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목차
第二十五回 抗北庭鄭衆折强威 赴西竺蔡愔求佛典
제이십오회 항북정정중절강위 부서축채음구불전
후한통속연의 25회 북정[북흉노]에 항거한 정중은 강한 위엄을 꺽고 서축에 이른 채음은 불전을 구하다
第二十六回 辨冤獄寒朗力諫 送友喪範式全交
제이십육회 변원옥한랑력간 송우상범식전교
후한통속연의 제26회 원통한 옥사를 구별하는 한량은 힘주어 간언하고 벗의 장례를 치르는 범식은 교류를 온전히 하다
第二十七回 哀牢王擧種投誠 匈奴兵望營中計
제이십칠회 애뢰왕거종투성 흉노병망영중계
후한통속연의 27회 애뢰왕은 종족을 들어 항복해오고 흉노병사는 군영을
제이십오회 항북정정중절강위 부서축채음구불전
후한통속연의 25회 북정[북흉노]에 항거한 정중은 강한 위엄을 꺽고 서축에 이른 채음은 불전을 구하다
第二十六回 辨冤獄寒朗力諫 送友喪範式全交
제이십육회 변원옥한랑력간 송우상범식전교
후한통속연의 제26회 원통한 옥사를 구별하는 한량은 힘주어 간언하고 벗의 장례를 치르는 범식은 교류를 온전히 하다
第二十七回 哀牢王擧種投誠 匈奴兵望營中計
제이십칠회 애뢰왕거종투성 흉노병망영중계
후한통속연의 27회 애뢰왕은 종족을 들어 항복해오고 흉노병사는 군영을
본문내용
多霜雪, 夏多和雨。
성덕심은 여인부후 동다상설 하다화우
성스런 덕의 은혜가 깊어 타인에게 매우 부유하게 해줍니다. 겨울에 서리와 눈이 많고 여름에는 조화로운 비가 내립니다.
寒溫時適, 部人多有。涉危歷險, 不遠萬里。
한온시적 부인다유 섭위력험 불원만리
涉危: 위험을 무릅씀
[lixin]①위험을 겪다 ②탐험하다
추위와 더위가 시기적절하며 부하도 많다. 위험을 무릅쓰고 탐험하니 만리도 멀지 않다네.
去俗歸德, 心向慈母。
거속귀덕 심향자모
속세를 떠나 덕화에 귀의하니 마음이 자애로운 모친을 향하는 듯하다.
末章爲“遠夷懷德歌”, 歌云:
말장위원리회덕가 가운
끝 장에 먼 오랑캐가 덕을 생각한다는 노래는 다음과 같다.
荒服之外, 土地確。食肉衣皮, 不見鹽穀。
황복지외 토지교학 식육의피 불견염곡
(메마른 땅 교; -총11획; qiao) (자갈땅 학; -총12획; que) [qioque]①메마르다 ②척박하다
황복의 밖 오랑캐 땅에는 토지가 척박하다. 육식을 하고 가죽옷을 입고 소금과 곡식이 보이지 않는다.
吏譯傳風, 大漢安樂。負歸仁, 觸冒險狹。
이역전풍 대한안락 휴부귀인 촉범험협
xie fu 携: 亦作“”。 挽背
관리의 번역으로 풍문이 전하니 한나라가 안락하다. 데리고 등짐지고 인한 사람에게 귀순되어 험하고 좁은 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高山岐峻, 緣崖磻石。木薄發家, 百宿到洛。
고산기준 연애반석 목박발가 백숙도락
磻(강 이름, 실에 돌을 달다, 주살돌 추 반; -총17획; pan,bo,bo)
家 [f//ji]①집안을 일으키다 ②집안이 흥하다
높은 산은 험준하고 벼랑을 잡고 실에 돌을 달았다. 나무가 적어 집에 출발해 백번 노숙하여 낙수에 이르렀다.
父子同賜, 懷抱匹帛。傳告種人, 長願臣僕!
부자동사 회포필백 전고종인 장원신복
抱 [huaibao]①품에 안다 ②품 ③품다
부자가 같이 하사를 받아 베와 비단을 품에 안았다. 오랑캐 종족에게 고하길 오래 신하가 되길 원한다고 하라!
白狼以外, 又有槃木等百餘部落, 俱在西南寨外, 素與中國不相往來, 至此皆擧種稱臣, 奉獻方物。
백랑이외 우유반목등백여부락 구재서남채외 소여중국불상왕래 지차개거종칭신 봉헌방물
백랑왕 이외에 또 반목등 백여부락은 모두 서남의 영채밖에서 평소 중국과 왕래가 없다가 이에 이르러서 모두 온 종족을 데리고 신하를 호칭하며 지방특산물을 받들어 올렸다.
