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雪齋書院:전남문화재자료93), 나주 천동서원묘정비(羅州泉洞書院廟庭碑:전남문화재자료 212)을 비롯해 황희사당(黃喜祠堂), 경렬사(景烈祠), 연리(鉛里) 지석묘군 등이 있다
⑤지명유래 : 없음.
⑥연계노선 : 현재 광주~목포 간 무궁화호만 1일 4회 정차한다.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호남선 복선화 공사와 동시에 현 위치로 옮겼으나, 노안면 소재지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이용객이 급감하였다. 소량의 일반화물도 취급하지만, 그 양이 많지는 않다
32. 나 주 (羅州驛)
①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송월동
②면적 : 4.73㎢
③인구 : 7408명
④문화재 : 나주완사천(전남기념물 93), 나주최석기가옥(전남문화재자료 158) 등이 있고, 나주의 전통문화와 예술을 계승하기 위해 1990년에 개관한 향토문화회관에 향토 민속자료 597종 2,049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⑤지명유래 : 없음.
⑥연계노선 : 이전의 나주역은 시설이 낡고 역사가 좁아 새마을호가 종종 지나쳐서 영산포역이 여객 수요를 대신했으나, 영산포역과 여객기능을 통합, 이전하면서 호남선의 모든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일부 KTX 전동차도 정차한다.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죽림동에 위치했던 구 나주역은 1929년 광주로 통학했던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들이 충돌하면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촉발시킨 곳으로 그 의의 때문에 이설이 미뤄져 왔으나, 2001년 7월 10일 호남선 복선화 부분 개통으로 인해 영산포역과 통합되면서 중간지점인 나주시청 앞으로 이전했다.
33. 다 시 (多侍驛)
①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②면적 : 56.61 ㎢
③인구 : 5,046 명
④문화재 : 나주 복암리고분군(羅州伏岩里古墳群:사적 404), 최희량장군 신도비(崔希亮將軍神道碑:전남기념물 53), 나주영모정(羅州永慕亭:전남기념물112), 보산정사(寶山精舍:전남문화재자료 131)를 비롯해 보산사(寶山祠), 무열사(武烈祠), 임백호묘(林白湖墓)와 신풍리(新楓里)·문동리(文洞里)·동곡리(東谷里)에 지석묘군이 있다.
⑤지명유래 : 많은 것을 모이게 하는 것 이라는 뜻으로, 화물은 취급하지않고 여객만 취급하는데서 유래되었다.
⑥연계노선 : 없음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역 구내에 측선이나 지선이 하나도 없다는 특징을 지녔다
측선 :철도의 정거장 구내에 있는 본선(本線) 이외의 선로다.
지선 : 지선 철도는 간선 철도에서 갈라져 나온 철도 노선으로 간선 철도가 다니지 않는 곳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거나 두 개의 간선 철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34. 고 막 원 (古幕院驛)
①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②면적 : (다시면) 56.61 ㎢
③인구 : (다시면) 5,046 명
④문화재 : 나주 복암리고분군(羅州伏岩里古墳群:사적 404), 최희량장군 신도비(崔希亮將軍神道碑:전남기념물 53), 나주영모정(羅州永慕亭:전남기념물112), 보산정사(寶山精舍:전남문화재자료 131)를 비롯해 보산사(寶山祠), 무열사(武烈祠), 임백호묘(林白湖墓)와 신풍리(新楓里)·문동리(文洞里)·동곡리(東谷里)에 지석묘군이 있다.
⑤지명유래 : 고려시대 복암사를 가기 위해 가다가 쉬었다 갈 수 있는 원이 설치되었는데, 그 원(院)의 이름이 고막원이었고, 이를 역명으로 명명하였다.
⑥연계노선 : 없음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영산강(榮山江)이 면의 남쪽 경계를 이루고, 면의 북쪽 끝에서 중앙부를 영산강의 지류인 문평천(文平川)이 남류하기 때문에 넓은 평야는 남부와 문평천 유역에 전개되며, 북부는 해발고도 100m 내외의 구릉지대이다
35. 함 평 (咸平驛)
①위치 :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사거리
②면적 : 학교면 46.44 ㎢
③인구 : 5,163 명
④문화재 : 함평 고막천 석교(咸平古幕川石橋:전남유형문화재 68, 일명 독다리), 함평 마산리 고분군(馬山里古墳群:전남기념물 122), 함평 복천리(伏泉里) 고인돌군[支石墓群], 금송리 요지(錦松里窯址), 정현보 충효각(鄭賢輔忠孝閣)
⑤지명유래 : 남쪽은 영산강에 면하여 유역에는 넓은 학교평야가 전개되므로 유래되었다.
