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지역간호학이란?
Ⅱ.당뇨
1.공복시 혈당
2.식후 2시간 혈당
Ⅲ.고혈압
1.원인
2.혈압분류
3.생활습관 교정
Ⅳ.관절염 대상 환자 ROM 운동
1.관절운동
2.목 운동
3.어깨, 팔꿈치 운동
4.손목, 손가락 운동
5.체간, 등 운돈
6.둔부, 무릎 운동
7.발목, 발가락 운동
Ⅴ.침상안정 대상 환자 ROM 운동
1.관절범위 운동의 목적
2.관절범위 운동의 정의
3.수동적 관절범위 운동
Ⅵ.효과적인 대화법(노인대상)
Ⅶ.효과적인 보건교육 방법(노인, 4~7세)
Ⅷ.서대문구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사회 자원
Ⅸ.참고문헌
Ⅱ.당뇨
1.공복시 혈당
2.식후 2시간 혈당
Ⅲ.고혈압
1.원인
2.혈압분류
3.생활습관 교정
Ⅳ.관절염 대상 환자 ROM 운동
1.관절운동
2.목 운동
3.어깨, 팔꿈치 운동
4.손목, 손가락 운동
5.체간, 등 운돈
6.둔부, 무릎 운동
7.발목, 발가락 운동
Ⅴ.침상안정 대상 환자 ROM 운동
1.관절범위 운동의 목적
2.관절범위 운동의 정의
3.수동적 관절범위 운동
Ⅵ.효과적인 대화법(노인대상)
Ⅶ.효과적인 보건교육 방법(노인, 4~7세)
Ⅷ.서대문구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사회 자원
Ⅸ.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좌우로 돌리기와 기울이기: 머리를 들고 턱을 안으로 향하게 하고 어깨의 힘을 뺀다. 그 리고 오른쪽 어깨를 보면서 목을 서서히 돌리고 다시 왼쪽 어깨를 보면서 목을 천천히 돌 린다. 그 다음 오른쪽으로 머리를 기울인 다음 다시 왼쪽으로 머리를 기울인다. 이때 귀 가 어깨 쪽으로 가도록 해야 하며, 어깨가 귀 쪽으로 따라 올라가면 안된다.
(3)어깨와 팔꿈치 운동
-어깨 돌리기: 어깨의 긴장을 풀고, 팔을 양 옆에 붙이거나 손을 무릎에 놓은 상태로 어 깨를 부드럽게 앞, 위, 뒤, 아리방향으로 돌리낟. 그리고 반대방향으로 다시 운동한다.
-팔 뻗기: 이 운동은 앉거나 선 자세에서 할 수 있으며 만세 부르는 자세와 비슷하다.
-팔 굽혔다 들기: 이 운동은 앉거나 누워서 할 수 있다.
팔의 긴장을 풀고 팔꿈치를 똑바로 내린다. 그 다음 손이 어깨에 닿도록 팔꿈치를 구부린 다. 그리고 팔꿈치를 최대한 편 자세로 천장을 향해 손을 뻗는다. 팔꿈치와 어깨를 뻗는 자세로 최대한 높이 닿게 한다. 손을 뻗은 상태로 숨을 들이 쉬고 처음 자세로 돌아온 뒤 에 숨을 내쉰다.
-등 긁기: 한쪽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려서 팔을 구부리며 등을 가볍게 두드린다. 다른 한 손은 팔꿈치를 구부려 등 뒤로 올려서 양손이 서로 맞닿게 한다. 양손 가락 끝이 서로 닿 은 것을 확인한 후 힘을 뺀다. 이완한 뒤 팔의 위치를 교대로 바꾼다.
-어깨뼈를 등 뒤로 모으기 운동
-도르래 돌리기 운동
-양손으로 막대기 올리기 운동
(4)손목, 손가락 운동
-손가락 쥐었다 펴기 운동
-엄지손가락 운동: 손목을 똑바로 펴고 엄지와 각각의 다른 손가락을 맞대어서 ‘0’자를 만든다.
-손목운동: 손목을 유연하고 강하게 하기 위한 운동
-문 열기 식 손목운동: 이는 근육과 인대를 뻗은 채로 팔을 돌리는 운동으로, 마치 문을 열 거나 병마개를 돌려 열거나, 드라이버를 사용할 때, 또는 뒷주머니에 손을 넣을 때와 같 은 동작이다.
팔을 책상위에 올려놓고 손바닥이 책상 면에 닿게 한 다음, 새끼손가락이 책상 면에 닿은 상태에서 손을 앞뒤로 돌리면서 손바닥이 책상 면에 떨어지게 한다.