端的是東都昌盛, 不讓西京。
단적시동도창성 불양서경
단적으로 동도의 창성함은 서경에 뒤지지 않는다.
小子有詩詠道:哀牢內附白狼歸, 萬里蠻荒仰漢威;
소자유시영도 애뢰내부백랑귀 만리만황앙한위
내가 시로 다음처럼 읊어 말한다. 애뢰가 중국에 붙고 백락왕이 귀순하며 만리밖 남만이 황무지에서 한나라 위엄을 우러러 본다.
讀罷夷歌三疊曲, 炎劉火德慶重輝。
독파이가삼첩곡 염유화덕경중휘
오랑캐의 노래 3곡을 다 읽으니 유씨 화덕의 경사가 거듭 밝다.
南夷旣已歸附, 乃更從事西戎, 又出了一位大名鼎鼎的英雄, 底定前功。
남이기이귀부 이갱종사서융 우출료일위대명정정적영웅 저정전공
大名鼎鼎 damingdngdng - 名 mingshng; 명성이 높다, 이름이 높이나다. - 大名
底定 [dding] ① 내란을 평정하다 ② 진정시키다 ③ 확정하다
남쪽 오랑캐가 이미 귀순하고 다시 서융의 일이 또 한 명성이 높은 영웅이 나와 앞의 공로를 진정시켰다.
欲知此人爲誰, 待至下回發表。
욕지차인위수 대지하회발표
이 사람이 누군지 알려면 아래 28회 부분의 발표를 기다려보자.
哀牢爲西南夷之一部, 龍種之說, 實屬訛傳。
애뢰위서남이지일부 용종지설 실속와전
[longzhng]①제왕의 자손 ②중국인의 자칭
애뢰는 서남부 오랑캐의 한 부족으로 중국인이란 설명이 있지만 실제 와전이다.
彼夷人未知文, 數典忘祖, 故誕言以誇示部衆耳。
피이인미지문교 수전망조 고탄언이과시부중이
言 [danyan]①허황된 말 ②터무니없는 말
저 오랑캐는 아직 문자 교화를 모르고 몇 대에 조상을 잊으므로 허황된 말로 부족무리에게 과시했을 뿐이다.
《班書》雖援有聞必錄之例, 但以訛傳訛, 愈足滋惑。
반서수원유문필록지례 단이와전와 유족자혹
以 [y e chuan e]헛소문이 꼬리를 물고 번져 가다
반고 한서에 인용해 풍문을 반드시 기록하는 예가 있지만 단지 와전이 계속되어 더욱 의혹만 불어났다.
近儒謂中國無信史, 說雖過甚, 要亦不能無譏。
근유위중국무신사 설수과심 요역불능무기
근대 유생이 중국에 믿을만한 역사가 없다고 말하니 설명이 비록 심하지만 또 풍자가 아닐 수 없다.
歷代史家, 首推遷固, 彼且如此, 遑論自以下乎?
역대사가 수추천고 피차여차 황론자이하호
遑 [huanglun]①어찌 논하리오 ②논할 필요가 없다
自(나라 이름 회; -총16획; kuai):하잘 것 없는 것. 춘추시대 吳(오)의 형인 季札이 魯(노)에 가서 諸國(제국)의 노래를 듣고 일일이 평론하였지만, (회)에 가서는 평론하지 않았다. 즉 평론할 가치가 없다고 한 고사
역대 역사가는 먼저 사마천과 반고를 추천하나 피차 이와 같으니 하잘 것 없는 것 이하를 어찌 논하겠는가?
祭等四路出兵, 無功而返, 竟因此坐罪, 嘔血致死, 論者惜之。
제융등사로출병 무공이반 융경인차좌죄 구혈치사 논자석지
제융등이 사방으로 병사를 내어 공이 없이 돌아와 제융은 마침내 이로 기인하여 죄에 연루되어 피를 토하고 죽음에 이르니 논평하는 사람은 애석하게 여긴다.
