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부전 (진단명 : Postrenal AKI, HT, DM, Rt.extraperitonal hemato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부전 (진단명 : Postrenal AKI, HT, DM, Rt.extraperitonal hemato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개요
 2. 정의
 3. 증상
 4. 원인, 병태생리-병태생리에 따른 분류/요량에 따른 분류
 5. 진단
 6. 합병증
 7. 치료
 8. Outcome & long-term prognosis
<요로결석>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예방
 -관련 시술: PCN→시술의 필요성, 시술 설명, 치료경과, 휴유증 및 합병증

Ⅱ. 본론-환자정보

Ⅲ. 진단적 검사 및 결과

Ⅳ. 간호과정(3)

본문내용

uthan
50mg
200mg*1
(CRRT
anti.coagulation용)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섬유소용해제(혈전용해제)
1. 심혈관계: 심계항진, 빈맥
2. 피부: 홍조, 작열감 (정맥주사)
3. 위장관계: 오심, 구토, 소화불량, 위통증
4. 신경계: 진전, 불면증
minocin
50mg
100mg*2
(PO)
감수성이 있는 세균의 50s ribosomal subunits과 결합하여 단백질 함성 저해
1. 내분비계: 고칼륨혈증
2. 위장관계: 식욕 부진, 오심, 구토
3. 혈액: 출혈, 약물 유도성 호산구 증가증
4. 면역: 과민 반응
5. 신경계: 두통
hemosol
CRRT용
인공신장관류용제
Ⅳ. 간호과정
★ 객담증가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
객관적 자료
-인공기도 삽입 후 숨쉴 때마다 객담소리 남.
-기침하는 모습 관찰됨.
-기침 시 ETT통해 Purulent & thick secretion관찰됨
-Lung sound: crackles
-vent monitoring: TV 200~250, peak pr: 40
(setting: TV 450, RR 20회/min, PEEP 10, FiO2 0.8)
-V/S: BP 179/88(105), HR 124bpm. BT 37.6℃, RR 30회/min
-peripheral SpO2 86~88%관찰됨
간호진단
객담증가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
간호목표
-호흡수와 SpO2 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vent setting에 맞는 적정 TV이 관찰된다.
-효율적으로 객담을 배출시킨다.
간호계획

수행
간호계획
① 호흡수와 호흡양상, 호흡음을 사정한다.
② 매 4시간 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 ETT통해 suction을 시행함으로 객담을 배출시킨다.
④ suction전 100%산소를 투여한다.
⑤ suction시 진동법, 타진법, 체위배액법 등을 시행한다.
⑥ 객담양상, 양, 색깔을 관찰한다.
⑦ 효율적인 객담배출을 위해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⑧ suction시 SpO2와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한다.
⑨ 규칙적으로*필요시 suction을 시행한다.
간호수행
① 호흡수와 호흡양상, 호흡음을 사정하였다.
② 매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③ ETT통해 suction을 시행하였다.
④ suction전 100%산소를 투여하였다.
⑤ suction시 진동법과 타진법을 시행하였다.
⑥ 객담양상, 양, 색깔을 관찰하였다: purulent&thick secretion 다량 관찰됨.
⑦ 효율적인 객담 배출을 위해 체위변경을 시행하였다.
⑧ suction시 SpO2와 환자의 전반적인 상태를 관찰하였고 SpO2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⑨ 2시간간격으로 체위변경과 함께 suction을 시행하였고 객담 증가시 suction을 시행하였다.
평가
① suction후 SpO2 95%, RR 24회/min관찰됨.
② lumg sound는 여전히 crackles
③ suction시 purulent&thick secrestion다량 관찰됨.
④ vent monitoring: TV 430~480, Peak pr 18~22
⑤ 기침하는 모습은 줄어들고 호흡양상 안정적임.
★ catheter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객관적 자료
-abd.CT상 Both ureteral stone관찰되나 고령, general condition고려하여 Rt. femoral dual lumen cath통해 CRRT유지중임..
-urination유지 위해 10/11 both PCN cath시행함.
검사명
10/10
10/11
10/12
10/13
WBC
14.66
14.91
16.16
15.30
CRP
0.99
0.86
14.54
12.53
간호진단
catheter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catheter삽입부위는 감염의 징후 없이 clear하게 유지 될 것이다.
catheter삽입으로 인한 감염증상은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수행
간호계획
① 활력징후를 규칙적으로 측정한다.
② 시술부위의 dressing상태를 자주 사정하고 매일 dressing시행한다.
③ dressing교환 시 무균법을 철저히 지킨다.
④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확인한다.
⑤ dressing이 견고하게 유지되며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⑥ dressing부위가 오염되었을 경우 즉시 dressing을 시행한다.
간호수행
① 2시간 간격 활력징후를 규칙적으로 측정해 체온변화를 모니터 하였다.
② 시술부위 dressing상태를 자주 관찰하고 매일 dressing을 시행하였다.
③ dressing교환 시 무균법을 철저히 지켰다.
④ 혈액검사를 실시하고 검사결과를 매일 확인 하였다.
⑤ dressing상태가 깨끗하게 유지되었다
⑥ dressing부위가 오염된 경우(bleeding 등) 즉시 dressing을 새로 시행하였다.
평가
-dressing부위는 clear하게 유지되었다.
-dressing부위는 발적, 열감 등 감염의 징후가 관찰되지 않았다.
검사명
10/14
10/15
10/16
10/17
WBC
16.74
12.61
5.98
7.52
CRP
9.14
5.41
3.03
0.61
★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객관적 자료
- ETT통해 Vent care중으로 ultiva 0.2mcg/kg/min infusion하며 sedation중임.
- 침상안정 상태임.
- 양손 억제대 적용 중으로 활동 제한적임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간호목표
대상자는 피부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욕창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간호계획

수행
간호계획
① 욕창호발 부위를 자주 사정한다.
② 부동으로 인한 피부압박을 예방하기 위해 2시간 간격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③ 충분한 영양을 공급한다.
④ 피부를 건조하지 않게 유지한다.
간호수행
① 체위변경 시 마다 욕창 호발부위를 사정하였다.
②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을 시행하였다.
③ 수액(20%DW, 영양제)으로 영양을 공급하였다.
④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션을 바르고 젖은 린넨류는 즉시 교환하였다.
평가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 유지함.
피부는 건조하지 않게 유지됨
욕창은 관찰되지 않음.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4.11.19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0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