(5)체간과 등의 운동
-몸체 꼬기: 이 운동은 앉거나 선 자세에서 할 수 있다. 팔을 어깨높이까지 올리거나 가 슴 앞을 지나가게 한다. 천천히 부드럽게 허리를 한쪽으로 돌린 다음 반대쪽으로 돌린 다.
-옆구리 운동:이 운동은 몸체, 어깨, 팔꿈치, 손을 위한 뻗기 운동이다.
-다리 흔들기:sndnjtj 양손으로 무릎을 가슴까지 끌어당긴 채 약 10초간 멈춘 다음에 둔 부를 좌우로 흔들면서 천천히 무릎을 오른쪽, 왼쪽으로 돌린다.
-무릎 구부리기: 이 운동은 누워서 허리의 근육을 펴기 위한 것이다.
-고양이 등 만들기:dl 운동은 엎드려서 등을 이완하고 복부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6)둔부, 무릎의 운동
-둔부 돌리기: 둔부의 유연성을 기르고 편안하게 걷거나 서기 위한 운동이다.
-대퇴부 흔들기: 눕거나 서서하는 운동으로 양다리를 오므렸다 벌렸다 한다.
-대퇴 후면근 뻗기 운동: 눕거나 앉아서 하퇴를 들어 올리는 운동이다.
(7)발목과 발가락 운동
-발목 돌리기 운동
-발가락으로 수건 걷어 올리기 운동
-발가락으로 구슬 줍기 운동
-발가락으로 병이나 컵 굴리기 운동
-아킬레스건 뻗기 운동
Ⅴ. 침상안정 대상 환자 ROM 운동
1.관절범위 운동의 목적
-관절기능 증진
-근긴도와 근력 증진 및 유지
-장기간 침상 안정이나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관절 구축 방지
-안위 증진 및 보행 준비
2.관절범위 운동의 정의
-수동적(passive): 능동적인 근육의 수축은 전혀 없으며, 외력에 의해서 신체분절이 제한 을 받지 않는 ROM운동이다.
-능동적(active): 관절을 지나는 근육의 능동적인 수축에 의해 생산되는 제한받지 않은 ROM운동이다.
3.수동적 관절범위 운동
(1)목운동
-대상자 목 밑에 한손을 대고 다른 손은 이마에 높는다. 이마를 가볍게 뒤로 제끼는 동시 에 목을 들게 한다(신전). 가능한 한 머리를 충분히 두로 젖힌다(과신전).
-목 밑에 한 손을 대고 다른 손으로 머리 뒤를 받쳐 턱이 가슴에 닿도록 운동시킨다(굴 곡).
-머리 양측을 손으로 지지하여 머리를 좌우로 돌린다(회전).
(2)어깨와 팔운동
-팔꿈치와 손목을 잡고 팔을 펴서 옆으로 머리까지 올리거나 앞으로 올려 머리뒤로 넘어 가도록 한다(신전)
-대상자가 복위나 좌위를 취할 수 있으면 팔을 옆에서 뒤쪽으로 가게한다(과신전).
-대상자를 바로 눕히고, 팔꿈치를 어깨수준으로 올려 직각이 되게 하고 한 손으로 고정시 킨다. 다른 손으로 손목을 잡고 전박만 움직이도록 하여 손은 손바닥이 앞을 향하게 머 리 쪽으로 올렸다가(외회전), 손바닥이 뒤를 향하게 다리 쪽으로 내리게 한다.
-대상자가 서거나, 침대가에 앉을 수 있으면 팔꿈치와 손목을 지지하고 어깨를 완전히 원 형으로 돌린다(순환동작)
-팔을 몸의 측면에 놓고 상박을 한 손으로 고정시키고 전박을 머리쪽으로 구부렸다(굴 곡), 편다(신전).
-침대위에 팔을 놓고 상박을 한 손으로 고정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손바닥을 잡고 손바 닥이 위로 오게 전박을 제쳤다(회외전), 손바닥이 침대를 향하게 엎어놓는다(회내전).
(3)손목과 손가락 운동
-침대에 팔을 놓고 하부전박을 지지하고 손을 펴서 잡고 손목을 내 전박쪽으로 기울인 다 음(굴곡), 외 전박쪽으로 제친다(신전).
-전박을 잡고 손을 바깝쪽으로 돌렸다가(외회전)안쪽으로 돌린다(내회전).
-손목을 엄지쪽으로 구부렸다, 새끼손쪽으로 구부린다(측굴)
-손목과 손뒤를 지지하고 엄지와 손가락을 손바닥쪽으로 구부렸다(굴곡), 다시 펴서 뒤로 제친다(신전-과신전).
