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갱년기 여성의 건강문제와 간호
▶ 폐경기 변화와 건강문제
1. 신체적 변화와 건강문제
2. 심리 정서적 변화와 건강문제
3. 갱년기 여성의 건강관리
1. 건강사정
2. 진단검사
3. 약물요법
▶ 폐경기 변화와 건강문제
1. 신체적 변화와 건강문제
2. 심리 정서적 변화와 건강문제
3. 갱년기 여성의 건강관리
1. 건강사정
2. 진단검사
3. 약물요법
본문내용
담낭질환을 앓고 있는 여성에게는 금기한다.
③ 호르몬 투여 전 사전검사와 정기검진
호르몬 투여는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서 해야 하며 호르몬 투여 전 사전검사를 받고 투여 중에는 정기검진을 받아야 한다.
투여 전에 가족의 병력, 현재와 과거의 병력에서 악성종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골다공증 여부, 유방암, 자궁내막암, 다른 호르몬 치료제 복용 유무, 유방엑스선 촬영, 골반 초음파 검사, 간기능 검사, 혈청지질검사, 소변검사 등을 실시하여 정상임을 확인한다. 치료 중에도 6개월-1년마다 정기검진을 하여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 간질환, 유방암과 기타 여러 가지 질환 유무를 확인한다.
처음 시작할 때는 1개월과 3개월 후에 한 번, 별다른 문제가 없을 때는 이후 6개월마다 한 번씩 검진을 받도록 하고, 예기치 않은 출혈이나 과다하고 지속적인 출혈이 있을 때, 유방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통증이 있을 때, 심한 두통이나 근육통, 요통 등이 있을 때는 곧바로 병원을 방문하도록 한다.
④ 호르몬의 투여 방법
투여 방법은 경구적인 방법과 비경구적인 방법이 있다. 비경구적 방법에 주사법, 피하이식법, 피부접착형 패치, 도포형의 젤, 질크림제, 질좌약 등이 있다.
호르몬을 어떤 방법으로 투여할 것인지는 자궁적출 여부, 폐경 전 또는 폐경 후 단계, 폐경증상의 정도, 연령, 여성의 희망을 바탕으로 심도 있는 면담 및 검진 후 결정한다.
가. 경구
에스트로겐 단독요법과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은 자궁적출술은 한 여성에게 주로 사용한다. 이 경우 에스트로겐의 자극으로 유방조직의 이상증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해마다 유방암 검사를 받아야 한다. 현재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에스트로겐 제제는 conjugated equine estrogen fate 등이 있으며 매일 일정량의 에스트로겐 제제를 정해진 시간에 꾸준히 복용한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병용방법은 에스트로겐의 단독요법으로 인한 과도한 자궁내막증식, 질출혈, 자궁내막암 등과 같은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에스트로겐과 함께 프로게스테론의 복용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30일 복용주기를 바탕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첫날부터 동시에 복용하거나 1-25일은 에스트로겐, 16-28일은 프로게스테론을 병용해서 복용하는 등 개인의 증상과 약물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호르몬의 양과 복용법이 결정된다.
나. 비경구
패치나 젤은 낮은 용량이 피부에서 혈류로 직접 흡수되므로 오심, 구토와 담석증, 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으나 피부자극 증상이 있을 수도 있다. 하부요추부위나 좌우 둔부 등 건조한 부위에 주 2회 교대로 붙이거나 발라준다. 주사는 3개월마다 피하로 투여하고, 질크림이나 질좌약은 적은 용량의 에스트로겐 크림을 3-4일 간격으로 질벽에 발라주거나 좌약을 넣어주는 방법이다.
⑤ 호르몬치료의 부작용
폐경기 호르몬요법의 부작용으로 자궁출혈, 유방압통과 유방증대, 다리의 경련, 두통, 구토, 부종, 발진, 체중증가, 신경과민, 피곤감, 하복부의 팽만감, 황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증세는 투여약물을 변경하거나 용량을 감량하여 조절 가능하고 대부분 요법을 시작하고 3개월쯤 지나면 사라지므로 상담하지 않고 마음대로 약을 끊는 일이 없도록 한다.
호르몬 보충요법을 받은 적이 없는 50세 여성이 남은 생애동안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10%이며, 유방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3%이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8년 이상 호르몬 보충요법을 받았을 때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12.5%로 증가한다고 한다. 또한 자궁내막암의 위험성은 5.6-12.7%정도라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에스트로겐의 사용기간과 사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고,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같이 투여하면 자궁내막암에 걸릴 위험은 증가하지 않는다.
