4세대 감독의 특징
2) 제4세대 영화의 특징
5. 중국영화의 발달과정 - 중국 제5세대 영화
1) 제5세대 감독의 특징
(1) 천카이거(陳凱歌)
(2) 톈좡좡(田壯壯)
(3) 장이머우(張藝謀)
2) 제5세대 영화의 특징
(1) 패왕별희(覇王別姬)
(2) 푸른연(藍風箏)
(3) 인생(活着)
3) 제5세대 영화와 문화대혁명
6. 중국영화의 발달과정 - 중국 제6세대 영화
1) 제6세대 감독의 특징
(1) 왕샤오솨이
(2) 러우예
(3) 장위안
2) 제6세대 영화의 특징
3) 2000년대 중국영화의 특징
7.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미 全세계에 그 위상을 떨치고 있는 현실이다.
1895년 12월 28일 뤼미에르(Lumiere)형제에 의해 20세기 최고의 발명품인 영화가 만들어졌다. 그 이듬해인 1896년에 현대 서구 과학과 테크놀로지의 응집체인 영화가 중국에 수입되었다. 당시의 역사적 배경 속에서 이 새로운 형태의 예술은 예술로서의 지위보다는 서구열강의 중국에 대한 일종의 投機에 가까웠다. 다른 교역품목과 마찬가지로 영화도 서구에 의해 일방통행적으로 중국에 수입되어진 강제적 상징물의 다름 아니었다. 과정이야 어찌 됐든, 이 외래품은 중국의 경극을 그대로 필름에 담아내는 것을 시작(『딩쥔산)(定軍山,1905)』)으로 중국에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다. 초기 영화 창작은 서구 미학의 맹목적인 모방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였지만 20년대로 넘어오면서 지각 있는 영화인들에 의해 영화는 예술적 잠재능력을 마음껏 발휘하게 되었다. 30년대에는 사회적 리얼리즘의 基調하에 사회의 諸문제들에 대해 비판과 개혁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은 영화를 공산혁명이라는 새로운 사회체계 정비에 복속시켰다. 즉, 영화 창작에 있어-영화뿐만 아니라 모든 문예를 다 포함-기존의 사회적 리얼리즘의 부정과 더불어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제창되었다. 1957년 후반 反우파 투쟁 이후 문예 전반에 “예술적 성과를 구하지 말고, 정치적으로 과오를 범하지 말라”는 분위기가 팽배했고, 영화계는 다른 문예계와 마찬가지로 된서리를 맞게 되었다. 이런 상황은 결국 장칭(江靑)의 “8개 모범극영화”의 비극을 야기하였다. 이에 문혁시기 중국인들은 오직 이 8개의 모범극만을 볼 수 있었다. 이 모범극영화는 중국 “문혁”시기에 만들어진 “오직 한집이 독점하여 분점이 없는 특산품”이었다. 이러한 文化專制주의는 문혁의 종결과 1978년 덩샤오핑(鄧小平)의 개혁개방 정책에도 불구하고 여전하였다.
2. 중국의 1980년대 제6세대 감독의 실험영화
90년대 초, 제5세대들의 영화가 국제무대에서 각광받고 있을 때, 중국 영화계에는 새로운 젊은 영화감독들이 대거 등장 하고 있었다. 그들은 제 6세대라고 불렸고 최근까지 각별한 관심을 끌고 있으며, 중국 영화의 현실을 가장 잘 대변해 주고 있는 감독들이라 할 수 있다. 제6세대 감독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선배 감독들의 현실타협을 비판하며 더욱 강도 높은 사회 비판의 목소리를 내왔다. 왕샤오솨이, 러우예, 장위안 등을 제6세대 감독이라 일컫는다. 제6세대 감독들은 공교롭게도 그들이 졸업하고 현장에 뛰어들던 그 해에 제5세대와는 또 다른 방식으로 천안문사건을 경험한다. 그러나 자신들의 윗세대는 여전히 현실에 대해, 천안문과 베이징에 대해서 말하지 않고 있었다. 그리하여 제6세대는 그들 스스로의 방법으로 사회와 소통하는 영화를 만들기 시작했다.
