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가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다문화 가정 이해와 현황, 실태 및 개선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문화가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다문화 가정 이해와 현황,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2
2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2
 가) 다문화 가정의 개념……………………………………………2
 나) 다문화 가정의 발생 원인………………………………………2
 다) 다문화 가정의 종류……………………………………………3
3 다문화 가정의 현황…………………………………………………3
4 다문화 가정의 실태…………………………………………………4
 가) 한국 생활에서의 어려움………………………………………4
 나) 월평균 가구소득…………………………………………………4
 다) 다문화가정의 부부 간의 문제…………………………………4
 라) 청소년 자녀문제…………………………………………………4
 마) 사회적 차별 경험…………………………………………………5
5 다문화 가정에대한 개선방안…………………………………………6
 가) 다문화가정에 대한 언어교육………………………………………6
 나) 해외이주여성을 위한 다문화 교육지원…………………………6
 다) 다문화가정의 자녀의 양육 교육 지원……………………………6
 라) 다문화가정에 대한 취업장려 및 경제적 지원……………………7
 마) 사회적 편견 개선……………………………………………………7

본문내용

태어나 이루고 있는 가정.
외국인근로자 가정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서 결혼하거나 본국에서 결혼하여 그 사이에 자녀가 태어나 이루고 있는 가정
다문화 가정의 현황
다문화가정의 인구통계
결혼이민자 기본현황 (출산국별 현황)
단위 : 명
구분
전체
남성
여성
출신국 전체
295,842
48,787
247,055
중국(한국계)
103,194
25,114
78,080
중국
71,661
10,532
61,129
베트남
56,332
513
55,819
필리핀
16,473
472
16,001
일본
12,875
1,421
11,454
캄보디아
6,211
27
6,184
몽골
3,257
155
3,102
태국
3,088
93
2,995
미국
3,350
2,451
899
러시아
1,976
236
1,740
대만
2,953
1,084
1,869
출처 : 안전행정부, 『2014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조사결과
위 통계로 알 수 있듯이 많은 각 국가에서 이민을 와서 우리 나라에서 다문화 가정을 이룬다는 것을 볼수있다. 가장 최근 2014.1.1 기준으로 안전행정부에서 조사한 결과 위의 통계로 출산국 전체에서의 이민자 약 300,000명 , 결혼 이민자 자녀 약 200,000명 , 그외 배우자 280,000명으로 14년 기준 약78만명 내외로 기록하고 있으며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는 100만명 이상의 다문화가정을 예상 하고있다. 하지만 다문화 가정의 증가에 따라 그 만큼 나쁜점이잇따르고 있다. 그러므로 통계에 의해 계속 증가하는 이 다문화가정에 대해 더 이상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든다.
다문화 가정의 실태
한국 생활에서의 어려움
결혼이민자가 언어문제, 가족간의 갈등, 은행, 법원 등 기관을 이용하는것에 대한 어려움 생활방식,관습 등 문화차이에 대한 어려움, 편견과 차별에대한 어려움 음식, 기후차이의 적응에 대한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자녀양육 및 교육의 어려움으로 외로움을 호소한 비율이 몇 년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월평균 가구소득
우리나라 전체의 평균 가구소득 이 332만원인것에 비하여 다문화 가족 중 약 60%가 한달 평균 가구소득이 200만원 미만인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런 낮은 소득으로 인해 생활비 조차 감당을 하지 못하여 돈을 빌린적이 있는 사람들이 약 25%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러한 낮은 소득으로 인하여 다문화 가정에서 자녀가 태어나면 양육비, 학원비 등 마련에 어려움을 느낀다는 사람들이 많았다.
다문화가정의 부부 간의 문제
한국인 남성과 외국출신의 여성의 평균 결혼 연령을 보면 남성은 36세 여성은 26세로 나이차이가 10살이상으로 차이가 났다. 이로써 문제가 되는 점은 아이를 낳고서도 60%이상이 5년 안에 이혼한다는 것이다. 다문화 가정이 이혼률이 높은 또다른 이유는 문화, 종교적, 가치관의 차이, 의사소통이 힘들다 보니 부부관계의 갈등을 풀기가 어려운데다가 폭력 취업목정의 위장 결혼 등이 많았다.
청소년 자녀문제
어떻게 보면 다문화가정의 문제점중 청소년 자녀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일지도 모른다.
학업 중단 이유
그중 학업 중단 이유 소년 들 중 학업을 중단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업 중단 이유]
출처 : 여성가족부
위의표를 보면 친구나 선생님과의 관계 23.8%, 가정 형편이 어려워서 18.6% 학교 공부가 어려워서 9.7% 라는 많은 이유로 학업을 중단하는 다문화가정 청소년 자녀들이 많다. 또 이러한 이유중에도 도시지역에 사는 청소년들이 농촌 지역에 사는 청소년들보다 친구나 선생님과의 관계로 인한 학업중단이 약 3배정도 된다고한다.
학교폭력문제
출처 : 여성가족부
학교폭력 문제도 만만치 않다. 다문화가족의 학
  • 가격6,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6.27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8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