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비교

1.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1) 햇볕정책의 개념
(2) 햇볕정책의 특징과 내용
(3) 햇볕정책의 성과

2.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차이점과 공통점
(1)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차이점
(2) 동방정책과 햇볕정책의 공통점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를 반영하는 한편, 분단의 평화적 관리를 위한 대외정책에 주력한 것이다.
넷째, 두 정책은 분단의 현상유지를 잠정적으로 인정함으로써 평화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브란트 정부는 과거의 서독정부와 달리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축소된 독일 국경선을 인정했을 뿐만 아니라 동독을 국가로 인정하였다. 유럽 및 독일 영토에서 긴장완화를 정착시키는 것이 우선 과제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도 통일의 당위성을 결코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대북 화해협력정책도 북한과의 대화와 교류협력을 통해 일차적으로 한반도 평화를 정착시키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것이었다. 따라서 남북평화공존을 우선 목표로 추진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분단 상황에서 불가피한 과도기적인 것이며 최종목표는 화해협력을 통한 점진적단계적 평화통일이었던 것이다.
다섯째, 두 정책은 각각 동독과 북한의 체제안정을 바탕으로 동서독 및 남북관계의 발전은 물론이고 동독과 북한의 내적 변화를 촉진시키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었다. 서독은 동독을 인정함으로써 동독 정권의 체제안정에 대한 자신감을 키워주었고, 이는 동서독 관계발전에 대한 동독정권의 적극적 태도를 고무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대북 화해협력정책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과 북한체제의 안정을 보장함으로써 북한이 국제사회 진출은 물론이고 남북관계 개선에 대해 보다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자 했다. 북한정권이 동독의 경우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남한 문화의 유입을 막으려 할지라도 내부적 변화의 동력을 거스를 수는 없을 것으로 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북한체제의 안정은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 출발점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본 것이다.
- 참고 문헌 -
박봉현. 2002. 『대통령 리더십과 통일정책: 한반도와 독일의 역대 지도자의 통일 리더십 비교』. 한울아카데미.
손선홍. 2005. 『분단과 통일의 독일 현대사』. 소나무.
이영기. 1989. "기독교와 한국사회: 빌리브란트의 동방정책과 한국북방정책의 전망". 동북아연구.
정해구. 2005. "김대중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 경제협력: "현대"사례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최완규. 2003. "햇볕정책의 국내정치적 제약요인 분석". 교회와 한국문제.
통일부. 2001. 『통일백서 2001』. 통일부 통일교육원.
박봉현. 2002 「대통령 리더십과 통일정책」, 한울
안병억. 2000, 「통일을 이룬 독일 총리들」, 한울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5.29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0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