⑥ 호르몬 대체요법과 간호
- 호르몬 대체요법 실시 전
호르몬치료의 긍정적인 효과, 부정적인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에스트로겐 저하 증상 정도, 골다공증, 심장질환, 고혈압 등의 가족력, 전반적인 신체검진을 실시한다.
사전 검사로 소변검사, 혈액검사, 유방촬영, 골다공증검사, 내생식기 검진, 난소 골반초음파 등을 실시하여 호르몬 치료의 적합성 여부를 판정한다.
에스트로겐 요법의 절대 금기증을 설명하고, 금기증에 해당하는지를 평가한다.
- 호르몬 대체요법 실시 중
호르몬 투여량과 투여 방법은 개인의 증상 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유방팽만감, 오심, 두통, 초조감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일시적인 증상임을 설명한다.
호르몬 치료를 시작한 후 1개월, 3개월 후에 약물의 반응, 부작용, 신체검진 등을 평가하고 그 후 적어도 6개월 간격으로 반복 평가한다.
예기치 않은 출혈, 복통, 복부팽만감, 심한 두통, 시력장애, 숨이 차거나 흉통이 있을 때 폐경증상이 조절되지 않거나 증가될 때에는 즉시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호르몬 치료를 중단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도록 한다.
호르몬 대체요법을 중단한 후에는 갱년기 증상에 따른 다양한 대안요법을 교육한다.
(2) 호르몬 이외의 약물요법
① 칼시토닌
칼시토닌은 파골세포의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골흡수를 억제하며 뼈 대사 속도를 감소시켜 골다공증 여성의 골량을 안정화하고 진통 효과가 있다. 호르몬 요법을 하지 못하는 여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주사 또는 비강 분무제의 형태로 사용한다. 이는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및 비염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② 골흡수 억제제
골흡수 억제제는 골다공증 치료법으로 많이 사용되며, 파골세포의 작용을 저지시켜 골세포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총체적으로 골질량을 증가시킨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포사멕스가 있으며, 매일 10mg씩 또는 1주에 1회 70mg을 공복에 물 170-230cc와 함께 복용한다. 약 복용 후 30분간 물을 제외한 어떤 음식도 먹지 않도록 하고 서거나 앉은 자세를 취하여 부작용인 식도와 상부위장관 점막 국소 자극증상을 예방한다. 복용 후 30분간 다른 약물의 복용도 금한다. 90일 주기로 이 약물을 투여하면서 칼
③ 호르몬 투여 전 사전검사와 정기검진
호르몬 투여는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서 해야 하며 호르몬 투여 전 사전검사를 받고 투여 중에는 정기검진을 받아야 한다.
투여 전에 가족의 병력, 현재와 과거의 병력에서 악성종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골다공증 여부, 유방암, 자궁내막암, 다른 호르몬 치료제 복용 유무, 유방엑스선 촬영, 골반 초음파 검사, 간기능 검사, 혈청지질검사, 소변검사 등을 실시하여 정상임을 확인한다. 치료 중에도 6개월-1년마다 정기검진을 하여 골다공증, 심혈관계 질환, 간질환, 유방암과 기타 여러 가지 질환 유무를 확인한다.
처음 시작할 때는 1개월과 3개월 후에 한 번, 별다른 문제가 없을 때는 이후 6개월마다 한 번씩 검진을 받도록 하고, 예기치 않은 출혈이나 과다하고 지속적인 출혈이 있을 때, 유방에 덩어리가 만져지고 통증이 있을 때, 심한 두통이나 근육통, 요통 등이 있을 때는 곧바로 병원을 방문하도록 한다.
④ 호르몬의 투여 방법
투여 방법은 경구적인 방법과 비경구적인 방법이 있다. 비경구적 방법에 주사법, 피하이식법, 피부접착형 패치, 도포형의 젤, 질크림제, 질좌약 등이 있다.
호르몬을 어떤 방법으로 투여할 것인지는 자궁적출 여부, 폐경 전 또는 폐경 후 단계, 폐경증상의 정도, 연령, 여성의 희망을 바탕으로 심도 있는 면담 및 검진 후 결정한다.
