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건축의 정의
Ⅲ. 건축의 요소
Ⅳ. 로마네스크시기 성당
1. 슈파이어 대성당
2. 더람 대성당
3. 피사의 대성당
4. 궁륭
5.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6. 샤르트르의 노트르담 대성당
Ⅴ. 성피에트로 대성당
Ⅵ. 프랑스 성당
1. 도시의 발달
2. 신앙적 특성
참고문헌
Ⅱ. 건축의 정의
Ⅲ. 건축의 요소
Ⅳ. 로마네스크시기 성당
1. 슈파이어 대성당
2. 더람 대성당
3. 피사의 대성당
4. 궁륭
5.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6. 샤르트르의 노트르담 대성당
Ⅴ. 성피에트로 대성당
Ⅵ. 프랑스 성당
1. 도시의 발달
2. 신앙적 특성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상이며, 이로써 건축은 개체적인 존재의 의의와 사회적인 존재로서의 의의를 동시에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는 사회적인 책임이 뒤따르는 것이다.
Ⅳ. 로마네스크시기 성당
1. 슈파이어 대성당
독일, 라인란트, 파르츠주의 도시 슈파이어에 1030년 황제 콘라트2세의 발원으로 건립을 개시하여 1061년 하인리히 4세에 의해 헌당된 대성당. 동서에 각각 탑을 가지며 지하성당을 둔 수평천정의 3랑식바질리카였으나 1082년 이후 하인리히 4세 아래의 건축가 벤노에 의해 신랑에 반원궁륭과 아치가 가해졌다. 이것은 독일 최초의 초기로마네크의 아치식 구조. 1111년에 하인리히 4세를 위한 <아프라예배당>후에 <성구기실>, <카탈린네 예배당>이 부가되었다.
2. 더람 대성당
영국북부의 도시, 전시가를 내려다보는 대지에 세위진 이것은 영국의 노먼양식의 회당으로는 최대의 규모. 현재의 건물은 999년 헌당된 색슨시대이ㅡ 성당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1093년 내진부터 기공. 횡단아치에 첨두아치를 채용한 고딕양식의 선구적 작례, 실랑의 궁륭은 1133년에, 참사회실은 1140년에 건조. 그후 동단에 <7성당의 예배당> 등이 부가되어 외관도 거의 고딕양식으로 통일되었다. 12세기에는 사본장식의 중심지. 아칸사스의 잎, 동물문, 조유문양을 그린 독특한 양식을 나타낸다.
3. 피사의 대성당
이탈리아 토스카나지방의 동시. 고대에는 그리스의 식민도시로서, 중세에는 동방무역으로 번영했다. 11세기 초두에 기공된 대성당은 전형적인 피사식 로마네스크 양식을 나타낸다. 세례당에는 13세기 후반의 니콜라.피사노의 (설교단), 대성당내에는 그의 아들 죠반니를 비롯이 파의 작품이 많다. 종탑(1174-1350)은 <사탑>으로 유명하다.
4. 궁륭
아치의 원리를 사용한 돌, 연와, 콩크리트의 지붕 또는 천정이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반원 아치를 모선으로 하는 터널, 볼트, 교차볼트, 돔이며 연와로 만든 터널. 볼트나 돔은 메소포나미아에서나 고대 이집트에서도 창고나 하수구 등에 사용되었으나 궁륭을 대규모로 사용한 것은 고대로마이며, 기원1세기 경부터 교차볼트도 썼다. 볼트(궁륭)은 자중에 따라서 큰 수평력을 일으킴으로서 지지하는 구조체는 두텁고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볼트는 골조구조로 하거나 볼트를 형성하는 재료의 경량화를 꾀하거나, 원통형의 특수한 속이 빈 연와를 사용하는 등 여러 시도가 있었다. 비잔틴에서는 아르메니아지방의 영향을 받아서 연와나 소형의 돌을 서서 각종의 볼트를 만들었으며 특히 돔을 발전시켰다. 서유럽이 볼트를 건설하게 된 것은 대략 11세기부터이며, 로마네스크에서는 각종의 볼트를 시도하였다. 고딕에서는 거의 예외없이 교차리브. 볼트를 채용하여 이것을 장식적으로 발전시켰으나 근세 이후에는 돔과 터널볼트가 주로 되었으며 리브는 안 쓰게 외었다. 정확히 박석을 가공한 조직구조의 볼트를 만들게 된 것은 입체기하학이 발달한 근세 이후의 일이다.
5.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프랑스의 고딕 건축의 대표작이다. 시테섬의 갈로로망신전에 있던 장소에 로마네스크기 이전부터 성당이 세워져 있었으나 현재의 것은 사교 모리스.드.쉴 리가 1163년에 기공. 내진은 1182년에 헌당.신랑 정면과 측면의 피사드와 쌍탑은 1250년 완성. 쟝.드.셀 및 피에르.드.몽트뢰유가 13세기 말에 외진을 완성, 내진에 제제실을 추가. 두부의 제실은 14세기 초에 피에르.드.셀, 이어서 쟝.라뷔에 의해 건설되었다. 건축외에 현관문의 조각군(12,3세기 단 복원부분이 많음), 19세기에 수복된 남북의 대장 미창의 스테인 글라스(1220-25)가 중요하다. 건물은 프랑스대혁명때에 파괴, 개변을 입었으나 1845년부터 비올레.르.
