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시멘트의 정의
Ⅱ. 시멘트의 역사
Ⅲ. 시멘트의 종류
Ⅳ. 시멘트의 저장
Ⅴ. 결론
Ⅱ. 시멘트의 역사
Ⅲ. 시멘트의 종류
Ⅳ. 시멘트의 저장
Ⅴ. 결론
본문내용
사용된다.
Ⅳ. 시멘트의 저장
시멘트의 풍화는 시멘트가 수분을 흡수하여 수화작용을 한 결과로 수산화석회와 공기중의 탄산가수가 작용하여 탄산칼슘을 생기게 하는 작용을 말한다. 풍화현상은 시멘트 속의 유리석회와 C3S가 수분을 흡수하여 다음의 반응을 한다.
CaO + H2O = Ca(OH)2
2C3S + 6H2O = C3S23H2O + 3Ca(OH)2
위의 반응에서 생긴 Ca(OH)2와 공기중의 탄산가스에 의해 다음과 같은 반응을 하여 탄산석회가 생긴다.
Ca(OH)2 + CO2 = CaCO3 + H2O
또한 시멘트 속의 C3A는 수화작용에 의해 석고와 물과 결합하여 시멘트 bazillus를 만든다. 이와 같은 반응으로 시멘트 입자의 포면은 화합물의 피막으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작용이 저지되면 반응에 따른 C3A가 감소되므로 응결이 늦어지고 강도가 낮아진다. 그러므로 시멘트 저장은 수화작용과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시멘트 창고(가설)의 기준과 보관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창고의 바닥높이는 지면에서 30Cm이상으로 한다.
② 지붕은 비가 새지 않는 구조로 하고, 벽이나 천장은 기밀하게 한다.
③ 창고주위는 배수도랑을 두고 우수의 침입을 방지한다.
④ 출입구 채광창 이외의 환기창은 두지 않는다.
⑤ 반입구와 반출구를 따로 두어 먼저 쌓는 것부터 사용하도록 한다.
⑥ 시멘트 쌓기의 높이는 13포(1.5m) 이내로 한다. 장기간 쌓아두는 것은 7포 이내로 한다.
⑦ 시멘트의 보관은 1㎡당 30~35포대 정도로 하고, 통로를 고려하지 않는경우에는 1㎡당 50포대 정도로 하고 시멘트 사용량이 600포대 이하인 경우에는 전량을 저장할수 있는 창고를 가설하고, 600포대이상인 경우에는 공사기간에 따라서 전량을 1/3을 저장할 수 있는창고로 한다.
⑧ 창고의 면적
A = 0.4 × N/n(㎡) A:소요면적 N:시멘트 수량 n:쌓는단수(13포이하)
Ⅴ. 결론
종래에는 건설재료 분야에서는 시멘트라는 것은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의미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었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기능을 가진 시멘트가 차례로 연구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즉 고강도용 시멘트로서 DSP 재료 (Densified System Containing Homogeneously Arranged Ultra-Fine Particles), 포틀랜드시멘트-고로슬래그-fly ash 계와 very short 계 시멘트- 고로슬래그 등의 초저발열시멘트, 지반주입용의 초미분 시멘트인 colloid 시멘트, 롤러 전압콘크리트 포장(RCCP)용 시멘트 등이다.
또한 Roy 등에 의해서, 화학결합 세라믹스라는 새로운 개념이 제안되어, 시멘트 화학의 대상분야는 수화반응에서 산-염기의 중화반응으로, 규산염과 알루민산염에서 인산염과 유해폴리머 결합의 이용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시멘트 사용대상 분야는 건설재료에서 엔지니어링 콘크리트로 넓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시멘트에 대한 개념도 변화가 되었으며, 앞으로 새로운 성능, 기능을 가진 시멘트가 출현될 것으로 보인다.
Ⅳ. 시멘트의 저장
시멘트의 풍화는 시멘트가 수분을 흡수하여 수화작용을 한 결과로 수산화석회와 공기중의 탄산가수가 작용하여 탄산칼슘을 생기게 하는 작용을 말한다. 풍화현상은 시멘트 속의 유리석회와 C3S가 수분을 흡수하여 다음의 반응을 한다.
CaO + H2O = Ca(OH)2
2C3S + 6H2O = C3S23H2O + 3Ca(OH)2
위의 반응에서 생긴 Ca(OH)2와 공기중의 탄산가스에 의해 다음과 같은 반응을 하여 탄산석회가 생긴다.