⑥연계노선 : 호남선 , 나비축제할 때 KTX 정차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동쪽으로 나주시 문평면(文平面)·다시면(多侍面), 서쪽으로 엄다면(嚴多面), 남쪽으로 영산강을 경계로 나주시 동강면(洞江面)·공산면(公山面), 북쪽으로 대동면(大洞面)에 접한다. 동쪽은 고막천(古幕川), 서쪽은 함평천(咸平川)이 있다. 광주∼목포 간, 영광∼나주 간 국도가 동서와 남북 방향으로 지나고, 호남선의 함평역이 있어 광주·목포·함평 방면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36. 무 안 (務安驛) , mu ran
①위치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
②면적 : (몽탄면) 62.62 ㎢
③인구 : (몽탄면) 4,382 명
④문화재 : 법천사 목우암(전남문화재자료 82), 목우암 삼존불(전남문화재자료 172), 총지사지 석장승(전남민속자료 23), 법천사 석장승(전남민속자료 24), 마곡사
⑤지명유래 : 조선 중종 때 사창이 있던 곳이라 하여 사창(社倉)이란 지명이 생겼다. 이 역은 1913년 5월 15일 개역 당시에는 역이 위차한 마을의 이름을 따서 \'사창역\'이라고 하였으나, 호남선이 현재의 무안군 무안읍을 지나지 않아 \'무안\'이라는 역명을 쓸 수 있는 역이 없었기 때문에 1985년 8월 12일 무안읍에서 그나마 제일 가까운 역이었던 이 역을 \'무안역\'으로 개명하게 되었다.
⑥연계 노선 : 호남선 일부 무궁화호, 경전선 모든 무궁화호 열차가 왕복 9회 정차한다.
⑦도시공학 참고 자료 : 인근에 한국 전쟁과 월남전에 참전했던 전투기 등 실물항공기 11대를 비롯, 세계의 우주 항공 역사를 살필 수 있는 호담항공우주전시관이 있다.
37. 몽 탄 (夢灘驛) , mong kan
①위치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사천리
②면적 : (몽탄면) 62.62 ㎢
③인구 : (몽탄면) 4,382 명
④문화재 : 법천사 목우암(전남문화재자료 82), 목우암 삼존불(전남문화재자료 172), 총지사지 석장승(전남민속자료 23), 법천사 석장승(전남민속자료 24), 마곡사
⑤지명유래 : 역명은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을
⑤지명유래 : 없음.
⑥연계노선 : 현재 광주~목포 간 무궁화호만 1일 4회 정차한다.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호남선 복선화 공사와 동시에 현 위치로 옮겼으나, 노안면 소재지에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어서 이용객이 급감하였다. 소량의 일반화물도 취급하지만, 그 양이 많지는 않다
32. 나 주 (羅州驛)
①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송월동
②면적 : 4.73㎢
③인구 : 7408명
④문화재 : 나주완사천(전남기념물 93), 나주최석기가옥(전남문화재자료 158) 등이 있고, 나주의 전통문화와 예술을 계승하기 위해 1990년에 개관한 향토문화회관에 향토 민속자료 597종 2,049점의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⑤지명유래 : 없음.
⑥연계노선 : 이전의 나주역은 시설이 낡고 역사가 좁아 새마을호가 종종 지나쳐서 영산포역이 여객 수요를 대신했으나, 영산포역과 여객기능을 통합, 이전하면서 호남선의 모든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일부 KTX 전동차도 정차한다.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죽림동에 위치했던 구 나주역은 1929년 광주로 통학했던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들이 충돌하면서 광주학생독립운동을 촉발시킨 곳으로 그 의의 때문에 이설이 미뤄져 왔으나, 2001년 7월 10일 호남선 복선화 부분 개통으로 인해 영산포역과 통합되면서 중간지점인 나주시청 앞으로 이전했다.
33. 다 시 (多侍驛)
①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②면적 : 56.61 ㎢
③인구 : 5,046 명
④문화재 : 나주 복암리고분군(羅州伏岩里古墳群:사적 404), 최희량장군 신도비(崔希亮將軍神道碑:전남기념물 53), 나주영모정(羅州永慕亭:전남기념물112), 보산정사(寶山精舍:전남문화재자료 131)를 비롯해 보산사(寶山祠), 무열사(武烈祠), 임백호묘(林白湖墓)와 신풍리(新楓里)·문동리(文洞里)·동곡리(東谷里)에 지석묘군이 있다.
⑤지명유래 : 많은 것을 모이게 하는 것 이라는 뜻으로, 화물은 취급하지않고 여객만 취급하는데서 유래되었다.