廉範獨以寡擊衆, 有却敵之大功, 而且歷任郡守, 迭著循聲, 此正當爲褒揚, 風勵後世。
염범독이과격중 유각적지대공 이차역임군수 질저순성 차정당극위포양 풍려후세
循 xun shn : 1.着律;着音。 2.指官有循良之。
褒(기릴 포; -총15획; bao) [boyang]①표창하다 ②칭찬하여 장려하다 ③포장하다
fng li :用委婉的言鼓、勉
염범은 유독 적은 수로 많은 적을 공격하여 적을 물리치는데 큰 공로가 있어서 또 군수를 역임해 정치를 잘하는 명성이 번갈아 드러나니 이는 바로 많이 표창하여 후세를 격려해야한다.
較諸梁鴻, 井丹諸人, 第知正己, 未及正人者, 固尤爲有關世道也。
교제양홍 정단제인 제지정기 미급정인자 고우위유관세도야
양홍과 정단의 여러 사람은 자기만 바로잡음을 알고 타인을 바로잡아 주지 못하니 진실로 더욱 세상 도와 관련이 있을 뿐이다.
성덕심은 여인부후 동다상설 하다화우
성스런 덕의 은혜가 깊어 타인에게 매우 부유하게 해줍니다. 겨울에 서리와 눈이 많고 여름에는 조화로운 비가 내립니다.
寒溫時適, 部人多有。涉危歷險, 不遠萬里。
한온시적 부인다유 섭위력험 불원만리
涉危: 위험을 무릅씀
[lixin]①위험을 겪다 ②탐험하다
추위와 더위가 시기적절하며 부하도 많다. 위험을 무릅쓰고 탐험하니 만리도 멀지 않다네.
去俗歸德, 心向慈母。
거속귀덕 심향자모
속세를 떠나 덕화에 귀의하니 마음이 자애로운 모친을 향하는 듯하다.
末章爲“遠夷懷德歌”, 歌云:
말장위원리회덕가 가운
끝 장에 먼 오랑캐가 덕을 생각한다는 노래는 다음과 같다.
荒服之外, 土地確。食肉衣皮, 不見鹽穀。
황복지외 토지교학 식육의피 불견염곡
(메마른 땅 교; -총11획; qiao) (자갈땅 학; -총12획; que) [qioque]①메마르다 ②척박하다
황복의 밖 오랑캐 땅에는 토지가 척박하다. 육식을 하고 가죽옷을 입고 소금과 곡식이 보이지 않는다.
吏譯傳風, 大漢安樂。負歸仁, 觸冒險狹。
이역전풍 대한안락 휴부귀인 촉범험협
xie fu 携: 亦作“”。 挽背
관리의 번역으로 풍문이 전하니 한나라가 안락하다. 데리고 등짐지고 인한 사람에게 귀순되어 험하고 좁은 곳을 지나가게 되었다.
高山岐峻, 緣崖磻石。木薄發家, 百宿到洛。
고산기준 연애반석 목박발가 백숙도락
磻(강 이름, 실에 돌을 달다, 주살돌 추 반; -총17획; pan,bo,bo)
家 [f//ji]①집안을 일으키다 ②집안이 흥하다
높은 산은 험준하고 벼랑을 잡고 실에 돌을 달았다. 나무가 적어 집에 출발해 백번 노숙하여 낙수에 이르렀다.
父子同賜, 懷抱匹帛。傳告種人, 長願臣僕!
부자동사 회포필백 전고종인 장원신복
抱 [huaibao]①품에 안다 ②품 ③품다
부자가 같이 하사를 받아 베와 비단을 품에 안았다. 오랑캐 종족에게 고하길 오래 신하가 되길 원한다고 하라!
白狼以外, 又有槃木等百餘部落, 俱在西南寨外, 素與中國不相往來, 至此皆擧種稱臣, 奉獻方物。
백랑이외 우유반목등백여부락 구재서남채외 소여중국불상왕래 지차개거종칭신 봉헌방물
백랑왕 이외에 또 반목등 백여부락은 모두 서남의 영채밖에서 평소 중국과 왕래가 없다가 이에 이르러서 모두 온 종족을 데리고 신하를 호칭하며 지방특산물을 받들어 올렸다.
端的是東都昌盛, 不讓西京。
단적시동도창성 불양서경
단적으로 동도의 창성함은 서경에 뒤지지 않는다.
小子有詩詠道:哀牢內附白狼歸, 萬里蠻荒仰漢威;
소자유시영도 애뢰내부백랑귀 만리만황앙한위
내가 시로 다음처럼 읊어 말한다. 애뢰가 중국에 붙고 백락왕이 귀순하며 만리밖 남만이 황무지에서 한나라 위엄을 우러러 본다.
