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스포츠 마케팅 SWOT,STP,4P 전략분석과 코오롱스포츠 브랜드분석및 미래방향제안 보고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코오롱스포츠 마케팅 SWOT,STP,4P 전략분석과 코오롱스포츠 브랜드분석및 미래방향제안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 코오롱스포츠 브랜드 선정배경

Ⅱ. 본론
ⅰ. 아웃도어 시장상황분석
1, 아웃도어시장 현황분석
2. 아웃도어 브랜드 시장진단

ⅱ. 코오롱스포츠 기업분석
1. 코오롱스포츠 제품라인분석
2. 코오롱스포츠 시장점유율과 매출액
3. 코오롱스포츠 SWOT 분석

ⅲ. 경쟁자 분석 (노스페이스)
1. 노스페이스 제품분석
2. 노스페이스 시장점유율과 매출분석

ⅳ. 코오롱스포츠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ⅴ. 코오롱스포츠 마케팅 4P전략분석
1. Product(제품) 분석
2. Price(가격) 분석
3. Place(유통) 분석
4. Promotion(촉진) 분석


Ⅲ .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구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등산복과 등산용품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였고, 등산복을 평상복처럼 입는 트렌드도 생겨났다.
또한 아웃도어용품 관련 기업들의 TV광고 및 이벤트를 통한 마케팅 확대로 소비자들로 하여금 아웃도어에 대한 인식을 우리 생활에서 일상적으로 떠올릴 수 있도록 인식을 재고하였다.
과거와 달리 아웃도어 의류의 강점인 기능성에 유행 및 트렌드를 존중하는 패션성을 접목시켜 다 복종에선 볼 수 없는 차별화된 아이템 출시 또한 소비자의 니즈에 맞아 떨어져 소비자 스펙트럼을 기존 중, 장년층에서 젊은 층으로 넓혀 나가고 있다.
(출처 : 패션비즈 2010년 9월호)
2. 아웃도어 브랜드 시장진단
현재 아웃도어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는 패션 대기업은 물론 시장 진입 전인 대기업과 중견기업 사이에서도, 가능성 있는 아웃도어 브랜드에 대한 M&A 문의가 급증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이 점이 시사하는 바는 기존 브랜드들의 시장 장악력이 크기 때문에 시장 진입 시기를 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한편 4조 원대 규모의 시장에 비해 상품의 구성이나 영역이 등산이나 캠핑 등 한정된 분야에 치중되어 있어 시장상황이 거품이 올라온 상태라고 진단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ⅱ. 코오롱스포츠 기업분석
코오롱 스포츠는 1973년부터 \"GREEN\"을 기본색상으로 정하고 상록수 심볼마크와 함께 자연사랑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 또한 등산의류, 용품으로 고객과의 만남을 시작하여 지난 30여년동안 국내 아웃도어 문화를 보급화 시켜왔다.
코오롱스포츠는 인간이 자연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음을 깊이 인식하고 자연 속에서 편안한 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체험적 테스트와 장기적인 연구개발에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1. 코오롱스포츠 제품라인분석
현재 코오롱 스포츠는 총 4가지의 제품라인이 형성되어있다. 각 제품라인은 제품의 용도와 디자인으로 분석되어 있으며 각각의 특징에 맞춘 다양한 ( 캐주얼 + 스포츠 = 캐포츠 )의류가 포진하고 있다.
[ EXTREME ]
TECHNICAL EXPERT 컨셉으로 EXTREME LINE은 고산원정(히말라야), 극지탐험 등 극한의 자연환경에서 신체를 보호하고, 최적의 신체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최고의 기능성을 추구하는 최 전문형 제품라인이다. 주로 고산 원정대나 전문 산악인 등이 주로 이용한다.