-엄지를 손가락을 마주하여 돌린다
-손목을 지지하고 엄지와 손가락을 모두 모아 쥐었다가(내전), 손가락 사이로 간호사의 손가락을 넣어 편다(외전)
(4)고관절과 다리 운동
-대상자를 반듯이 눕히고 무릎과 발목을 지지하고 다리를 펴서 옆으로 보냈다가(외전), 다시 몸 중심 쪽으로 오게 한다(내전).
-무릎 밑과 발목을 지지하고 무릎을 굽혀 외부 쪽으로 제꼈다가(외회전), 내부쪽으로 제 낀다(내회전).
-복위로
-좌우로 돌리기와 기울이기: 머리를 들고 턱을 안으로 향하게 하고 어깨의 힘을 뺀다. 그 리고 오른쪽 어깨를 보면서 목을 서서히 돌리고 다시 왼쪽 어깨를 보면서 목을 천천히 돌 린다. 그 다음 오른쪽으로 머리를 기울인 다음 다시 왼쪽으로 머리를 기울인다. 이때 귀 가 어깨 쪽으로 가도록 해야 하며, 어깨가 귀 쪽으로 따라 올라가면 안된다.
(3)어깨와 팔꿈치 운동
-어깨 돌리기: 어깨의 긴장을 풀고, 팔을 양 옆에 붙이거나 손을 무릎에 놓은 상태로 어 깨를 부드럽게 앞, 위, 뒤, 아리방향으로 돌리낟. 그리고 반대방향으로 다시 운동한다.
-팔 뻗기: 이 운동은 앉거나 선 자세에서 할 수 있으며 만세 부르는 자세와 비슷하다.
-팔 굽혔다 들기: 이 운동은 앉거나 누워서 할 수 있다.
팔의 긴장을 풀고 팔꿈치를 똑바로 내린다. 그 다음 손이 어깨에 닿도록 팔꿈치를 구부린 다. 그리고 팔꿈치를 최대한 편 자세로 천장을 향해 손을 뻗는다. 팔꿈치와 어깨를 뻗는 자세로 최대한 높이 닿게 한다. 손을 뻗은 상태로 숨을 들이 쉬고 처음 자세로 돌아온 뒤 에 숨을 내쉰다.
-등 긁기: 한쪽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려서 팔을 구부리며 등을 가볍게 두드린다. 다른 한 손은 팔꿈치를 구부려 등 뒤로 올려서 양손이 서로 맞닿게 한다. 양손 가락 끝이 서로 닿 은 것을 확인한 후 힘을 뺀다. 이완한 뒤 팔의 위치를 교대로 바꾼다.
-어깨뼈를 등 뒤로 모으기 운동
-도르래 돌리기 운동
-양손으로 막대기 올리기 운동
(4)손목, 손가락 운동
-손가락 쥐었다 펴기 운동
-엄지손가락 운동: 손목을 똑바로 펴고 엄지와 각각의 다른 손가락을 맞대어서 ‘0’자를 만든다.
-손목운동: 손목을 유연하고 강하게 하기 위한 운동
-문 열기 식 손목운동: 이는 근육과 인대를 뻗은 채로 팔을 돌리는 운동으로, 마치 문을 열 거나 병마개를 돌려 열거나, 드라이버를 사용할 때, 또는 뒷주머니에 손을 넣을 때와 같 은 동작이다.
팔을 책상위에 올려놓고 손바닥이 책상 면에 닿게 한 다음, 새끼손가락이 책상 면에 닿은 상태에서 손을 앞뒤로 돌리면서 손바닥이 책상 면에 떨어지게 한다.
(5)체간과 등의 운동
-몸체 꼬기: 이 운동은 앉거나 선 자세에서 할 수 있다. 팔을 어깨높이까지 올리거나 가 슴 앞을 지나가게 한다. 천천히 부드럽게 허리를 한쪽으로 돌린 다음 반대쪽으로 돌린 다.
-옆구리 운동:이 운동은 몸체, 어깨, 팔꿈치, 손을 위한 뻗기 운동이다.
-다리 흔들기:sndnjtj 양손으로 무릎을 가슴까지 끌어당긴 채 약 10초간 멈춘 다음에 둔 부를 좌우로 흔들면서 천천히 무릎을 오른쪽, 왼쪽으로 돌린다.
-무릎 구부리기: 이 운동은 누워서 허리의 근육을 펴기 위한 것이다.
-고양이 등 만들기:dl 운동은 엎드려서 등을 이완하고 복부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6)둔부, 무릎의 운동
-둔부 돌리기: 둔부의 유연성을 기르고 편안하게 걷거나 서기 위한 운동이다.
-대퇴부 흔들기: 눕거나 서서하는 운동으로 양다리를 오므렸다 벌렸다 한다.
