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목적
2. 시험기구
3. 배합설계
4. 시험방법 - 공시체양생
5. 시험방법 - 압축강도측정
6. 시험방법 - 인장강도 측정
7. 결과 및 고찰
2. 시험기구
3. 배합설계
4. 시험방법 - 공시체양생
5. 시험방법 - 압축강도측정
6. 시험방법 - 인장강도 측정
7.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의 일정한 속도로 가하여야 한다. 최대 하중의 절반까지는 하중을 빠른 속도로 가하여도 무방하다. 공시체는 파괴되기 직전에 항복하므로, 이때 시험기의 조종 장치를 조절하여서는 안 된다.
기록과 계산
하중을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가압하고, 시험 중에 공시체가 받은 최대 하중을 기록하여야 하며, 또 콘크리트의 파괴상태와 겉모양을 기록하여야 한다.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시험 중에 공시체가 받은 최대 하중을 공시체의 평균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 때, 압축 강도를 1kg/cm2의 정밀도까지 구하여야 한다. 유효 숫자 3자리까지 읽어야 한다.
시험 방법 - 인장강도 측정
공시체의 양 끝에 지름선을 그리되 그 양끝의 지름선에 평행하여야 한다.
공시체를 양 끝에 표시한 지름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양끝부 근처와 중앙부의 3지름을 0.2mm의 정밀도로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지름으로 취한다. 공시체의 길이는 양 끝의 표지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2개소 이상을 2mm의 정밀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길이로 취한다.
하부 지지블록의 중심에 따라 배니어판 한 장을 맞춘다. 나머지 배니어판을 공시체의 길이 방향으로 표시선에 따라 중시선을 맞춘다.
재하속도는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충격없이 하중을 가하되 인장강도가 매분 0.7~1.4Mpa의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하여야한다. 파괴할 때 시험기가 표시하는 최대하중을 기록한다. 파괴형태와 콘크리트의 외관을 기록한다.
공시체의 인장강도는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T : 인장강도(Mpa)
P :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대하중(N)
l : 공시체의 길이(mm)
d : 공시체의 지름
결과 및 고찰
7일차 압축강도결과
분류
최대하중(KN)
단면적(mm2)
압축강도(MPa)
우리조
1
93.92
7853.982
11.96
2
98.98
12.60
3
87.4
11.13
평균
93.43
11.90
B조
1
126.82
16.15
2
126.82
16.15
3
116.32
14.81
평균
123.32
15.70
C조
1
145.76
18.56
2
128.02
16.30
3
131.33
16.72
평균
135.04
17.19
우리조의 콘크리트 하중- 시간 그래프
B조의 콘크리트 하중- 시간 그래프
C조의 콘크리트 하중- 시간 그래프
분류
최대하중(KN)
단면적(mm2)
압축강도(MPa)
1
102.91
7853.982
13.10
2
87.78
11.18
3
101.36
12.91
4
246.1
17617.46
13.93
21일차 압축강도결과
공시체 별 하중 그래프
21일차 할렬인장강도결과
분류
최대하중(KN)
지름(mm)
길이(mm)
인장강도(MPa)
1
68.99
100
200
2.20
2
81.15
2.58
3
63.38
2.02
21일차 압축강도결과를 보면 강도는 하중/단면적 이기 때문에 단면적이 늘어나도,최대하중이 늘어나 비슷하게 나온걸 볼수 있다.
보편적으로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와 비교해 1/10~1/13정도이다.
이번 실험은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에 비해 1/6.17정도가 나왔다.
우리 조의 7일 압축강도는 다른 조에 비해 4~5Mpa 정도에 차이가 났고, 또 7일차의 압축강도 또한 표준콘크리트 강도보다 매우 낮게 나왔다. 이에 대한 원인은 아래와 같다.
1.단위수량에 차이
콘크리트를 혼합시키면서 배합표와 같이 물을 했을 경우 워커빌리티가 상당히 좋지 않았다. 그래서 물을 점점 더 넣으면서 혼합을 했다. 물을 더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슬럼프값 80mm를 얻기에는 힘들었다. 물에 양을 총 3.25kg을 넣어서야 80mm를 얻을 수 있었다.
물-시멘트비가 높아지면 압축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우리조에 경우 매우 많은 물을 넣어 압축강도가 낮아졌다고본다.
다른 조 역시 워커빌리티와 슬럼프 값을 맞추기위해 넣은 물에 양이 있어 같은 초기배합이라도 또 넣은 물에 양이 달라 압축강도가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2. 작업 중 재료분리
재료분리가 일어나면 콘크리트는 불균질하게 되어 강도, 수밀성 등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번 실험에 경우 단위수량이 너무 많고, 다짐 횟수가 많아 재료분리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재료분리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성형성을 증가, 잔골재율을 크게하고, 물-결합재비를 낮추는 등에 유의하면 된다.
