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확도와 정밀도
2.측정가능한 오차(determinate error)
3.측정 불가능한 오차(indeterminate error)
4.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5.검정감도와 분석감도
6.검출한계
7.신호/잡음 비 S/N 개선법
8.기기잡음의 종류
2.측정가능한 오차(determinate error)
3.측정 불가능한 오차(indeterminate error)
4.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5.검정감도와 분석감도
6.검출한계
7.신호/잡음 비 S/N 개선법
8.기기잡음의 종류
본문내용
잡음은 전하 불균형을 가져오고 이로 인해 전압 변동을 일으키게 하여 판독 눈금에 잡음을 생기게 한다. 이 잡음은 저항소자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Johnson 잡음은 주파수의 띠나비에 의존하고, 진동수 자체에 무관하며 저항기의 물리적 크기와 관계가 없다. 이 잡음을 감소시키는 데는 좁은 띠나비법은 가끔 증폭기, 필터 등의 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좁은 띠나비를 얻도록 하는 방법이다. 광전자 증배관과 기타 검출기의 열적 잡음은 냉각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다.
(2) 산탄잡음은 전자 또는 하전입자가 접촉계면을 가로지나 이동함으로써 전류가 흐를 때 항상 나타나는 잡음이다. 접촉계면은 전자회로의 p와 n의 계면에서 볼 수 있고, 광전지와 진공관인 경우에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진공된 공간을 말한다.
(3) 깜박이 잡음은 크기가 관측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갖는 잡음으로서 1/v 잡음이라고도 한다. 이 잡음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언제, 어디에도 존재한다는 것을 그 주파수 의존성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 잡음은 100Hz 이하의 주파수에서 심하고, dc 증폭기, 계기 및 검류계에서 관측되는 장주기 변조는 깜박이 잡음의 표시라고 생각한다.
(4) 환경잡음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생기는 잡음으로서 기기의 각 도체는 전자기 복사선을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의 역할을 하고, 전기신호를 변환할 수 있으므로 환경잡음이 많이 일어난다. 또 ac 전력선, 라디오 및 TV 방송국, 스위치의 아아크, 전동기의 브러시, 번개 등을 포함하는 수많은 곳에서 전자기 복사선의 근원이 존재하기
(2) 산탄잡음은 전자 또는 하전입자가 접촉계면을 가로지나 이동함으로써 전류가 흐를 때 항상 나타나는 잡음이다. 접촉계면은 전자회로의 p와 n의 계면에서 볼 수 있고, 광전지와 진공관인 경우에는 양극과 음극 사이의 진공된 공간을 말한다.
(3) 깜박이 잡음은 크기가 관측되는 신호의 주파수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갖는 잡음으로서 1/v 잡음이라고도 한다. 이 잡음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언제, 어디에도 존재한다는 것을 그 주파수 의존성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 잡음은 100Hz 이하의 주파수에서 심하고, dc 증폭기, 계기 및 검류계에서 관측되는 장주기 변조는 깜박이 잡음의 표시라고 생각한다.
(4) 환경잡음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생기는 잡음으로서 기기의 각 도체는 전자기 복사선을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의 역할을 하고, 전기신호를 변환할 수 있으므로 환경잡음이 많이 일어난다. 또 ac 전력선, 라디오 및 TV 방송국, 스위치의 아아크, 전동기의 브러시, 번개 등을 포함하는 수많은 곳에서 전자기 복사선의 근원이 존재하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