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A. 표기 및 발음
1. 홑받침의 표기 및 발음
2. 겹받침의 표기 및 발음
1)앞 자음으로 소리 나는 겹받침의 표기 및 발음
2)뒤 자음으로 소리 나는 겹받침의 표기 및 발음
3. 받침 ‘ㅎ’의 표기와 발음
4. 그 밖의 표기 및 발음
B. 평소에 어렵게 느껴지는 겹받침의 표기와 발음
결론
본론
A. 표기 및 발음
1. 홑받침의 표기 및 발음
2. 겹받침의 표기 및 발음
1)앞 자음으로 소리 나는 겹받침의 표기 및 발음
2)뒤 자음으로 소리 나는 겹받침의 표기 및 발음
3. 받침 ‘ㅎ’의 표기와 발음
4. 그 밖의 표기 및 발음
B. 평소에 어렵게 느껴지는 겹받침의 표기와 발음
결론
본문내용
표준발음법 제4장, 9항]에서 [받침 ‘ㄲ, ㅋ’, ‘ㅅ, ㅆ, ㅈ, ㅊ, ㅌ’, ‘ㅍ’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대표음 ‘ㄱ’, ‘ㄷ’, ‘ㅂ’으로 발음한다]고 규정하고 있다(김진호 2011, 65). 단, ‘ㄴ, ㄹ, ㅁ, ㅇ‘ 은 그대로 발음 된다(이혜원 2014, 26). 이에 대한 예들과 함께 도표로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표1>.
2. 겹받침의 표기 및 발음
한국어에는 절차 상, 열한 개의 겹자음(ㄳ,ㄵ, ㄼ, ㄽ, ㄾ, ㅄ, ㄺ, ㄻ, ㄿ, ㄶ, ㅀ)이 받침에 올수 있다. 하지만 두 자음 모두가 발음 될 수는 없다(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53). 그러나 겹받침 뒤에 모음이 올 경우, 첫 번째 자음은 앞 음절에 남아 그대로 소리가 나고 뒤 자음은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 되는 등, 겹받침의 발음은 몇 가지 예외적인 상황이 존재하지만 일정한 규칙으로 발음된다(김진호 2011, 65). 겹받침은 앞 자음으로 소리 나는 ‘ㄳ’,‘ㄵ’,‘ㄼ, ㄽ, ㄾ’,‘ㅄ’계통과 뒤 자음으로 소리 나는 ‘ㄺ’,‘ㄻ’,‘ㄿ’계통으로 나누어진다.
표기
발음
예
ㄲ, ㅋ
ㄱ
닦다[닥따], 키읔[키윽], 밖[박], 부엌[부억]
ㅅ, ㅆ,
ㄷ
낫[낟], 웃다[
2. 겹받침의 표기 및 발음
한국어에는 절차 상, 열한 개의 겹자음(ㄳ,ㄵ, ㄼ, ㄽ, ㄾ, ㅄ, ㄺ, ㄻ, ㄿ, ㄶ, ㅀ)이 받침에 올수 있다. 하지만 두 자음 모두가 발음 될 수는 없다(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53). 그러나 겹받침 뒤에 모음이 올 경우, 첫 번째 자음은 앞 음절에 남아 그대로 소리가 나고 뒤 자음은 뒤 음절의 첫소리로 발음 되는 등, 겹받침의 발음은 몇 가지 예외적인 상황이 존재하지만 일정한 규칙으로 발음된다(김진호 2011, 65). 겹받침은 앞 자음으로 소리 나는 ‘ㄳ’,‘ㄵ’,‘ㄼ, ㄽ, ㄾ’,‘ㅄ’계통과 뒤 자음으로 소리 나는 ‘ㄺ’,‘ㄻ’,‘ㄿ’계통으로 나누어진다.
표기
발음
예
ㄲ, ㅋ
ㄱ
닦다[닥따], 키읔[키윽], 밖[박], 부엌[부억]
ㅅ, ㅆ,
ㄷ
낫[낟], 웃다[
추천자료
허웅의 `언어학`과 `국어학 서설`에서의 음운론 비교
학력저하 현상에 대하여
기후변화 위기의 도래와 극복방안 논의
판 소 리
영어의 연음변화
판소리의 의미, 판소리사의 접근 방법, 판소리의 구성, 판소리의 내용, 여류 명창의 등장과 ...
음성(목소리, 말소리) 요소, 음성(목소리, 말소리)과 음성장애, 음성상징, 음성(목소리, 말소...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종결어미와 의문어미, 중세국어(중세한국어)의 고져와 과뎌, 중세국...
[소리][소리 종류][소리 요소][소리 전달][소리 인식원리][소리 음파][소리 음속]소리의 종류...
[소리][소리의 성질][소리의 속성][소리의 발생][소리의 요소][소리의 인식원리][소리의 잔향...
[판소리][판소리의 의미][판소리의 기원][판소리의 특성][판소리의 작품][판소리의 단가][판...
소리의 속도
[구개음화규칙, 구개음화규칙 발견, 구개음화규칙 발생, 구개음화규칙 변화, 구개음화규칙 지...
의미변화 [원리 원인 분류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