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비교
1.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1) 햇볕정책의 개념
(2) 햇볕정책의 특징과 내용
(3) 햇볕정책의 성과
2.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차이점과 공통점
(1)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차이점
(2)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공통점
- 참고 문헌
1.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1) 햇볕정책의 개념
(2) 햇볕정책의 특징과 내용
(3) 햇볕정책의 성과
2.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차이점과 공통점
(1)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차이점
(2)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공통점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를 반영하는 한편, 분단의 평화적 관리를 위한 대외정책에 주력한 것이다.
넷째, 두 정책은 분단의 현상유지를 잠정적으로 인정함으로써 평화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브란트 정부는 과거의 서독정부와 달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축소된 독일 국경선을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동독을 국가로 인정하였다. 유럽 및 독일 영토에서 긴장완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우선 과제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통일의 당위성을 결코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대북 화해협력정책도 북한과의 대화와 교류협력을 통해 일차적으로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이었다. 따라서 남북평화공존을 우선 목표로 추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분단 상황에서 불가피한 과도기적인 것이며 최종목표는 화해협력을 통한 점진적단계적 평화통일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두 정책은 각각 동독과 북한의 체제안정을 바탕으로 동서독 및 남북관계의 발전은 물론이고 동독과 북한의 내적 변화를 촉진시키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었다. 서독은 동독을 인정함으로써 동독 정권의 체제안정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주었고, 이는 동서독 관계발전에 대한 동독정권의 적극적 태도를 고무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대북 화해협력정책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북한체제의 안정을 보장함으로써 북한이 국제사회 진출은 물론이고 남북관계 개선에 대해 보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자 했다. 북한정권이 동독의 경우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남한 문화의 유입을 막으려 할지라도 내부적 변화의 동력을 거스를 수는 없을 것으로 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북한체제의 안정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출발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본 것이다.
- 참고 문헌 -
박봉현. 2002. 『대통령 리더십과 통일정책: 한반도와 독일의 역대 지도자의 통일 리더십 비교』. 한울아카데미.
손선홍. 2005. 『분단과 통일의 독일 현대사』. 소나무.
이영기. 1989. "기독교와 한국사회: 빌리브란트의 동방정책과 한국북방정책의 전망". 동북아연구.
정해구. 2005.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 경제협력: "현대"사례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최완규. 2003. "햇볕정책의 국내정치적 제약요인 분석". 교회와 한국문제.
통일부. 2001. 『통일백서 2001』. 통일부 통일교육원.
박봉현. 2002 「대통령 리더십과 통일정책」, 한울
안병억. 2000, 「통일을 이룬 독일 총리들」, 한울
넷째, 두 정책은 분단의 현상유지를 잠정적으로 인정함으로써 평화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브란트 정부는 과거의 서독정부와 달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축소된 독일 국경선을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동독을 국가로 인정하였다. 유럽 및 독일 영토에서 긴장완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우선 과제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통일의 당위성을 결코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대북 화해협력정책도 북한과의 대화와 교류협력을 통해 일차적으로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이었다. 따라서 남북평화공존을 우선 목표로 추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분단 상황에서 불가피한 과도기적인 것이며 최종목표는 화해협력을 통한 점진적단계적 평화통일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두 정책은 각각 동독과 북한의 체제안정을 바탕으로 동서독 및 남북관계의 발전은 물론이고 동독과 북한의 내적 변화를 촉진시키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었다. 서독은 동독을 인정함으로써 동독 정권의 체제안정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주었고, 이는 동서독 관계발전에 대한 동독정권의 적극적 태도를 고무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대북 화해협력정책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북한체제의 안정을 보장함으로써 북한이 국제사회 진출은 물론이고 남북관계 개선에 대해 보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자 했다. 북한정권이 동독의 경우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남한 문화의 유입을 막으려 할지라도 내부적 변화의 동력을 거스를 수는 없을 것으로 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북한체제의 안정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출발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본 것이다.
- 참고 문헌 -
박봉현. 2002. 『대통령 리더십과 통일정책: 한반도와 독일의 역대 지도자의 통일 리더십 비교』. 한울아카데미.
손선홍. 2005. 『분단과 통일의 독일 현대사』. 소나무.
이영기. 1989. "기독교와 한국사회: 빌리브란트의 동방정책과 한국북방정책의 전망". 동북아연구.
정해구. 2005.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 경제협력: "현대"사례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최완규. 2003. "햇볕정책의 국내정치적 제약요인 분석". 교회와 한국문제.
통일부. 2001. 『통일백서 2001』. 통일부 통일교육원.
박봉현. 2002 「대통령 리더십과 통일정책」, 한울
안병억. 2000, 「통일을 이룬 독일 총리들」, 한울
추천자료
[실업정책 필요성][실업 현황][실업정책 문제점][미국 실업정책 사례][실업정책 개선방안]실...
[정책][정책 정의][정책 유형][한국 노동정책 사례][한국 교육정책 사례][한국 보건의료정책 ...
[정책][정책변화][국가정책]수도권 인구집중 억제정책의 변화(정책변화) 사례, 중국 대외정책...
[정책변동][정책변화][여성정책][대기업정책][노동정책][국가정책]정책변동(정책변화)의 원인...
[대외정책][대외정책 사례][중국의 대외정책 사례][미국의 대외정책 사례][북한의 대외정책 ...
[남북통일정책][남북통일][남한과 북한 남북통일정책 비교][독일 통일 사례]남북통일정책의 ...
[정책변동][정책변화][정책변동(정책변화) 사례][정책혁신]정책변동(정책변화)의 개념정립, ...
[대외정책][일본대외정책][미국대외정책][러시아대외정책][북한대외정책][조선대외정책]일본...
[정책변화][정책변동][정책변화(정책변동) 사례][정책변화(정책변동) 제언]정책변화(정책변동...
[남북통일정책][남북통일]남한의 통일정책, 북한의 통일정책, 남북한 통일정책의 변천, 독일...
소규모학교 통폐합정책(작은학교 통폐합정책) 약사, 소규모학교 통폐합(작은학교 통폐합) 배...
[주택정책][주택정책의 동향][주택정책의 문제점][주택정책의 개선방안]주택정책의 개념, 주...
[주택정책][주택금융][주택금융 재원확보 방안]주택정책의 정의, 주택정책의 특징, 주택정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