Ca(OH)2 + CO2 = CaCO3 + H2O
또한 시멘트 속의 C3A는 수화작용에 의해 석고와 물과 결합하여 시멘트 bazillus를 만든다. 이와 같은 반응으로 시멘트 입자의 포면은 화합물의 피막으로 둘러싸이기 때문에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작용이 저지되면 반응에 따른 C3A가 감소되므로 응결이 늦어지고 강도가 낮아진다. 그러므로 시멘트 저장은 수화작용과 풍화작용이 일어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시멘트 창고(가설)의 기준과 보관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창고의 바닥높이는 지면에서 30Cm이상으로 한다.
② 지붕은 비가 새지 않는 구조로 하고, 벽이나 천장은 기밀하게 한다.
③ 창고주위는 배수도랑을 두고 우수의 침입을 방지한다.
④ 출입구 채광창 이외의 환기창은 두지 않는다.
⑤ 반입구와 반출구를 따로 두어 먼저 쌓는 것부터 사용하도록 한다.
⑥ 시멘트 쌓기의 높이는 13포(1.5m) 이내로 한다. 장기간 쌓아두는 것은 7포 이내로 한다.
⑦ 시멘트의 보관은 1㎡당 30~35포대 정도로 하고, 통로를 고려하지 않는경우에는 1㎡당 50포대 정도로 하고 시멘트 사용량이 600포대 이하인 경우에는 전량을 저장할수 있는 창고를 가설하고, 600포대이상인 경우에는 공사기간에 따라서 전량을 1/3을 저장할 수 있는창고로 한다.
⑧ 창고의 면적
A = 0.4 × N/n(㎡) A:소요면적 N:시멘트 수량 n:쌓는단수(13포이하)
Ⅴ. 결론
종래에는 건설재료 분야에서는 시멘트라는 것은 보통 포틀랜드시멘트를 의미한다 하여도 과언이 아니었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기능을 가진 시멘트가 차례로 연구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즉 고강도용 시멘트로서 DSP 재료 (Densified System Containing Homogeneously Arranged Ultra-Fine Particles), 포틀랜드시멘트-고로슬래그-fly ash 계와 very short 계 시멘트- 고로슬래그 등의 초저발열시멘트, 지반주입용의 초미분 시멘트인 colloid 시멘트, 롤러 전압콘크리트 포장(RCCP)용 시멘트 등이다.
또한 Roy 등에 의해서, 화학결합 세라믹스라는 새로운 개념이 제안되어, 시멘트 화학의 대상분야는 수화반응에서 산-염기의 중화반응으로, 규산염과 알루민산염에서 인산염과 유해폴리머 결합의 이용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시멘트 사용대상 분야는 건설재료에서 엔지니어링 콘크리트로 넓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시멘트에 대한 개념도 변화가 되었으며, 앞으로 새로운 성능, 기능을 가진 시멘트가 출현될 것으로 보인다.
추천자료
[아스팔트][아스팔트방수층][아스팔트흄]아스팔트 방수층의 재료, 아스팔트 방수층의 시공, ...
[건축]안토니오가우디의 건축작품 엘카프리쵸과 사구라다패밀리아성당, 안토니오가우디의 건...
[건축가 프랭크로이드라이트]건축가 프랭크로이드라이트의 생애와 작품, 건축가 프랭크로이드...
[PC콘크리트]PC콘크리트(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의 개념, PC콘크리트(프리캐스트, 프리스...
[건축가 프랭크로이드라이트]건축가 프랭크로이드라이트의 생애, 건축가 프랭크로이드라이트...
[건축][성당][건축 정의][건축 요소][로마네스크시기 성당][성피에트로 대성당][프랑스 성당]...
인공치아 세라믹스 Term paper (재료물성)
[로마건축][로마건축의 단독주택][로마건축의 대작][로마건축의 실례]로마건축의 성격, 로마...
[로마건축][볼트구조][로마건축의 건물][집합주택][로마건축의 실례]로마건축의 특색, 로마건...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의의와 특성,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흐름, 고딕건축(고딕건축...
건축가 쥬제페 테라니(주세페 테라니)의 업적, 건축가 쥬제페 테라니(주세페 테라니)와 합리...
공장건축의 개요 및 유형에 따른 특성 (공장건축의 일반적 특징, 공장건축의 계획, 공장건축...
파괴, 비파과시험 조사 - 재료의 피로시험에서 파괴시험과 비파괴시험의 종류를 알고 그에 대...
[건축][건축 개념][건축 중심구성][현대건축 의의][현대건축 특색][현대건축 시기적 구분]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