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Burrhus F Skinner
- 행동주의 학습이론
- Skinner의 생애
- Skinner의 교육론
Ⅱ. 주요 이론적 개념
- 급진적 행동주의
- 반응적 행동과 조작적 행동
- S형과 R형 조건화
- 조작적 조건화 원리
- Skinner 상자
- 누가기록
- 지렛대 누름반응의 조건화
- 조형
- 소거
- 자발적 회복
- 미신적 행동
- 변별적 조작
- 이차적 강화
- 일반화된 강화인
- 연쇄
- 정적 및 부적 강화인
- 처벌
- 처벌에 대한 대안
- Skinner와 Thorndike 비교
- 행동공학의 필요
Ⅲ. 강화의 상대성
- David Premack
- Premack 원리의 수정
- William Timberlake
Ⅳ. 유기체의 비행
- 본능표류
- 자동조형
Ⅴ. Skinner 이론의 평가
- 공헌
- 비판
- 행동주의 학습이론
- Skinner의 생애
- Skinner의 교육론
Ⅱ. 주요 이론적 개념
- 급진적 행동주의
- 반응적 행동과 조작적 행동
- S형과 R형 조건화
- 조작적 조건화 원리
- Skinner 상자
- 누가기록
- 지렛대 누름반응의 조건화
- 조형
- 소거
- 자발적 회복
- 미신적 행동
- 변별적 조작
- 이차적 강화
- 일반화된 강화인
- 연쇄
- 정적 및 부적 강화인
- 처벌
- 처벌에 대한 대안
- Skinner와 Thorndike 비교
- 행동공학의 필요
Ⅲ. 강화의 상대성
- David Premack
- Premack 원리의 수정
- William Timberlake
Ⅳ. 유기체의 비행
- 본능표류
- 자동조형
Ⅴ. Skinner 이론의 평가
- 공헌
- 비판
본문내용
하기 때문이다.
2. Premack 원리의 수정
- Thorndike와 Skinner의 이론이 순환론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때, Meehl의 ‘장면 초월적’ 논증을 통하여 방어할 수 있었다.
- ‘장면 초월적’이란 한 상황에서의 강화인은 다른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뜻한다.
- BUT, Premack의 연구로부터 얻어진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장면 초월적이라는 논증이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닐지라도 부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선호하는 순서가 변하면 강화인 또한 변하기 마련이다. 즉, 어떤 행동의 강화인을 결정하는 데 그 유기체의 상대적 가치가 중요하다.
3. William Timberlake
- Premack의 마시기-쳇바퀴 돌리기 연구에서의 불균형 가설을 구분하였다.
- Premack vs Timberlake
· Premack의 주장 : 선호되는 행위는 덜 선호되는 행위를 강화할 수 있다.
· Timberlake의 주장(불균형 가설) : 동물이 특정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될 경우 그것을 다른 행동에 대한 강화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유기체는 선호하는 상태의 균형적인 비율을 유지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 스케줄이 변경된다면, 불균형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다른 새로운 동기를 형성하게 된다.
- 불균형 가설에서는 유기체가 불균형 상태가 되었을 때 가장 빈도가 낮은 것도 강화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예측하였다.(단, 균형 상태로 회복할 때까지)
쥐 연구 : 먹기(30%), 마시기(20%), 쳇바퀴 돌기(10%), 그 나머지(40%)
- 특정 행위가 처벌이 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결론 : Timberlake는 강화 및 강화유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강화에 관한 장면 초월적 논증이 부정확함을 보여 주고 있다.
Ⅳ. 유기체의 비행
- 동일한 학습 법칙을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
- 생득적인 행동 경향성
1. Marian Breland와 Keller Breland
- 생득적인 행동 경향성이 어떻게 학습원리와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두었다.
- 미네소타를 떠나 아칸서스로 이주하여 'Animal Behavior Enterprises'라는 사업 시작 : 조작적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동물들에게 다양한 묘기를 부리도록 훈련하였다.
- 처음에는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니 점차 조건화된 행동이 붕괴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 본능 표류(instinctive drift) : 행동이 선천적인 고정 행위 패턴 쪽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으로 어떤 행위가 고정 행위 패턴과 갈등을 일으킬 때에는 동물이 그것을 학습하는 데 문제가 생겨 학습에 한계를 부여한다.
- 본능적 행동 형태가 조건화된 행동보다 더 우세하다.
너구리와 동전
돼지와 저금통
- 자동조형 : 조형과정은 동물들이 반응을 하지 않으려는 상황에서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비둘기와 원판
- 자동조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 두 가지
· 미신적 행동
· 고전적 조건화
2. Williams 부부
- 자동조형을 미신적 현상 또는 고전적 조건화 현상으로 설명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비둘기가 조명 원판을 쪼지 않으면 매 15초마다 비둘기에게 먹이를 제공
- Williams 부부의 연구에서의 실험적 배열은 비둘기가 원판을 쪼는 반응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심각하게 감소시켜야 함. 하지만 그런 결과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계속 원판을 쪼았다.