3.연마기 미사용
우리조의 공시체는 다른조에 비해 압축강도측정기에 올려놨을 때 눈에 확 보일정도로 울퉁불퉁했다.
이는 단면 전체에 하중이 고르게 전달되지않게 하기 때문에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 부정확한 값을 나타나게 한다.
기록과 계산
하중을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가압하고, 시험 중에 공시체가 받은 최대 하중을 기록하여야 하며, 또 콘크리트의 파괴상태와 겉모양을 기록하여야 한다.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시험 중에 공시체가 받은 최대 하중을 공시체의 평균 단면적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이 때, 압축 강도를 1kg/cm2의 정밀도까지 구하여야 한다. 유효 숫자 3자리까지 읽어야 한다.
시험 방법 - 인장강도 측정
공시체의 양 끝에 지름선을 그리되 그 양끝의 지름선에 평행하여야 한다.
공시체를 양 끝에 표시한 지름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양끝부 근처와 중앙부의 3지름을 0.2mm의 정밀도로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지름으로 취한다. 공시체의 길이는 양 끝의 표지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2개소 이상을 2mm의 정밀도를 측정하여 그 평균치를 길이로 취한다.
하부 지지블록의 중심에 따라 배니어판 한 장을 맞춘다. 나머지 배니어판을 공시체의 길이 방향으로 표시선에 따라 중시선을 맞춘다.
재하속도는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충격없이 하중을 가하되 인장강도가 매분 0.7~1.4Mpa의 일정한 비율로 증가하도록 하여야한다. 파괴할 때 시험기가 표시하는 최대하중을 기록한다. 파괴형태와 콘크리트의 외관을 기록한다.
공시체의 인장강도는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T : 인장강도(Mpa)
P : 시험기에 나타난 최대대하중(N)
l : 공시체의 길이(mm)
d : 공시체의 지름
결과 및 고찰
7일차 압축강도결과
분류
최대하중(KN)
단면적(mm2)
압축강도(MPa)
우리조
1
93.92
7853.982
11.96
2
98.98
12.60
3
87.4
11.13
평균
93.43
11.90
B조
1
126.82
16.15
2
126.82
16.15
3
116.32
14.81
평균
123.32
15.70
C조
1
145.76
18.56
2
128.02
16.30
3
131.33
16.72
평균
135.04
17.19
우리조의 콘크리트 하중- 시간 그래프
B조의 콘크리트 하중- 시간 그래프
C조의 콘크리트 하중- 시간 그래프
분류
최대하중(KN)
단면적(mm2)
압축강도(MPa)
1
102.91
7853.982
13.10
2
87.78
11.18
3
101.36
12.91
4
246.1
17617.46
13.93
21일차 압축강도결과
공시체 별 하중 그래프
21일차 할렬인장강도결과
분류
최대하중(KN)
지름(mm)
길이(mm)
인장강도(MPa)
1
68.99
100
200
2.20
2
81.15
2.58
3
63.38
2.02
21일차 압축강도결과를 보면 강도는 하중/단면적 이기 때문에 단면적이 늘어나도,최대하중이 늘어나 비슷하게 나온걸 볼수 있다.
보편적으로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와 비교해 1/10~1/13정도이다.
이번 실험은 인장강도가 압축강도에 비해 1/6.17정도가 나왔다.
우리 조의 7일 압축강도는 다른 조에 비해 4~5Mpa 정도에 차이가 났고, 또 7일차의 압축강도 또한 표준콘크리트 강도보다 매우 낮게 나왔다. 이에 대한 원인은 아래와 같다.
1.단위수량에 차이
콘크리트를 혼합시키면서 배합표와 같이 물을 했을 경우 워커빌리티가 상당히 좋지 않았다. 그래서 물을 점점 더 넣으면서 혼합을 했다. 물을 더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슬럼프값 80mm를 얻기에는 힘들었다. 물에 양을 총 3.25kg을 넣어서야 80mm를 얻을 수 있었다.
물-시멘트비가 높아지면 압축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우리조에 경우 매우 많은 물을 넣어 압축강도가 낮아졌다고본다.
다른 조 역시 워커빌리티와 슬럼프 값을 맞추기위해 넣은 물에 양이 있어 같은 초기배합이라도 또 넣은 물에 양이 달라 압축강도가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2. 작업 중 재료분리
재료분리가 일어나면 콘크리트는 불균질하게 되어 강도, 수밀성 등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이번 실험에 경우 단위수량이 너무 많고, 다짐 횟수가 많아 재료분리가 많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재료분리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성형성을 증가, 잔골재율을 크게하고, 물-결합재비를 낮추는 등에 유의하면 된다.
3.연마기 미사용
우리조의 공시체는 다른조에 비해 압축강도측정기에 올려놨을 때 눈에 확 보일정도로 울퉁불퉁했다.
이는 단면 전체에 하중이 고르게 전달되지않게 하기 때문에 강도를 측정함에 있어 부정확한 값을 나타나게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