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개음화규칙, 구개음화규칙 발견, 구개음화규칙 발생, 구개음화규칙 변화, 구개음화규칙 지리적 확산]구개음화규칙의 발견, 구개음화규칙의 발생, 구개음화규칙의 변화, 구개음화규칙의 지리적 확산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개음화규칙, 구개음화규칙 발견, 구개음화규칙 발생, 구개음화규칙 변화, 구개음화규칙 지리적 확산]구개음화규칙의 발견, 구개음화규칙의 발생, 구개음화규칙의 변화, 구개음화규칙의 지리적 확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구개음화규칙의 발견
1. 방언에서의 ‘ㅈ’의 음성 실현과 구개음화
2. ‘ㅈ’의 변화

Ⅲ. 구개음화규칙의 발생

Ⅳ. 구개음화규칙의 변화

Ⅴ. 구개음화규칙의 지리적 확산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만 원형과정들이 언어별로 고유한 방식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한 언어의 음운체계란 보편 음운체계가 특수하게 여과된 형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음운론을 이렇게 정의하면, 또한 음운론의 기본 단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져야 한다. GP는 음운이나 변별성분들이 음운론의 기본단위라고 정의했다. 그러나 자연 음운과정들을 연구대상으로 삼는 NP에서는 이러한 자연 음운과정들이 음운론의 기본 단위들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면 이미 설명했듯이, 무성 장애음들은 유성성분에 대해 무표성 가치를 갖는다. 즉 조음 역학상 장애음을 무성음으로 조음하는 방식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유성 장애음을 무성음으로 조음하려는 이른바 탈유성음화(= 경음화)경향이 원칙적으로 어느 언어에서나 실현될 수 있는 한 가지 잠재적인 원형과정process type으로 성립한다. 그러나 개별 언어들에서는 이 원형과정이 실제로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제약된 과정들processes로 실현된다. 예컨대 독어는 탈유성음화 경향을 다른 위치들에서는 모두 봉쇄하고 음절말음 위치에서는 허용한다. 러시아어는 더욱 봉쇄하여 단어말음 위치에서만 허용한다. 또한 탈유성음화 경향을 모든 장애음들에 적용하지 않고 일부 장애음들에만 국한시켜 적용하는 언어들도 있다.
세계언어들에 나타나고 있는 자연 음운과정들을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운율과정prosodisch
단어나 구句문장텍스트를 기본 리듬형식과 억양형식으로 편성하는 과정
강화과정Fortition
특정 음성의 경음화과정(예 : 장애음들의 무성음화), 인접음과의 차이를 심화시키는 과정(예 : 각종 이화현상 [zks] < [zes] sechs), 음성삽입과정(Amt [mpt]). 비성절 자음의 성절음화([max] < [maxn]).
약화과정Lenition
특정 음성의 연음화과정(예: 모음들 사이에 나타나는 폐쇄음의 마찰음화), 인접음과의 차이를 약화시키는 과정(각종 동화과정 및 조화과정 [hab] < [hab], 음성생략과정(Glanz, ganz [ns]), 성절자음의 비성절음화 [gra:d] < [ra:d] gerade).
강화과정은 청자의 청취(인지)행위가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화자의 조음행위가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만드는 효과를 낳는다. 강화과정은 특히 느린 템포로 진행되는 발음행위와 공식적인 상황하의 언어사용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음운과정들이다. 반면에 약화과정은 빠른 템포로 진행되는 발음행위와 비공식적인 상황하의 언어상황에서 전형적으로 실현되는 음운과정들이다.