讀罷夷歌三疊曲, 炎劉火德慶重輝。
독파이가삼첩곡 염유화덕경중휘
오랑캐의 노래 3곡을 다 읽으니 유씨 화덕의 경사가 거듭 밝다.
南夷旣已歸附, 乃更從事西戎, 又出了一位大名鼎鼎的英雄, 底定前功。
남이기이귀부 이갱종사서융 우출료일위대명정정적영웅 저정전공
大名鼎鼎 damingdngdng - 名 mingshng; 명성이 높다, 이름이 높이나다. - 大名
底定 [dding] ① 내란을 평정하다 ② 진정시키다 ③ 확정하다
남쪽 오랑캐가 이미 귀순하고 다시 서융의 일이 또 한 명성이 높은 영웅이 나와 앞의 공로를 진정시켰다.
欲知此人爲誰, 待至下回發表。
욕지차인위수 대지하회발표
이 사람이 누군지 알려면 아래 28회 부분의 발표를 기다려보자.
哀牢爲西南夷之一部, 龍種之說, 實屬訛傳。
애뢰위서남이지일부 용종지설 실속와전
[longzhng]①제왕의 자손 ②중국인의 자칭
애뢰는 서남부 오랑캐의 한 부족으로 중국인이란 설명이 있지만 실제 와전이다.
彼夷人未知文, 數典忘祖, 故誕言以誇示部衆耳。
피이인미지문교 수전망조 고탄언이과시부중이
言 [danyan]①허황된 말 ②터무니없는 말
저 오랑캐는 아직 문자 교화를 모르고 몇 대에 조상을 잊으므로 허황된 말로 부족무리에게 과시했을 뿐이다.
《班書》雖援有聞必錄之例, 但以訛傳訛, 愈足滋惑。
반서수원유문필록지례 단이와전와 유족자혹
以 [y e chuan e]헛소문이 꼬리를 물고 번져 가다
반고 한서에 인용해 풍문을 반드시 기록하는 예가 있지만 단지 와전이 계속되어 더욱 의혹만 불어났다.
近儒謂中國無信史, 說雖過甚, 要亦不能無譏。
근유위중국무신사 설수과심 요역불능무기
근대 유생이 중국에 믿을만한 역사가 없다고 말하니 설명이 비록 심하지만 또 풍자가 아닐 수 없다.
歷代史家, 首推遷固, 彼且如此, 遑論自以下乎?
역대사가 수추천고 피차여차 황론자이하호
遑 [huanglun]①어찌 논하리오 ②논할 필요가 없다
自(나라 이름 회; -총16획; kuai):하잘 것 없는 것. 춘추시대 吳(오)의 형인 季札이 魯(노)에 가서 諸國(제국)의 노래를 듣고 일일이 평론하였지만, (회)에 가서는 평론하지 않았다. 즉 평론할 가치가 없다고 한 고사
역대 역사가는 먼저 사마천과 반고를 추천하나 피차 이와 같으니 하잘 것 없는 것 이하를 어찌 논하겠는가?
祭等四路出兵, 無功而返, 竟因此坐罪, 嘔血致死, 論者惜之。
제융등사로출병 무공이반 융경인차좌죄 구혈치사 논자석지
제융등이 사방으로 병사를 내어 공이 없이 돌아와 제융은 마침내 이로 기인하여 죄에 연루되어 피를 토하고 죽음에 이르니 논평하는 사람은 애석하게 여긴다.
廉範獨以寡擊衆, 有却敵之大功, 而且歷任郡守, 迭著循聲, 此正當爲褒揚, 風勵後世。
염범독이과격중 유각적지대공 이차역임군수 질저순성 차정당극위포양 풍려후세
循 xun shn : 1.着律;着音。 2.指官有循良之。
褒(기릴 포; -총15획; bao) [boyang]①표창하다 ②칭찬하여 장려하다 ③포장하다
fng li :用委婉的言鼓、勉
염범은 유독 적은 수로 많은 적을 공격하여 적을 물리치는데 큰 공로가 있어서 또 군수를 역임해 정치를 잘하는 명성이 번갈아 드러나니 이는 바로 많이 표창하여 후세를 격려해야한다.
較諸梁鴻, 井丹諸人, 第知正己, 未及正人者, 固尤爲有關世道也。
교제양홍 정단제인 제지정기 미급정인자 고우위유관세도야
양홍과 정단의 여러 사람은 자기만 바로잡음을 알고 타인을 바로잡아 주지 못하니 진실로 더욱 세상 도와 관련이 있을 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