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국어문법론] 제10장 단어형성의 원리 {단어의 짜임새, 파생법, 합성법, 합성어의 파생, 한자어 조어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표준국어문법론] 제10장 단어형성의 원리 {단어의 짜임새, 파생법, 합성법, 합성어의 파생, 한자어 조어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0장 단어형성의 원리

10. 1 단어의 짜임새
10. 1. 1 복합어, 파생법과 합성법
10. 1. 2 어근과 접사
10. 1. 3 어근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10. 1. 4 접두사와 접미사
10. 1. 5 한정적 접사와 지배적 접사
10. 1. 6 접사의 규칙성과 불규칙성
10. 1. 7 접사의 통합 방법
10. 1. 8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

10. 2 파 생 법
10. 2. 1 어근과 접사의 형태음운론
10. 2. 2 접두파생법
10. 2. 3 접미파생법
10. 2. 4 제일차적 파생법과 제이차적 파생법

10. 3 합 성 법
10. 3. 1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10. 3. 2 통사적 합성어와 구, 절
10. 3. 3 합성법의 형태음운론

10. 4 합성어의 파생

10. 5 한자어 조어법

본문내용

칙성과 불규칙성
접사는 앞뒤에 오는 어근과의 통합에 제약을 받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접미사는 어근과 통합될 때 차등이 심하여 규칙성의 정도를 분별하지 않을 수 없다.
지붕(집웅), 꼬락서니(꼴악서니), 읊조리다...
‘-웅’과 ‘-악서니’는 ‘집’과 ‘꼴’ 이외의 말에는 붙지 못하므로 불구형태소라 할 수 있음(단어구성소에 속함)
먹이다, 높이, 꽃답다...
‘-이-, -이, -답-’은 통합되는 어근의 수효가 많은 편이어서 생산성을 띠고 있음(단어형성소에 속함)
아이들, 그 사람쯤(문제 없다), 오원 짜리...
*아이만들… 그 사람을쯤…
‘들, 쯤, 짜리’ 등은 위의 경우보다 훨씬 규칙적이다. 이 접사들은 보조사 내지 의존명사의 성격을 띠었다고 할 수도 없지 않으나 이들에 다른 조사가 끼어들 수가 없으므로 접사로 처리함
10. 1. 7 접사의 통합 방법
접미사는 어근에 직접적, 일회적으로 통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파생어 가운데는 관형사형, 명사형, 보조적 연결어미를 매개로 하는 간접적 통합과 같은 어근에 접미사가 두 번 되풀이되는 반복적 통합이 있다.
앉은뱅이, 앉을깨, 질방…
접미사가 관형사형을 매개로 하여 통합
달음질, 귀염성, 붙임성…
명사형을 매개로 하여 통합
떨어지다, 떨어뜨리다, 말라깽이…
보조적 연결어미를 사이에 두고 어근에 통합
10. 1. 8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
어근과 어간은 다 같이 실질형태소란 점에서 공통성이 있고 접사와 어미는 형식형태소란 점에서 공통성이 있다. 구성이 복잡한 단어는 어근과 어간, 접사와 어미가 다르지만 단일한 구성의 단어는 그들이 같을 수가 있다.
밟는다
어근과 어간이 같고 접사는 없다고 보는 것이 좋다
밟힌다
어근은 ‘밟-’, 접사는 ‘-히-’, 어간은 ‘밟히-’, 어미는 ‘-ㄴ다’이다.
짓밟힌다
어근은 ‘밟-’, 접사는 ‘짓-’(접두사), ‘-히-’(접미사), 어간은 ‘짓밟히-’, 어미는 ‘-ㄴ다’이다.
어근은 단어형성시의 불변요소이고 어간은 활용시의 불변요소이다. 이에 대해 접사는 단어형성시의 가변요소이고 어미는 활용시의 가변요소이다. 어근을 R(=root), 접사를 Aff.(=affix), 어간을 S(=stem), 어미를 E(=ending)이라 정하여 그 관계를 표로 보이면 다음과 같다.
(가) 밟는다
R
S E
(나) 밟 히 ㄴ다
R Aff
S E
(다) 짓 밟 히 ㄴ다