NP에 따르면, 각종 음운과정들은 후천적으로 습득되지 않고,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이미 갖추고 있는 생득적인 사항들이다. 기실 어린이가 습득해야 할 사항은 이 같은 생득적인 보편 음운과정들이 자신의 모국어상에서 특유하게 봉쇄 억제 EliminierungUnterdruckung(suppressionlimitation)되는 방식들이다. 예를 들면 폐쇄음들을 무성음으로 발음(p t k)하려는 생득적인 보편경향이 독어의 경우 다른 위치들에서는 봉쇄되지만 음절말음 위치에서는 그대로 존속된다. 영어의 경우는 말음위치에서 조차도 이 경향을 봉쇄해 버린다. 영어를 모국어로서 아직 습득하는 단계에 있는 유아들이 bad sad 같은 단어들을 이따금 [bet] [saet]로 잘못 발음하는 사례가 있다. 이 사실은 인간이 폐쇄음을 무성음으로 발음하려는 보편적인 경향을 갖추고서 태어났음을 입증해준다. 따라서 한 언어의 음운론(= 음운체계)이란 생득적인 자연과정들로 이루어진 보편 음운체계가 특수하게 억제된 형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Ⅱ. 구개음화규칙의 발견
1. 방언에서의 ‘ㅈ’의 음성 실현과 구개음화
郭忠求(1996)에서 제시했던 내용의 일부를 인용하면서 방언에서의 ‘ㅈ’의 음성 실현을 살피기로 한다. 북한 방언은 지역에 따라 ‘ㅈ’의 조음 특징을 다양하게 보여주므로 각 방언으로 분화되기 이전의 ‘ㅈ’의 음가를 추적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조사 보고된 각 지역 방언의 ‘ㅈ’의 이음 및 구개음화 현상의 有無는 다음과 같다(모음간의 이음 [dz]와 []는 제시하지 않는다).
방언권 ‘ㅈ’의 음성실현 구개음화
평안방언 /ts/([ts]) 없음
황해방언 /ts/([ts], []) h-, t
육진방언(20세기 초) /ts/([ts], []) h-
육진방언(현대) /ts/([ts], []) h-, t(진행 중), k(진행 중)
육진방언 외곽 /ts/([ts], []) h-, t, k-
중부남부방언 //([]) h-, t, k-
위 사실을 바탕으로 북한 지역의 방언이 보여주는 ‘ㅈ’의 조음 특징을 좀더 자세히 관찰해 보기로 한다.
평안방언의 ‘ㅈ’은 齒槽音이며, 이 방언에는 구개음화 규칙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평북의 西北端에 위치한 의주 지역어는 이단적이어서 小倉進平(1944:254)에 의하면 이 지역어에서 ‘샤, 셔, 쇼, 슈’(이하 ‘샤’系라 칭함)는 [V]로 실현된다 한다. 예 : tyo[k](朝夕).
한편, 20세기 초 육진방언은 ‘ㅈ’이 [ts]와 []로 실현되는데 오직 h-구개음화의 예만이 보일 뿐이다. 그리고 ‘tsV’, ‘sV’, ‘nV’와 ‘V’, ‘V’, ‘V’(=V는 모음)와 같은 음절구조를 보여준다(郭忠求:1991). 한편, 필자가 관찰한 현재의 육진방언은조음위치가 현저히 다른 두 종류의 ‘ㅈ’을 가지고 있는데, 그 하나는 혀끝이 윗니의 뒷부분과 齒槽 위치에 닿으며 동시에 舌面이 아래로 내려가는 설단적 치조파찰음(alveolar affricate)이다. 예 : [tsoi](粟), [tsukt’a](死). 다른 하나는 혀끝이 아랫니에 닿으며 舌面이 경구개를 향하여 올라가는 치조경구개파찰음(palato-alveolar affricate)으로서, 중부방언의 그것보다 더 설배적이다. 예 : [akt’a](小), [uk](粥). 요컨대, 1세기 전과 현재의 육진방언에서는 ‘ㅈ’이 두 이음 [ts]와 []로 실현되는 것이다. 앞서 든 예를 중세국어와 비교하면 전자의 [tsoi], [tsukt’a]는 ‘조, 죽다’ 후자의 [akt’a], [uk]은 ‘쟉다,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28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