Ⅳ. 로마네스크시기 성당
1. 슈파이어 대성당
독일, 라인란트, 파르츠주의 도시 슈파이어에 1030년 황제 콘라트2세의 발원으로 건립을 개시하여 1061년 하인리히 4세에 의해 헌당된 대성당. 동서에 각각 탑을 가지며 지하성당을 둔 수평천정의 3랑식바질리카였으나 1082년 이후 하인리히 4세 아래의 건축가 벤노에 의해 신랑에 반원궁륭과 아치가 가해졌다. 이것은 독일 최초의 초기로마네크의 아치식 구조. 1111년에 하인리히 4세를 위한 <아프라예배당>후에 <성구기실>, <카탈린네 예배당>이 부가되었다.
2. 더람 대성당
영국북부의 도시, 전시가를 내려다보는 대지에 세위진 이것은 영국의 노먼양식의 회당으로는 최대의 규모. 현재의 건물은 999년 헌당된 색슨시대이ㅡ 성당에 대신하는 것으로서 1093년 내진부터 기공. 횡단아치에 첨두아치를 채용한 고딕양식의 선구적 작례, 실랑의 궁륭은 1133년에, 참사회실은 1140년에 건조. 그후 동단에 <7성당의 예배당> 등이 부가되어 외관도 거의 고딕양식으로 통일되었다. 12세기에는 사본장식의 중심지. 아칸사스의 잎, 동물문, 조유문양을 그린 독특한 양식을 나타낸다.
3. 피사의 대성당
이탈리아 토스카나지방의 동시. 고대에는 그리스의 식민도시로서, 중세에는 동방무역으로 번영했다. 11세기 초두에 기공된 대성당은 전형적인 피사식 로마네스크 양식을 나타낸다. 세례당에는 13세기 후반의 니콜라.피사노의 (설교단), 대성당내에는 그의 아들 죠반니를 비롯이 파의 작품이 많다. 종탑(1174-1350)은 <사탑>으로 유명하다.
4. 궁륭
아치의 원리를 사용한 돌, 연와, 콩크리트의 지붕 또는 천정이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반원 아치를 모선으로 하는 터널, 볼트, 교차볼트, 돔이며 연와로 만든 터널. 볼트나 돔은 메소포나미아에서나 고대 이집트에서도 창고나 하수구 등에 사용되었으나 궁륭을 대규모로 사용한 것은 고대로마이며, 기원1세기 경부터 교차볼트도 썼다. 볼트(궁륭)은 자중에 따라서 큰 수평력을 일으킴으로서 지지하는 구조체는 두텁고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볼트는 골조구조로 하거나 볼트를 형성하는 재료의 경량화를 꾀하거나, 원통형의 특수한 속이 빈 연와를 사용하는 등 여러 시도가 있었다. 비잔틴에서는 아르메니아지방의 영향을 받아서 연와나 소형의 돌을 서서 각종의 볼트를 만들었으며 특히 돔을 발전시켰다. 서유럽이 볼트를 건설하게 된 것은 대략 11세기부터이며, 로마네스크에서는 각종의 볼트를 시도하였다. 고딕에서는 거의 예외없이 교차리브. 볼트를 채용하여 이것을 장식적으로 발전시켰으나 근세 이후에는 돔과 터널볼트가 주로 되었으며 리브는 안 쓰게 외었다. 정확히 박석을 가공한 조직구조의 볼트를 만들게 된 것은 입체기하학이 발달한 근세 이후의 일이다.
5. 파리의 노트르담 대성당
프랑스의 고딕 건축의 대표작이다. 시테섬의 갈로로망신전에 있던 장소에 로마네스크기 이전부터 성당이 세워져 있었으나 현재의 것은 사교 모리스.드.쉴 리가 1163년에 기공. 내진은 1182년에 헌당.신랑 정면과 측면의 피사드와 쌍탑은 1250년 완성. 쟝.드.셀 및 피에르.드.몽트뢰유가 13세기 말에 외진을 완성, 내진에 제제실을 추가. 두부의 제실은 14세기 초에 피에르.드.셀, 이어서 쟝.라뷔에 의해 건설되었다. 건축외에 현관문의 조각군(12,3세기 단 복원부분이 많음), 19세기에 수복된 남북의 대장 미창의 스테인 글라스(1220-25)가 중요하다. 건물은 프랑스대혁명때에 파괴, 개변을 입었으나 1845년부터 비올레.르.
추천자료
르네상스와 바로크 건축
중세시대와 바로크시대의 건축물과 의복 비교
[생활과 디자인] 건축 디자인에 관한 발표자료 (HWP)
미켈란젤로 (르네상스 건축)
[개발사례]대구 달서구 재개발,재건축사업 조사(수지분석~분양가산정까지)
한국과학기술사 레포트-한국의 건축물 조사
근세의 르네상스 건축(Renaissance Architecture)
유럽 배낭여행 건축테마 계획서
돔과 볼트의 서양건축사별 특징과 그 기술의 변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의의,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요인,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건축, 이탈리아 ...
이탈리아(이태리)의 약력, 기본정보, 이탈리아(이태리)의 수도, 이탈리아(이태리)의 건축, 이...
[kcu스페인문화예술] 내 맘대로 스페인 건축기행
승효상(承孝相)의 수졸당(守拙堂)에 관한 사례조사 - 건축설계스튜디오.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