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순탄치 않았던 그들의 인생사, 정치사
가. 노 무 현
나. 링 컨.
(2) 노무현과 링컨의 리더십 비교
3. 결 론
<참고문헌>
2. 본 론
(1) 순탄치 않았던 그들의 인생사, 정치사
가. 노 무 현
나. 링 컨.
(2) 노무현과 링컨의 리더십 비교
3.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항상 되뇌이는 것 같다. 노무현이 처음 국회의원이 되었을 때 선배위원이 했던 “귄위있어 보이려 하면 권위적이 되고, 귄위를 잊고 자기를 낮추면 귄위를 얻는다.”는 말을 세월이 흐를수록 경험으로 깨닫는다 고 했다. 초선의원이었을 때 들었던 이 말을 아직도 기억한다는 것은 노무현 자신이 항상 겸손해 지려고 노력한다는 것 일 것이다. 또한 노무현이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에 공중목욕탕을 들어가 경호원들이 알몸경호를 했다는 일화나 신호등 조작을 금지하고 대신 아침 일찍 차를 탄다는 일화는 노무현이 겸손한 권력을 추구하는 정치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노무현과 링컨의 리더십을 비교하여 보았다. 노무현은 가뭄의 소나기처럼 우리가 갈망하던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추앙 받는 링컨에게 아직 배울 점이 남아있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노무현이 링컨과 같은 성공한 대통령이 되려면 링컨의 어떤 점을 배워야 할까.
3. 결 론
노무현이 링컨과 같은 성공한 대통령이 되려면
첫 번째로, 현실과 이상사이의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다.
1834년 정치계로의 진출을 위해 분투하고있는 링컨에게 민주당의 지원 제의가 들어왔다. 하지만 링컨은 그 당시 휘그당원 이였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당의 제의를 받아들이면 휘그당을 배신하게되고 상대 정당과 손을 잡았다는 도의적인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되었다. 링컨은 고민하다 같은 휘그당원이자 절친한 친구인 스튜어트에게 사실대로 말했다. 스튜어트는 비난은커녕 링컨을 도왔고 링컨은 명분과 실리,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었다. 또한 1837년 일리노이주의 수도를 스프링필드로 옮기는 안건을 위해 노예제 폐지 주장을 굽혔다가 수도를 옮긴 후에야 노예해방을 다시 주장하는 링컨의 면모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빼어난 균형감각을 보인다. 노무현은 예전에 3당 총합에 대해 분명한 선을 그었던 경험이 있다. 분명 이러한 문제에서는 원칙을 지켜야 하지만 노무현 스스로가 양면을 잘 조율하는 링컨의 행적을 본받아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 링컨의 화합의 자세를 배워야 하겠다.
현재 한반도는 동서의 지역감정의 대립, 남북의 이념적 대립으로 조각나있다. 이러한 풍전등화와도 같은 한반도 정세로 볼 때 위에서 말한 대로 노무현이 지역감정을 타파할 유일한 인물이지만 아직은 시작 단계일 뿐이다. 그러므로 링컨이 비록 남북전쟁을 통해 통일을 이루었지만, 서로 승자, 패자를 구분
지금까지 노무현과 링컨의 리더십을 비교하여 보았다. 노무현은 가뭄의 소나기처럼 우리가 갈망하던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추앙 받는 링컨에게 아직 배울 점이 남아있는 것이 자명한 사실이다. 그렇다면 노무현이 링컨과 같은 성공한 대통령이 되려면 링컨의 어떤 점을 배워야 할까.
3. 결 론
노무현이 링컨과 같은 성공한 대통령이 되려면
첫 번째로, 현실과 이상사이의 균형을 잘 잡아야 한다.
1834년 정치계로의 진출을 위해 분투하고있는 링컨에게 민주당의 지원 제의가 들어왔다. 하지만 링컨은 그 당시 휘그당원 이였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당의 제의를 받아들이면 휘그당을 배신하게되고 상대 정당과 손을 잡았다는 도의적인 비난을 면하기 어렵게 되었다. 링컨은 고민하다 같은 휘그당원이자 절친한 친구인 스튜어트에게 사실대로 말했다. 스튜어트는 비난은커녕 링컨을 도왔고 링컨은 명분과 실리, 이상과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었다. 또한 1837년 일리노이주의 수도를 스프링필드로 옮기는 안건을 위해 노예제 폐지 주장을 굽혔다가 수도를 옮긴 후에야 노예해방을 다시 주장하는 링컨의 면모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 빼어난 균형감각을 보인다. 노무현은 예전에 3당 총합에 대해 분명한 선을 그었던 경험이 있다. 분명 이러한 문제에서는 원칙을 지켜야 하지만 노무현 스스로가 양면을 잘 조율하는 링컨의 행적을 본받아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 링컨의 화합의 자세를 배워야 하겠다.
현재 한반도는 동서의 지역감정의 대립, 남북의 이념적 대립으로 조각나있다. 이러한 풍전등화와도 같은 한반도 정세로 볼 때 위에서 말한 대로 노무현이 지역감정을 타파할 유일한 인물이지만 아직은 시작 단계일 뿐이다. 그러므로 링컨이 비록 남북전쟁을 통해 통일을 이루었지만, 서로 승자, 패자를 구분
추천자료
리더십의 내용과 대통령의 리더십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에 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과 그 판례평석
반 노무현식 현실 비판에 내재한 한국적 파시즘
노무현 참여정부의 신경찰정책 변화실태 및 개혁과제
[대통령]이승만(이승만정권), 윤보선(윤보선정권), 박정희(박정희정권), 전두환(전두환정권),...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살 의혹설.(자살 의혹설에 대한 나의 견해...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정부의 행정개혁.
박정희 리더십에 대한 특징적 요인 고찰과 리더십 발전과제
노무현 대통령께 편지 글
[교육정책]교육정책의 역사, 교육정책의 특징, 교육정책의 필요성, 박정희정부(제3공화국)의 ...
블루오션blue ocean리더십-여성지도자들의 리더십에 대한 고찰 레포트
리더십의 현대적 이론 중 슈퍼리더십, 카리스마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에 ...
박정희 리더십의 배경박정희 일대기박정희 리더십리더십의 형성배경박정희 업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