3. Jeckins와 Moore
- 비둘기가 먹이를 강화인으로 사용하면 먹이를 먹는 자세로 원판에 반응하고, 물을 강화인으로 사용하면 물을 마시는 자세로 원판에 반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우리는 제거과정 때문에 자동조형 현상이 본능적 행동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자동조형 실험에서 관찰한 행동은 연구자가 찾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Breland 부부의 연구에 나타나 있는 본능적 반응과 같은 비행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 Breland 부부의 연구와 자동조형에 대한 연구는 유기체의 생득적 반응 경향성이 학습 법칙과 상호작용한다고 보는 심리학에서 새로이 일고 있는 인식의 두 가지 예라고 할 수 있다.
Ⅴ. Skinner 이론의 평가
1. 공헌
- 응용심리학과 순수심리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 동물훈련에서 인간 행동수정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 행동적 의사결정에 대한 현재의 연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 피험자를 집단으로 만든 후 다른 실험 조건들을 비교하는 다른 연구자들과 달리 Skinner는 단일 실험 대상을 오랜 시간 동안 관찰하는 표의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선행조건을 강조했던 기존 이론들과 달리 행동주의에 관한 이론을 전개하였다.
- 강화 스케줄에 대한 상세한 연구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 수많은 새로운 행동 법칙들을 얻게 해주었다.
- Journal of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이라는 학술지 창간하였다.
- 고전적 행동주의적 사고를 확장시켰다.
- 인간의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개인적 특성이 촉진되거나 선택되는 자연스러운 선택과정에 의해 형성된다는 입장을 정리하였다.
- 실험분석을 통하여 조사 연구로 인하여 신뢰성 형성에 기여했다.
2. 비판
- 인간의 행동을 결정함에 있어서 인지의 창조적인 면을 염두 하지 않았다.
- Staddon : '처벌은 비효과적이고, 사람들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들의 행동에 책임을 질 수 없다'는 것은 Skinner의 주장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 믿음은 사람들로 하여금 결국 잘못된 자녀 양육을 가져왔고, 사법 실제에 결점을 만들어 범죄율, 불법, 문맹율의 증가를 초래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 표의적 방법은 개인의 조작적 행동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는 제공하지만 그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와 규범적 방법을 통해 실험실로부터 얻은 결과와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
- 철저하게 통제된 실험은 예기치 못한 자극이 일어나는 상황이나 과거의 자극이 예기치 못한 방식과 결합되는 상황에서 무엇이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
2. Premack 원리의 수정
- Thorndike와 Skinner의 이론이 순환론적이라는 비판을 받을 때, Meehl의 ‘장면 초월적’ 논증을 통하여 방어할 수 있었다.
- ‘장면 초월적’이란 한 상황에서의 강화인은 다른 상황에서도 적용 가능함을 뜻한다.
- BUT, Premack의 연구로부터 얻어진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장면 초월적이라는 논증이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닐지라도 부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선호하는 순서가 변하면 강화인 또한 변하기 마련이다. 즉, 어떤 행동의 강화인을 결정하는 데 그 유기체의 상대적 가치가 중요하다.
3. William Timberlake
- Premack의 마시기-쳇바퀴 돌리기 연구에서의 불균형 가설을 구분하였다.
- Premack vs Timberlake
· Premack의 주장 : 선호되는 행위는 덜 선호되는 행위를 강화할 수 있다.
· Timberlake의 주장(불균형 가설) : 동물이 특정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제한될 경우 그것을 다른 행동에 대한 강화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유기체는 선호하는 상태의 균형적인 비율을 유지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 스케줄이 변경된다면, 불균형 상태가 되기 때문에 다른 새로운 동기를 형성하게 된다.
- 불균형 가설에서는 유기체가 불균형 상태가 되었을 때 가장 빈도가 낮은 것도 강화인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예측하였다.(단, 균형 상태로 회복할 때까지)
쥐 연구 : 먹기(30%), 마시기(20%), 쳇바퀴 돌기(10%), 그 나머지(40%)
- 특정 행위가 처벌이 될 수 있는 조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 결론 : Timberlake는 강화 및 강화유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강화에 관한 장면 초월적 논증이 부정확함을 보여 주고 있다.
Ⅳ. 유기체의 비행
- 동일한 학습 법칙을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
- 생득적인 행동 경향성
1. Marian Breland와 Keller Breland
- 생득적인 행동 경향성이 어떻게 학습원리와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두었다.