⑥연계노선 : 없음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역 구내에 측선이나 지선이 하나도 없다는 특징을 지녔다
측선 :철도의 정거장 구내에 있는 본선(本線) 이외의 선로다.
지선 : 지선 철도는 간선 철도에서 갈라져 나온 철도 노선으로 간선 철도가 다니지 않는 곳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거나 두 개의 간선 철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34. 고 막 원 (古幕院驛)
①위치 :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송촌리
②면적 : (다시면) 56.61 ㎢
③인구 : (다시면) 5,046 명
④문화재 : 나주 복암리고분군(羅州伏岩里古墳群:사적 404), 최희량장군 신도비(崔希亮將軍神道碑:전남기념물 53), 나주영모정(羅州永慕亭:전남기념물112), 보산정사(寶山精舍:전남문화재자료 131)를 비롯해 보산사(寶山祠), 무열사(武烈祠), 임백호묘(林白湖墓)와 신풍리(新楓里)·문동리(文洞里)·동곡리(東谷里)에 지석묘군이 있다.
⑤지명유래 : 고려시대 복암사를 가기 위해 가다가 쉬었다 갈 수 있는 원이 설치되었는데, 그 원(院)의 이름이 고막원이었고, 이를 역명으로 명명하였다.
⑥연계노선 : 없음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영산강(榮山江)이 면의 남쪽 경계를 이루고, 면의 북쪽 끝에서 중앙부를 영산강의 지류인 문평천(文平川)이 남류하기 때문에 넓은 평야는 남부와 문평천 유역에 전개되며, 북부는 해발고도 100m 내외의 구릉지대이다
35. 함 평 (咸平驛)
①위치 :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사거리
②면적 : 학교면 46.44 ㎢
③인구 : 5,163 명
④문화재 : 함평 고막천 석교(咸平古幕川石橋:전남유형문화재 68, 일명 독다리), 함평 마산리 고분군(馬山里古墳群:전남기념물 122), 함평 복천리(伏泉里) 고인돌군[支石墓群], 금송리 요지(錦松里窯址), 정현보 충효각(鄭賢輔忠孝閣)
⑤지명유래 : 남쪽은 영산강에 면하여 유역에는 넓은 학교평야가 전개되므로 유래되었다.
⑥연계노선 : 호남선 , 나비축제할 때 KTX 정차
⑦도시공학 참고자료 : 동쪽으로 나주시 문평면(文平面)·다시면(多侍面), 서쪽으로 엄다면(嚴多面), 남쪽으로 영산강을 경계로 나주시 동강면(洞江面)·공산면(公山面), 북쪽으로 대동면(大洞面)에 접한다. 동쪽은 고막천(古幕川), 서쪽은 함평천(咸平川)이 있다. 광주∼목포 간, 영광∼나주 간 국도가 동서와 남북 방향으로 지나고, 호남선의 함평역이 있어 광주·목포·함평 방면으로 교통이 편리하다.
36. 무 안 (務安驛) , mu ran
①위치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사창리
②면적 : (몽탄면) 62.62 ㎢
③인구 : (몽탄면) 4,382 명
④문화재 : 법천사 목우암(전남문화재자료 82), 목우암 삼존불(전남문화재자료 172), 총지사지 석장승(전남민속자료 23), 법천사 석장승(전남민속자료 24), 마곡사
⑤지명유래 : 조선 중종 때 사창이 있던 곳이라 하여 사창(社倉)이란 지명이 생겼다. 이 역은 1913년 5월 15일 개역 당시에는 역이 위차한 마을의 이름을 따서 \'사창역\'이라고 하였으나, 호남선이 현재의 무안군 무안읍을 지나지 않아 \'무안\'이라는 역명을 쓸 수 있는 역이 없었기 때문에 1985년 8월 12일 무안읍에서 그나마 제일 가까운 역이었던 이 역을 \'무안역\'으로 개명하게 되었다.
⑥연계 노선 : 호남선 일부 무궁화호, 경전선 모든 무궁화호 열차가 왕복 9회 정차한다.
⑦도시공학 참고 자료 : 인근에 한국 전쟁과 월남전에 참전했던 전투기 등 실물항공기 11대를 비롯, 세계의 우주 항공 역사를 살필 수 있는 호담항공우주전시관이 있다.
37. 몽 탄 (夢灘驛) , mong kan
①위치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사천리
②면적 : (몽탄면) 62.62 ㎢
③인구 : (몽탄면) 4,382 명
④문화재 : 법천사 목우암(전남문화재자료 82), 목우암 삼존불(전남문화재자료 172), 총지사지 석장승(전남민속자료 23), 법천사 석장승(전남민속자료 24), 마곡사
⑤지명유래 : 역명은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의 견훤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