-대퇴 후면근 뻗기 운동: 눕거나 앉아서 하퇴를 들어 올리는 운동이다.
(7)발목과 발가락 운동
-발목 돌리기 운동
-발가락으로 수건 걷어 올리기 운동
-발가락으로 구슬 줍기 운동
-발가락으로 병이나 컵 굴리기 운동
-아킬레스건 뻗기 운동
Ⅴ. 침상안정 대상 환자 ROM 운동
1.관절범위 운동의 목적
-관절기능 증진
-근긴도와 근력 증진 및 유지
-장기간 침상 안정이나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관절 구축 방지
-안위 증진 및 보행 준비
2.관절범위 운동의 정의
-수동적(passive): 능동적인 근육의 수축은 전혀 없으며, 외력에 의해서 신체분절이 제한 을 받지 않는 ROM운동이다.
-능동적(active): 관절을 지나는 근육의 능동적인 수축에 의해 생산되는 제한받지 않은 ROM운동이다.
3.수동적 관절범위 운동
(1)목운동
-대상자 목 밑에 한손을 대고 다른 손은 이마에 높는다. 이마를 가볍게 뒤로 제끼는 동시 에 목을 들게 한다(신전). 가능한 한 머리를 충분히 두로 젖힌다(과신전).
-목 밑에 한 손을 대고 다른 손으로 머리 뒤를 받쳐 턱이 가슴에 닿도록 운동시킨다(굴 곡).
-머리 양측을 손으로 지지하여 머리를 좌우로 돌린다(회전).
(2)어깨와 팔운동
-팔꿈치와 손목을 잡고 팔을 펴서 옆으로 머리까지 올리거나 앞으로 올려 머리뒤로 넘어 가도록 한다(신전)
-대상자가 복위나 좌위를 취할 수 있으면 팔을 옆에서 뒤쪽으로 가게한다(과신전).
-대상자를 바로 눕히고, 팔꿈치를 어깨수준으로 올려 직각이 되게 하고 한 손으로 고정시 킨다. 다른 손으로 손목을 잡고 전박만 움직이도록 하여 손은 손바닥이 앞을 향하게 머 리 쪽으로 올렸다가(외회전), 손바닥이 뒤를 향하게 다리 쪽으로 내리게 한다.
-대상자가 서거나, 침대가에 앉을 수 있으면 팔꿈치와 손목을 지지하고 어깨를 완전히 원 형으로 돌린다(순환동작)
-팔을 몸의 측면에 놓고 상박을 한 손으로 고정시키고 전박을 머리쪽으로 구부렸다(굴 곡), 편다(신전).
-침대위에 팔을 놓고 상박을 한 손으로 고정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는 손바닥을 잡고 손바 닥이 위로 오게 전박을 제쳤다(회외전), 손바닥이 침대를 향하게 엎어놓는다(회내전).
(3)손목과 손가락 운동
-침대에 팔을 놓고 하부전박을 지지하고 손을 펴서 잡고 손목을 내 전박쪽으로 기울인 다 음(굴곡), 외 전박쪽으로 제친다(신전).
-전박을 잡고 손을 바깝쪽으로 돌렸다가(외회전)안쪽으로 돌린다(내회전).
-손목을 엄지쪽으로 구부렸다, 새끼손쪽으로 구부린다(측굴)
-손목과 손뒤를 지지하고 엄지와 손가락을 손바닥쪽으로 구부렸다(굴곡), 다시 펴서 뒤로 제친다(신전-과신전).
-엄지를 손가락을 마주하여 돌린다
-손목을 지지하고 엄지와 손가락을 모두 모아 쥐었다가(내전), 손가락 사이로 간호사의 손가락을 넣어 편다(외전)
(4)고관절과 다리 운동
-대상자를 반듯이 눕히고 무릎과 발목을 지지하고 다리를 펴서 옆으로 보냈다가(외전), 다시 몸 중심 쪽으로 오게 한다(내전).
-무릎 밑과 발목을 지지하고 무릎을 굽혀 외부 쪽으로 제꼈다가(외회전), 내부쪽으로 제 낀다(내회전).
-복위로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과목에서 가족 사정하고 그에 대한 간호과정하기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산업간호 - 요식업)
[논문]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치매 case study
[간호학]지역사회간호학 `근골격계질환` 교과서 요약정리
지역사회간호학-소아비만(건강증진레포트)
지역사회간호학 산업장 실습 보고서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 레포트
지역사회간호-방문간호 관절염 케이스
지역사회간호학-건강증진금연프로그램
방문간호 case study(지역사회간호)
[사회복지]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보건소 컨퍼런스, 가족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레포트- 고혈압, C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