- 미네소타를 떠나 아칸서스로 이주하여 'Animal Behavior Enterprises'라는 사업 시작 : 조작적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동물들에게 다양한 묘기를 부리도록 훈련하였다.
- 처음에는 순조롭게 진행되었으니 점차 조건화된 행동이 붕괴되는 것을 경험하였다.
- 본능 표류(instinctive drift) : 행동이 선천적인 고정 행위 패턴 쪽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으로 어떤 행위가 고정 행위 패턴과 갈등을 일으킬 때에는 동물이 그것을 학습하는 데 문제가 생겨 학습에 한계를 부여한다.
- 본능적 행동 형태가 조건화된 행동보다 더 우세하다.
너구리와 동전
돼지와 저금통
- 자동조형 : 조형과정은 동물들이 반응을 하지 않으려는 상황에서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비둘기와 원판
- 자동조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 두 가지
· 미신적 행동
· 고전적 조건화
2. Williams 부부
- 자동조형을 미신적 현상 또는 고전적 조건화 현상으로 설명한 것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비둘기가 조명 원판을 쪼지 않으면 매 15초마다 비둘기에게 먹이를 제공
- Williams 부부의 연구에서의 실험적 배열은 비둘기가 원판을 쪼는 반응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심각하게 감소시켜야 함. 하지만 그런 결과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계속 원판을 쪼았다.
3. Jeckins와 Moore
- 비둘기가 먹이를 강화인으로 사용하면 먹이를 먹는 자세로 원판에 반응하고, 물을 강화인으로 사용하면 물을 마시는 자세로 원판에 반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 우리는 제거과정 때문에 자동조형 현상이 본능적 행동 패턴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자동조형 실험에서 관찰한 행동은 연구자가 찾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Breland 부부의 연구에 나타나 있는 본능적 반응과 같은 비행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 Breland 부부의 연구와 자동조형에 대한 연구는 유기체의 생득적 반응 경향성이 학습 법칙과 상호작용한다고 보는 심리학에서 새로이 일고 있는 인식의 두 가지 예라고 할 수 있다.
Ⅴ. Skinner 이론의 평가
1. 공헌
- 응용심리학과 순수심리학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 동물훈련에서 인간 행동수정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 행동적 의사결정에 대한 현재의 연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 피험자를 집단으로 만든 후 다른 실험 조건들을 비교하는 다른 연구자들과 달리 Skinner는 단일 실험 대상을 오랜 시간 동안 관찰하는 표의적인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데 선행조건을 강조했던 기존 이론들과 달리 행동주의에 관한 이론을 전개하였다.
- 강화 스케줄에 대한 상세한 연구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 수많은 새로운 행동 법칙들을 얻게 해주었다.
- Journal of Experimental Analysis of Behavior이라는 학술지 창간하였다.
- 고전적 행동주의적 사고를 확장시켰다.
- 인간의 행동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개인적 특성이 촉진되거나 선택되는 자연스러운 선택과정에 의해 형성된다는 입장을 정리하였다.
- 실험분석을 통하여 조사 연구로 인하여 신뢰성 형성에 기여했다.
2. 비판
- 인간의 행동을 결정함에 있어서 인지의 창조적인 면을 염두 하지 않았다.
- Staddon : '처벌은 비효과적이고, 사람들은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들의 행동에 책임을 질 수 없다'는 것은 Skinner의 주장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이 믿음은 사람들로 하여금 결국 잘못된 자녀 양육을 가져왔고, 사법 실제에 결점을 만들어 범죄율, 불법, 문맹율의 증가를 초래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 표의적 방법은 개인의 조작적 행동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는 제공하지만 그 절차를 통해 얻은 결과와 규범적 방법을 통해 실험실로부터 얻은 결과와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
- 철저하게 통제된 실험은 예기치 못한 자극이 일어나는 상황이나 과거의 자극이 예기치 못한 방식과 결합되는 상황에서 무엇이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렵다.
추천자료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스키너와 촘스키의 언어발달이론 비고츠키 언어와 사고
교육심리학의 학습자 정의적 특성과 본질의 발달
인지 행동주의적 가족치료
Jay E. Adams의 ”목회 상담학“ 독서보고서
행동주의 상담 이론
행동주의적 치료와 인본주의적 치료
인지행동이론(스키너 반두라 피아제 콜버그)
[인간행동모델]조직행위론과심리학,인지심리학의인간모델,인본주의심리학
[사회복지실천론] 학습이론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학습이론의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적용 및 한계
[스키너의 행동주의이론] 조작적 조건형성의 주요개념 조작적 조건화의 사회복지실천에의 적...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에릭슨의 인간발달단계와 심리사회적 위기를 설명하고 스키너와 반두라의 행동주의이론의 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