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이해 - 천안문 사건으로 보는 중국의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이해 - 천안문 사건으로 보는 중국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976년의 천안문 사건

2. 1989년의 천안문 사건
2_1 경제적 배경
2_2 사회, 문화적 배경
2_3 정치적 배경
(1) 천안문 사건의 경과
(2) 사진으로 보는 천안문 사건
(3) 천안문 사건 이후의 중국
_1. 천안문 시위 실패의 주요 원인.
_2. 천안문 사건의 영향_대외적
_3. 천안문 사건의 영향_대내적
(4) 천안문 사건의 의의

본문내용

않을 뿐만 아니라 적을 만들지도 않는’신중한 실용외교 전략 덕택에 중국은 세계 역사상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고도 경제성장을 달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한.중.일 외교 삼국지-중국과 일본의 외교전략과 한반도, 우수근, 2008, 삼성경제연구소
_3. 천안문 사건의 영향_대내적
천안문 사건이 중국의 대외적, 경제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천안문 사건이 중국의 대내적, 정치적으로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도록 하자. 천안문 사건은 중국정치의 우경화의 방향선회를 불렀다. 이 우경화가 중국의 개혁, 개방정치를 포기하게 만든 것이 아니라 그 속도를 조금 늦추게 되었다. 정치적으로는 개혁 면에서는 진전이 되었다고 볼 수 없겠다. 오히려 주민들의 사상교육 강화등 체제유지를 위한 전형적인 공산주의 국가 정부의 형태를 보여주었다.
정치적인 색깔이 우쪽으로 더욱 치우쳤다면 이제 정치권력이 어떻게 흘러갔는가를 살펴보자. 천안문 사건의 제일 큰 수혜자는 장쩌민이다. 당시 상하이시 당위서기였던 장쩌민은 원래 퇴직할 준비를 하고 있었으나 6.4민주화운동 진압에서 중요한 배역을 맡음으로써 단번에 당정군(黨政軍) 최고 권력을 한 손에 틀어쥔 핵심 인물로 뛰어오르게 되었다. 천안문 사건이 없었으면 은퇴해 교수가 되었을 것이라는 본인의 발언은 통해 천안문 사건의 큰 수혜자는 장쩌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1월 6일에서 9일까지 개최되었던 제5차 중앙위원회전체회의에서 덩샤오핑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을, 이어 1990년 4월에는 마지막 공직이었던 국가중앙군사위원회 주석직을 사임하고 장쩌민 총서기가 두 직책을 모두 승계함으로써 당과 정부의 전권을 완전히 장악하였다.1990년 1월 11일, 북경시의 계엄령이 해제되었다. 장쩌민은 2002년 당 총서기, 2003년 국가 주석, 2004년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을 지냈으며, 2005년 5월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자리를 후진타오에게 물려주어 정권교체를 이루었다.
(4) 천안문 사건의 의의
중국의 민주화 운동의 일환이었던 천안문 사건, 중국의 민주주의를 논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1989년 6월에 발생한 천안문 사건이다. 서구에서는 1978년 중국이 개혁개방 정책을 시작한 이후 경제변화가 정치변화를 촉진할 것이라는 낙관적인 예측을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1980년대에 덩샤오핑 등 중국공산당 내의 개혁파들이 경제개혁과 함께 정치개혁을 주된 의제로 강조하였던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예측이 전혀 근거 없는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 천안문 사건은 중국에서의 민주주의가 그처럼 단순한 문제는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천안문 사건은 자유주의적 경향에 동정적 태도를 취했다는 이유로 보수파 원로들의 비판을 받고 총서기직에서 축출되었던 후야오방의 1989년 4월 사망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베이징의 대학생들은 중국공산당에게 후야오방에 대한 재평가를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기 시작하였으며 이는 점차 더 적극적인 개혁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위로 발전하였다.
그런데 보수파의 영향을 받은 인민일보가 이러한 학생들의 시위를 ‘반혁명 동란’이라고 규정하면서 학생들과 중국공산당이 정면충돌하는 상황으로 발전하였다. 이들은 타협점을 찾지 못했고, 사태의 발전을 용인할 경우 더 큰 혼란에 빠질 것이라는 불안감에 휩싸였던 중국공산당은 6월 4일 새벽 인민해방군을 동원하여 시위를 진압하였고 수 백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후 천안문 사건은 좌절된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기호로 남아있다.
역설적인 것은 천안문 사건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경제적으로 가장 성공한 나라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변화는 1992년 초 86세의 덩샤오핑이 선전, 광저우 등 중국 남부도시를 순회하며 한 일련의 연설에서 적극적인 시장화 개혁과 대외개방을 촉구하고, 중국공산당이 ‘사회주의 시장경제론’을 채택하면서 시작되었다. 1992년 이후 중국은 적어도 경제적인 영역에서는 천안문 사건의 그늘에서 벗어나 다시 적극적인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하였고, 1990년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세계의 관심은 천안문에서 중국의 시장으로 바뀌었다.
이와 동시에 정치개혁 문제는 뒷전으로 밀렸다. 중국공산당은 1980년대와는 달리 정치개혁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기 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중국공산당의 일당지배에 기초한 정치적 안정이 경제성장의 전제조건이라는 주장을 적극적으로 제기하였다. 급진적인 정치개혁을 추진한 소련과 동유럽 국가들이 1990년대 내내 경제적으로 침체에 빠졌던 상황과 비교할 때 이러한 주장은 상당한 설득력을 가질 수 있었다. 1990년대 중국은 ‘경제의 시대’라고 할 수 있으며 ‘민주주의’는 중국과 거리가 먼 문제로 비춰졌다.http://nuri.kdemocracy.or.kr/248 글_이남주
또한 천안문 사건 이후 정치개혁 문제를 소홀히 하다보니 공산주의 가장 큰 문제점인 정치권력의 부패가 더욱 도드라졌다는 점이다. 천안문 사건을 유혈진압을 하고 이를 함구하려는 정부의 노력의 결과로 중국의 민주화는 현재 좌절되었으며, 경제발전에 따른 선진화된 정치의 후퇴와 중국의 엘리트 정치 문화는 기존 공산국가의 공통된 문제점인 정치권력의 부패는 더욱 팽배해졌으며, 계층 간 빈부의 격차도 심해 사회적 불안은 안에서 점점 커져가고 있다. 최근에 중국에 발생한 보시라이 스캔들도 후진타오 현 주석을 중심으로 한 공천단과 장쩌민 전 주석을 중심으로 한 태자당, 상하이방의 연합세력 간 현, 전 권력세력의 권력견제에서 벌어진 중국의 엘리트 정치의 단점을 보여주는 예로 보이겠다.
3. 결과
천안문 사건은 중국 대외적으로는 중국 민주화의 대한 열망으로 비춰지고 있지만 정작 중국은 입 밖에서 꺼내기 힘든 뜨거운 감자이자, 중국정부의 아킬레스건이다. 아킬레스건을 넘어 이정도면 트라우마로 봐야할 것 같다. 3년 정도 된 해묵은 이야기이지만 2005년 1월 17일 자오쯔양 전 총리의 사망 시 중국의 언론통제는 극에 달했다. 미국 CNN에서 방영한 자오쯔양 생애 특집이 중국 내 방송이 차단되었고, 일본 NHK 국제방송 ‘NHK 월드 프리미엄’이 자오쯔양 사망 뉴스를 보도하려던 순간 송출이 중단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1.27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