가. 경구
에스트로겐 단독요법과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병용하는 방법이 있다. 에스트로겐 단독요법은 자궁적출술은 한 여성에게 주로 사용한다. 이 경우 에스트로겐의 자극으로 유방조직의 이상증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해마다 유방암 검사를 받아야 한다. 현재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에스트로겐 제제는 conjugated equine estrogen fate 등이 있으며 매일 일정량의 에스트로겐 제제를 정해진 시간에 꾸준히 복용한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병용방법은 에스트로겐의 단독요법으로 인한 과도한 자궁내막증식, 질출혈, 자궁내막암 등과 같은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에스트로겐과 함께 프로게스테론의 복용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30일 복용주기를 바탕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첫날부터 동시에 복용하거나 1-25일은 에스트로겐, 16-28일은 프로게스테론을 병용해서 복용하는 등 개인의 증상과 약물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호르몬의 양과 복용법이 결정된다.
나. 비경구
패치나 젤은 낮은 용량이 피부에서 혈류로 직접 흡수되므로 오심, 구토와 담석증, 혈전증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으나 피부자극 증상이 있을 수도 있다. 하부요추부위나 좌우 둔부 등 건조한 부위에 주 2회 교대로 붙이거나 발라준다. 주사는 3개월마다 피하로 투여하고, 질크림이나 질좌약은 적은 용량의 에스트로겐 크림을 3-4일 간격으로 질벽에 발라주거나 좌약을 넣어주는 방법이다.
⑤ 호르몬치료의 부작용
폐경기 호르몬요법의 부작용으로 자궁출혈, 유방압통과 유방증대, 다리의 경련, 두통, 구토, 부종, 발진, 체중증가, 신경과민, 피곤감, 하복부의 팽만감, 황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증세는 투여약물을 변경하거나 용량을 감량하여 조절 가능하고 대부분 요법을 시작하고 3개월쯤 지나면 사라지므로 상담하지 않고 마음대로 약을 끊는 일이 없도록 한다.
호르몬 보충요법을 받은 적이 없는 50세 여성이 남은 생애동안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10%이며, 유방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3%이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8년 이상 호르몬 보충요법을 받았을 때 유방암에 걸릴 확률은 12.5%로 증가한다고 한다. 또한 자궁내막암의 위험성은 5.6-12.7%정도라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에스트로겐의 사용기간과 사용량에 따라 차이가 있고,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같이 투여하면 자궁내막암에 걸릴 위험은 증가하지 않는다.
⑥ 호르몬 대체요법과 간호
- 호르몬 대체요법 실시 전
호르몬치료의 긍정적인 효과, 부정적인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에스트로겐 저하 증상 정도, 골다공증, 심장질환, 고혈압 등의 가족력, 전반적인 신체검진을 실시한다.
사전 검사로 소변검사, 혈액검사, 유방촬영, 골다공증검사, 내생식기 검진, 난소 골반초음파 등을 실시하여 호르몬 치료의 적합성 여부를 판정한다.
에스트로겐 요법의 절대 금기증을 설명하고, 금기증에 해당하는지를 평가한다.
- 호르몬 대체요법 실시 중
호르몬 투여량과 투여 방법은 개인의 증상 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르도록 한다.
유방팽만감, 오심, 두통, 초조감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일시적인 증상임을 설명한다.
호르몬 치료를 시작한 후 1개월, 3개월 후에 약물의 반응, 부작용, 신체검진 등을 평가하고 그 후 적어도 6개월 간격으로 반복 평가한다.
예기치 않은 출혈, 복통, 복부팽만감, 심한 두통, 시력장애, 숨이 차거나 흉통이 있을 때 폐경증상이 조절되지 않거나 증가될 때에는 즉시 보고하도록 교육한다.
호르몬 치료를 중단하고자 할 때는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도록 한다.
호르몬 대체요법을 중단한 후에는 갱년기 증상에 따른 다양한 대안요법을 교육한다.
(2) 호르몬 이외의 약물요법
① 칼시토닌
칼시토닌은 파골세포의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골흡수를 억제하며 뼈 대사 속도를 감소시켜 골다공증 여성의 골량을 안정화하고 진통 효과가 있다. 호르몬 요법을 하지 못하는 여성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주사 또는 비강 분무제의 형태로 사용한다. 이는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메스꺼움, 구토, 식욕부진 및 비염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② 골흡수 억제제
골흡수 억제제는 골다공증 치료법으로 많이 사용되며, 파골세포의 작용을 저지시켜 골세포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총체적으로 골질량을 증가시킨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포사멕스가 있으며, 매일 10mg씩 또는 1주에 1회 70mg을 공복에 물 170-230cc와 함께 복용한다. 약 복용 후 30분간 물을 제외한 어떤 음식도 먹지 않도록 하고 서거나 앉은 자세를 취하여 부작용인 식도와 상부위장관 점막 국소 자극증상을 예방한다. 복용 후 30분간 다른 약물의 복용도 금한다. 90일 주기로 이 약물을 투여하면서 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