Aff R Aff
S E
10. 2 파 생 법
10. 2. 1 어근과 접사의 형태음운론
어근에 접사가 붙을 때는 어근과 접사의 모습이 바뀌는 일이 있다. 이와 같이 형태소가 결합될 때 일어나는 음운의 변이를 형태음운론적 교체라 한다. 이러한 음운의 교체는 접두사와 어근 사이에서도 나타나지만 어근과 접미사 사이에서 더 많이 확인된다.
접두사가 어근과 결합될 때 교체가 일어난 것
멥쌀, 휩쓸다, 오조…
접두사가 바뀐 것 : ‘메-’가 ‘멥-’으로 ‘휘-’가 ‘휩-’으로, ‘올-’이 ‘오-’로 바뀜
갈가마귀, 걸터듬다…
어근이 바뀐 것 : ‘가마귀’는 ‘까마귀’의, ‘터듬다’는 ‘더듬다’의 비표준형태
접미사가 어근과 결합될 때 교체가 일어난 것
뿌다구니, 바느질, 모가치
체언어근에 접미사가 붙음으로써 변이가 일어난 예
가느다랗다, 구이, 누룽지
용언어근에 접미사가 붙을 때 일어나는 교체의 예
까맣다, 까끄라기, 거무데데하다
어근에 접미사가 붙을 때 접미사가 교체된 예
강아지, 무게
어근과 접미사가 결합될 때 모두 교체되는 예
10. 2. 2 접두파생법
접두사는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지배적 기능은 없고 어근의 의미를 제한하는 한정적 기능만 띠고 있다. 한정적 접사에 의한 파생법을 어휘적 파생법(語彙的 派生法, lexical derivation)이라고 한다. 접두파생법에 의해 형성되는 품사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가 있다.
명사어근에 접두사가 붙어 다시 명사가 된 것
갓스물, 개떡, 날고기, 맨손, 돌배, 한겨울
관형사성 접두사
동사를 다시 동사로 파생시킨 것
들볶다, 덧나다, 빗나가다, 엿듣다, 짓밟다
부사성 접두사
형용사를 다시 형용사로 파생시킨 것. ‘새-, 시-’는 색채표시의 단어에 붙음
드높다, 새빨갛다, 시퍼렇다, 얄밉다
10. 2. 3 접미파생법
접미사는 접두사와는 달리 한정적 기능뿐만 아니라 지배적 기능도 띠고 있다. 지배적 접사에 의한 파생법을 통사적파생법(syntactic derivation)이라 하는데 접사가 붙음으로써 품사를 바꾸거나 통사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접미파생법은, 접두파생법과는 달리 모든 품사에 고루 확인된다.
명사(체언)파생법
어휘적 파생법
잎사귀, 모가지, 눈치, 너희<명사와 대명사에서>
‘-사귀’는 ‘잎’이외에는 붙을 일이 없는 불구 형태소. ‘-아지’는 ‘작음’이나 ‘얕잡음’을 의미하고, ‘눈치’의 ‘-치’는 ‘눈’ 이외의 다른 말에는 나타나는 일이 드문 불구형태소. ‘너희’의 ‘-희’는 대명사 ‘너’에 복수의 의미를 첨가하는 것
통사적 파생법
① 물음, 잠, 놀이, 쓰기, 말하기, 덮개, 마개<동사에서>
동사의 명사형 ‘잠’ 앞에는 ‘코를 골면서’ 또는 ‘달콤하게’ 등의 부사적 표현이 쓰일 수 있으나 파생명사로서의 ‘잠’ 앞에는 이런 말들이 쓰일 수 없음
② 기쁨, 길이, 크기, 검댕 <형용사에서>
③ 선생님<통사구조 바꿈>
명사를 다시 명사로 파생시키며 ‘-님’의 통합이 통사구조에 영향을 미침. ‘-님’은 보통명사에만 붙고 고유명사에는 ‘-씨’가 붙어서 높임의 의미를 부여함
동사파생법
어휘적 파생법
밀치다, 넘치다, 감치다, 걸치다, 놓치다, 덮치다… <동사에서>
동사에 접사 ‘-치-’가 붙어 다른 의미의 동사가 됨
통사적 파생법
① 밥하다, 공부하다… <명사에서>
‘-하다’는 ‘밥, 공부, 생산’ 등 동작성을 띤 명사에 붙음
② 밝히다, 좁히다, 맞추다… <형용사에서>
③ 철렁거리다, 바둥바둥하다… <부사에서>
의성부사나 의태부사를 동사화하는 것인데 ‘-거리-’가 붙을 때는 첩어성을 잃음
④ 먹이다, 먹히다, 울리다, 깨뜨리다, 깨지다… <통사구조 바꿈>
접사가 품사를 바꾸지는 않으나 타동사를 사동사나 피동사로 바꿈
형용사파생법
어휘적 파생법
말갛다, 거멓다, 높다랗다
접사 ‘-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3.18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