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 습 내 용
1) 실 습 내 용
2) 사 용 기 기
3) 사 용 재 료
4) 작 업 순 서
2. 실 습 결 과
3. 고 찰
4. 반 성 과 제
1) 실 습 내 용
2) 사 용 기 기
3) 사 용 재 료
4) 작 업 순 서
2. 실 습 결 과
3. 고 찰
4. 반 성 과 제
본문내용
질 때까지 되풀이한다.
⑩ 그릇 안에 남은 모래를 110±5。C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⑪ 건조된 모래의 무게를 구하여 점토분 함유량을 산출한다.
시료(g) - 나머지 모래(g)
점토분 = × 100 (%)
시료의 중량(g)
(6) 입도측정
① 점토분 함유량 시험을 하고 난 시료의 전량(50g)의 무게를 측정한다.
② 측정된 시료를 체에 넣는다.
③ 체를 입도 측정 시험기에 넣고 체 질 한다.
④ 각 체 위에 남은 모래의 무게를 측정한다.
⑤ Mesh별로 측정하여 전체적인 평균을 산출한다.
체면 위의 모래의 중량(g)
입도 = × 100(%)
시료의 중량(g)
2. 실 습 결 과
(1) 통기도 측정
2000cc = 2000cm3, 3분 14초= 3.23333분, 공기압력=수주높이=9.1cm
(2) 강 도 측 정
(3) 수분함유량측정
(4) 점토분의 함유량 측정
(5) 입도측정
큰 체부터의 입도는 다음과 같다.(전체 시료의 무게 = 50.00g)
체의 크기순
시료의 무게(g)
입 도(%)
1
0.14
0.28
2
0.51
1.02
3
1.09
2.18
4
1.76
3.52
5
6
3.48
6.96
7
3.56
7.12
8
4.94
9.88
9
6.26
12.52
10
7.45
14.9
11
8.13
16.26
12
13
5.25
10.5
14
2.55
5.1
**평균입도는 이다.
3. 고 찰
1) 문 제 점
통기도 측정시 눈으로 눈금을 보고 시간을 측정하여야 했기 때문에 얼마정도의 오차는 있다. 그리고 압력을 나타내는 물기둥의 높이를 측정함에 있어서도 적지않은 오차가 발생했다.
강도 측정시에는 시편을 정확하게 만들지 않음에서 나오는 오차가 있을 수 있고 그리고 눈금을 정확하게 읽기 힘이 들었다.
수분 함유량 측정시 원래 포함된 수분이 시간내에 모두 제거되었는지 알수 었으며, 그리고 온도가 높으므로 화상의 위험이 있었다.
입도측정 시험시 체 사이에 끼여 남아 있는 모래로 정확한 무게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정확한 입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점토분 측정에서 사이펀(siphon)에서 어느정도 맑은 물이 되었을때 윗부분을 제거하고 이렇게 계속 반복하면서 거의 맑은 될때까지 해야 되지만 시간이 부족한 관계로 완전히 맑은 물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점토분을 측정하게 되어서 정확성이 떨어진다.
2) 개 선 방 법
아날로그식 기계가 디지털이었더라면 오차가 크게 줄 것이다. 그리고 이 통기도 실험장치는 너무
⑩ 그릇 안에 남은 모래를 110±5。C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⑪ 건조된 모래의 무게를 구하여 점토분 함유량을 산출한다.
시료(g) - 나머지 모래(g)
점토분 = × 100 (%)
시료의 중량(g)
(6) 입도측정
① 점토분 함유량 시험을 하고 난 시료의 전량(50g)의 무게를 측정한다.
② 측정된 시료를 체에 넣는다.
③ 체를 입도 측정 시험기에 넣고 체 질 한다.
④ 각 체 위에 남은 모래의 무게를 측정한다.
⑤ Mesh별로 측정하여 전체적인 평균을 산출한다.
체면 위의 모래의 중량(g)
입도 = × 100(%)
시료의 중량(g)
2. 실 습 결 과
(1) 통기도 측정
2000cc = 2000cm3, 3분 14초= 3.23333분, 공기압력=수주높이=9.1cm
(2) 강 도 측 정
(3) 수분함유량측정
(4) 점토분의 함유량 측정
(5) 입도측정
큰 체부터의 입도는 다음과 같다.(전체 시료의 무게 = 50.00g)
체의 크기순
시료의 무게(g)
입 도(%)
1
0.14
0.28
2
0.51
1.02
3
1.09
2.18
4
1.76
3.52
5
6
3.48
6.96
7
3.56
7.12
8
4.94
9.88
9
6.26
12.52
10
7.45
14.9
11
8.13
16.26
12
13
5.25
10.5
14
2.55
5.1
**평균입도는 이다.
3. 고 찰
1) 문 제 점
통기도 측정시 눈으로 눈금을 보고 시간을 측정하여야 했기 때문에 얼마정도의 오차는 있다. 그리고 압력을 나타내는 물기둥의 높이를 측정함에 있어서도 적지않은 오차가 발생했다.
강도 측정시에는 시편을 정확하게 만들지 않음에서 나오는 오차가 있을 수 있고 그리고 눈금을 정확하게 읽기 힘이 들었다.
수분 함유량 측정시 원래 포함된 수분이 시간내에 모두 제거되었는지 알수 었으며, 그리고 온도가 높으므로 화상의 위험이 있었다.
입도측정 시험시 체 사이에 끼여 남아 있는 모래로 정확한 무게 측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므로 정확한 입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점토분 측정에서 사이펀(siphon)에서 어느정도 맑은 물이 되었을때 윗부분을 제거하고 이렇게 계속 반복하면서 거의 맑은 될때까지 해야 되지만 시간이 부족한 관계로 완전히 맑은 물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점토분을 측정하게 되어서 정확성이 떨어진다.
2) 개 선 방 법
아날로그식 기계가 디지털이었더라면 오차가 크게 줄 것이다. 그리고 이 통기도 실험장치는 너무
추천자료
교육 실습 과정의 구조적 재생산에 관한 연구-학교의 지배적 헤게모니와 교생들의 일상적 삶...
주조 공정 실습
세미나레포트-기계공학의현재와미래
노동운동의 발전과 노동법
주물의 결함과 그 대책
[사회과학] 프로젝트 접근법의 역사적 배경에 관란 보고서 자료입니다.
기계부품 제작방법 용어
[예술분야] Deutscher Werkbund - 독일 공작연맹에 관해서.ppt
[발명공작활동, 발명공작활동 사례1, 발명공작활동 사례2, 발명공작활동 사례3, 사례4, 사례5...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역사적 배경, 민주화,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군사재판...
[사회복지법제론] 공공부조법과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이해(의의와 목적, 기본원리와 특성, ...
유아 교육 프로젝트 접근법
용접 실습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