[ TREKKING ]
TECHNICAL FRONTIER STYLISH COMFORT라인 컨셉으로 TREKKING LINE은 아웃도어의 기능성과 패션적인 감도를 겸비한 대중적 아웃도어 기능성 제품이다. 아마추어 마운티어 & 아웃도어 활동에 주로 사용한다.
[ TRANSITION ]
TRANSITION CITY TO NATURE 컨셉으로 TRANSITION LINE은 도시와 자연의 환경변화에서 신체를 보호하고 BOBOS적 감성을 아웃도어 TECHNOLOGY로 표현한 OUTDOOR CASUAL LINE이다. BOBOS, 전문직 종사자 & 새로운 것을 증기는 NEW 30’s가 주로 이용한다.
[ PERFORMANCE ]
ATHLETIC OUTDOOR 컨셉으로 가볍고 빠른 Perfomance을 인체공학적(ergonomic)디자인과 Sports적 감성으로 스타일 리쉬하게 표현한 Modern캐주얼라인이다. 활동적인 OUTDOOR ACTIVITY에 적극적인 소비자가 주로 사용한다. ( 출처= http://www.kolonsport.com/ [코오롱스포츠] )
이처럼 4가지의 제품라인을 통해 타사와 차별적 요소를 두고 있다. 그러나 기능적인 부분에 많은 역량을 두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신뢰가 부족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그리하여 올드한 이미지의 코오롱을 벗어나기 힘든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2. 코오롱스포츠 시장점유율과 매출액
코오롱 스포츠는 전년보다 15.09% 증가한 6천 1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해 노스페이스(화이트라벨 포함, 6천 450억 원, 전년보다 4.9% 증가)를 턱밑까지 따라잡는데 성공했다. 두 업체의 매출 격차는 2010년 1천 100억 원에서 2011년 850억 원으로 좁혀지다 지난해 350억 원으로 확 줄었다.
(국제신문 디지털뉴스부 ‘아웃도어 불황은 없었다...’ 2013/01/03)
코오롱 스포츠를 구매하는 층을 인구통계학적으로 분석해보면 50대 이상이 48.8%, 40대 46.2%, 30대 21.4%, 20대 9.3%을 보이고 있다.
( - 등산복구매행동의 특성 연구 2006 박옥련 이지나 석사논문 참조. - )
이처럼 코오롱은 M/S로서 시장에서 우위를 참여하고 있고 매출액이 증가추세이며 40대 50대 구매층들이 대단이 두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 패션비즈 2010년 9월호)
3. 코오롱스포츠 SWOT 분석
Strengths
Weaknesses
- 차별화된 기능성 제품라인
구비로 경쟁력 보유
(코오롱 스포츠 특허기술
‘Technical Sole’,
‘Heatex system’ 보유)
- 스포츠+캐주얼=캐포츠라는
아웃도어를 추구하고 있음
- 전통성과 신뢰성에 강점
- 높은 브랜드로열티
- 안정적 영업 노하우(유통)
(경북 구미 코오롱케미컬
; 자체생산)
- 지속적 브랜드 업그레이드
용품 및 의류기획에 강함
- old한 이미지
- 젊은층 시장확대를 노릴
1등 전략 부재
- 오래된 브랜드로 인한
낡은 이미지
- 일상복으로의 전환 어려움
부족한 해외 인지도
국산 브랜드라는 위치에 비해 고가의 상품; 소비자에게 부담 전가
- 통일된 브랜드 이미지 미흡
Opportunities
Threats

- 주5일 근무제로 레저스포츠
즐기는 2030 인구 증가
- 젊은 층으로의 아웃도어 시장확대
- 원단생산능력을 바탕으로 시장의
가격을 주도 할 수 있음
- 국민 소득 증가로 인한 여가활동
지출액의 증가
- 외국계 브랜드의 시장 진입
- 후발주자 위협에 따른 경쟁
심화
- 국내의 많은 경쟁사
환율하락으로 인한 가격경쟁력 하락
SWOT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 할 수 있었다.
Strengths + Opportunities을 이용한 기존의 고기능성 기술력있는 아웃도어 전문브랜드로서의 강점을 가지고
  • 가격4,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4.11.24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1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