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드레인탱크
-덤프밸브
*연소실 드레인밸브
*P & W JT12 엔진의 연료계통
*JT8D 엔진의 연료계통
*가변각(angel)압축기 베인계통(대형엔진)
*계통의작동(General Electric CFG-6 터보팬)
*가변베인이 고압축엔진에 필요한 이유
-가변베인계통과 압축기 블리드계통의 비교
-소형 엔진의 블리드밴드 계통
-블리드밴드 스케줄(Bleed Band Schedule)
-대형엔진의 블리드밸브계통(P & W, JT8D 터보팬)
-덤프밸브
*연소실 드레인밸브
*P & W JT12 엔진의 연료계통
*JT8D 엔진의 연료계통
*가변각(angel)압축기 베인계통(대형엔진)
*계통의작동(General Electric CFG-6 터보팬)
*가변베인이 고압축엔진에 필요한 이유
-가변베인계통과 압축기 블리드계통의 비교
-소형 엔진의 블리드밴드 계통
-블리드밴드 스케줄(Bleed Band Schedule)
-대형엔진의 블리드밸브계통(P & W, JT8D 터보팬)
본문내용
가 고정되어 있을때는 Tt2 센서가 압축기 베인 각도를 제어하는 기능도 한다. 압축기 입구 온도(CIT) 센서(Tt2)는 공기질유량에 영향을 주는 대기온도변화를 조화시키기 위해 베인-열림 스케줄을 재설정한다.
*가변베인이 고압축엔진에 필요한 이유
(1)고정베인의 실속곡선-저압축엔진
압축기는 주어진 공기유량(m8)dp eogo 어떤 압력비(Cr)가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Typical stall line chart, engine with fixed compressor stator vanes에서 A-B선은 압축기 실속 없이 최대공기유량과 압축기 압력비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공장시험의 결과이다. 이 곡선은 압축기 속도선을 제거하고 압축기 압력비와 공기유량의 두가지 선으로 간략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3장에서 설명한 실속여유곡선과 유사하다.
실속라인 A-B 위의 압력비는 공기유량에 대해 압력비가 너무 높아서 실속을 일으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라인 C-D는 정상압력비와 공기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가속하는 동안 연료유량이 너무 많으면, 과도한 연소실 압력이 생겨서 공기흐름을 막게 되어 압력비를 상승시킨다. 이때 라인 A-B 는 초과되어 압축기 실속을 일으킨다.
(2) 가변베인의 실속곡선-고압축엔진
가변베인은 가속과 감속 중에 압축기 압력비와 공기유량의 정확한 관계를 압축기에 주도록 압축기 압력비와 공기유량을 제어한다.
가변베인은 압축기 입구 온도(Tt2)에 치우친 rpm 스케줄상에서 작동한다.
Typical stall line chart, engine with variable angle compressor stator vanes는 압축기 압력비와 rpm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것은 엔진이 실속을 일으키지 않고 주어진 rpm에 대해 더높은 압축기 압력비에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인 C-D는 고정스테이터 베인을 가진 엔진에서 정상압축기 압력비와 rpm의 관계를 나태낸다. 이 안전하게 낮은 라인의 위치에서 엔진의 최대압력비 역시 낮다.
가변베인이 장착된 경우, 압축은 올라가며 작동라인은 EF 위치로 안전하게 올라간다.
실속라인이 더 높아지는 이유는, 주어진rpm에 대해 가변베인계통이 공기흐름을 조절함으로써 베인계통이 정확한 압축기 압력비와 공기유량을 자동적으로 스케줄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고정 스테이터 엔진의 실속라인이 공장시험에 의해 결정된다면, 가변베인 엔진에 대해 똑같은 방법으로 두 번
*가변베인이 고압축엔진에 필요한 이유
(1)고정베인의 실속곡선-저압축엔진
압축기는 주어진 공기유량(m8)dp eogo 어떤 압력비(Cr)가 존재하도록 설계된다.
Typical stall line chart, engine with fixed compressor stator vanes에서 A-B선은 압축기 실속 없이 최대공기유량과 압축기 압력비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공장시험의 결과이다. 이 곡선은 압축기 속도선을 제거하고 압축기 압력비와 공기유량의 두가지 선으로 간략화한 것을 제외하고는 3장에서 설명한 실속여유곡선과 유사하다.
실속라인 A-B 위의 압력비는 공기유량에 대해 압력비가 너무 높아서 실속을 일으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라인 C-D는 정상압력비와 공기유량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가속하는 동안 연료유량이 너무 많으면, 과도한 연소실 압력이 생겨서 공기흐름을 막게 되어 압력비를 상승시킨다. 이때 라인 A-B 는 초과되어 압축기 실속을 일으킨다.
(2) 가변베인의 실속곡선-고압축엔진
가변베인은 가속과 감속 중에 압축기 압력비와 공기유량의 정확한 관계를 압축기에 주도록 압축기 압력비와 공기유량을 제어한다.
가변베인은 압축기 입구 온도(Tt2)에 치우친 rpm 스케줄상에서 작동한다.
Typical stall line chart, engine with variable angle compressor stator vanes는 압축기 압력비와 rpm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이것은 엔진이 실속을 일으키지 않고 주어진 rpm에 대해 더높은 압축기 압력비에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인 C-D는 고정스테이터 베인을 가진 엔진에서 정상압축기 압력비와 rpm의 관계를 나태낸다. 이 안전하게 낮은 라인의 위치에서 엔진의 최대압력비 역시 낮다.
가변베인이 장착된 경우, 압축은 올라가며 작동라인은 EF 위치로 안전하게 올라간다.
실속라인이 더 높아지는 이유는, 주어진rpm에 대해 가변베인계통이 공기흐름을 조절함으로써 베인계통이 정확한 압축기 압력비와 공기유량을 자동적으로 스케줄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고정 스테이터 엔진의 실속라인이 공장시험에 의해 결정된다면, 가변베인 엔진에 대해 똑같은 방법으로 두 번
추천자료
항공우주학개론 5장 연습문제
환경오염의종류와실태
환경문제의 종류 및 대책
내연기관(제트엔진)
사우스웨스트항공(SWA)의 인적자원관리와 성공요인
운항브리핑 및 운항관리 비행계획 항공기상
항공스포츠 패러글라이딩
항공마케팅,항공사전략,제주항공경영,prm,저가항공사,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보잉,항공마케팅,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
진에어(JINAIR) 마케팅실행전략 제안과 진에어 기업분석과 서비스전략분석
[ERP사례] ERP 도입 사례, 도입 성공 기업, 실패 기업 사례 분석
진에어-기업분석,진에어마케팅전략,진에어경영전략
대한항공 물류시스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