3. 중국영화의 발달과정 - 중국의 1900년대 초 영화(제1세대, 제2세대, 제3세대)
1) 1905년∼20년대
최초의 작품은 1905년 베이징[北京(북경)]에서 촬영, 제작된 경극(京劇) 《정군산(定軍山)》이다. 또 시나리오를 가지고 찍은 최초의 극영화는 13년 상하이[上海(상해)]에서 만든 《난부난처(難夫難妻)》였다. 이것은 부모의 의향에 따라 강제로 결혼하게 된 남녀의 희비극을 다룬 것으로 뒤에 중국 영화의 중요 테마 중 하나가 된 반봉건을 주제로 한 최초의 작품이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한편 당시 영화는 영화 제작의 중심지인 상하이에서 상영된 서양영화의 영향을 받았으리라 추정된다. 20년대에 들어서는 밍싱[明星(명성)]·톈이[天一(천일)] 등의 큰 제작사가 설립되어 제작이 활발해졌다. 당시의 인기 영화는 원앙호접파(鴛鴦蝴蝶派)라 불리던 재자가인(才子佳人)의 연애물과 무협영화였다.
2) 1930년대 황금기
31년 만주(滿洲)사변, 32년 상하이사변을 계기로 각본가 샤옌[夏衍(하연)]을 비롯한 좌익 영화인들이 적극적으로 밍싱·렌화[聯華(연화)] 등의 영화사에서 일하게 되면서 항일구국·반봉건·반매판자본의 주제를 담은 영화들이 제작되었다. 당시 작품으로는 농촌이 자본주의 시장원리로 어지럽혀지는 과정을 그린 정부가오[程步高(정보고)] 감독의 《춘잠(春蠶, 1933)》, 일하는 여성의 자립을 호소하는 작품인 장스촨[張石川(장석천)] 감독의 《지분시장(脂粉市場, 1933)》, 청년들이 항일을 위하여 도로공사에 참가하는 내용의 쑨위[孫瑜(손유)] 감독 영화 《대로(大路, 1934)》 등이 있다. 한편 일본과의 무력충돌을 피하고 중국공산당과의 대결을 우선시한 국민당 정부에 의하여 직접적인 항일 표현과 좌익적 주제가 검열·삭제되는 등 탄압을 받기도 하였다.
3) 일제점령기
일본이 37년부터 45년까지 중국에서 전쟁을 감행하는 동안 영화인 일부는 상하이를 떠나 다른 지방에서 항일영화를 만들었으나 대다수는 그대로 남아 활동하였다. 한편 41년 말 태평양전쟁 시작 전까지는 촬영소가 서양세력의 조계지(租界地) 내에 있었기 때문에 우의적인 항일영화 제작이 가능하였다. 이때 부완창[卜萬蒼(복만창)] 감독 영화 《목란종군(木蘭從軍, 1939)》이 만들어졌다. 이는 당(唐)나라 때의 여성이 북방의 침략자와 싸우는 내용의 소녀가극풍의 영화였는데 항일(抗日)의 우의(寓意)가 담겨 있었으므로 크게 성공하였다. 그 뒤 촬영소가 일본인의 지배를 받게 되자 중국국민에게 무해무득하고 주제가 불분명한 작품이 제작되었다. 그러나 일본인 감독자가 영화 내용에는 참견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쉬웨이방[馬徐維邦(마서유방)] 감독의 《추해당(秋海棠, 1943)》 등과 같은 민족적 굴욕감을 통렬하게 표현한 걸작도 등장할 수 있었다.
4. 중국영화의 발달과정 - 중국 제4세대 영화
1) 제4세대 감독의 특징
제 4세대 감독은 대부분 문혁 이전의 베이징영화대학(北京電影學院), 상하이영화대학(上海電影學院 및 각 영화제작소가 배양한 학생들도 포함)을 졸업하였는데, 그들은 장기간 노(老)감독의 조수 역할을 담당하다 샤인방 이 무너진 후인 1970년대 말과 80년대 초에 비로소 독립적인 영화제작의 기회를 가지게 되어 자신들의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게 되었다. 제 4세대 감독으로 장놘신(張暖), 정둥톈(鄭洞天), 황
  • 가격3,6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03.10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9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