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척수혈관에 대해 설명
2. spinal shock에대해 설명.
3. 척수손상
4. 척수에서 숨뇌로 이행되면서 초래되는 주 구조적 변화
5. 숨뇌와 척수의 구조에 대한 발생학적 비교
6. 숨뇌의 바깥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7. 숨뇌의 속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8. 아래올리브핵에 대해 설명하시오
9. 그림
10. 다리뇌의 바깥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11. 배쪽면에서 관찰되는 구조
12. 다리뇌의 절단면에서 관찰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
13. 청각로에 대하여
14. 섬모띠에 대해 설명하시오
15. 중뇌의 발생학적 구조
16. 뇌기능의 성분
17. ‘인두굽이’에서 발생하는 구조, 관련 뇌신경, 기능, 아가미 분절 근육
18. 감각신경핵과 운동신경핵의 분류
19. 운동기둥과 감각 기둥내의 뇌신경핵 분류
20. 뇌신경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구분
21. 시각경로(시각경로의 축삭이 끝나는 3개의 지역과 역할 포함)
22 .Optic radiation ( Meyer's loop포함)에 대해 설명 하시오.
23. 시각경로의 병터와 그 결과 나타나는 시야 결손
24. 시각의 주행경로 ( GSE GVE)
25. 대광 반사(light reflex)에 대해 설명하시오
26. 얼굴신경을 기능적으로 분류 하시오.
27. 얼굴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28. 얼굴신경 운동핵의 신경지배방법과 장애분류와 증상
29. 안뜰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30. 달팽이 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31. 안뜰 감각 수용기 vestibular receptor
32. 안뜰반사에 대해 설명하시오.
33. 기저핵의 구조
34. 기저핵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35. 운동조절계의 구성과 연결에 대해 설명하시오.
36. 움직임과 관련이 있는 신경계와 역할
37. 기저핵의 신경회로
38. 그림
39. 바닥핵과 소뇌의 신경연결상의 차이점 및 기능상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40. 바닥핵 질환(음성증상과 양성증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41. 소뇌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2. spinal shock에대해 설명.
3. 척수손상
4. 척수에서 숨뇌로 이행되면서 초래되는 주 구조적 변화
5. 숨뇌와 척수의 구조에 대한 발생학적 비교
6. 숨뇌의 바깥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7. 숨뇌의 속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8. 아래올리브핵에 대해 설명하시오
9. 그림
10. 다리뇌의 바깥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11. 배쪽면에서 관찰되는 구조
12. 다리뇌의 절단면에서 관찰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
13. 청각로에 대하여
14. 섬모띠에 대해 설명하시오
15. 중뇌의 발생학적 구조
16. 뇌기능의 성분
17. ‘인두굽이’에서 발생하는 구조, 관련 뇌신경, 기능, 아가미 분절 근육
18. 감각신경핵과 운동신경핵의 분류
19. 운동기둥과 감각 기둥내의 뇌신경핵 분류
20. 뇌신경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구분
21. 시각경로(시각경로의 축삭이 끝나는 3개의 지역과 역할 포함)
22 .Optic radiation ( Meyer's loop포함)에 대해 설명 하시오.
23. 시각경로의 병터와 그 결과 나타나는 시야 결손
24. 시각의 주행경로 ( GSE GVE)
25. 대광 반사(light reflex)에 대해 설명하시오
26. 얼굴신경을 기능적으로 분류 하시오.
27. 얼굴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28. 얼굴신경 운동핵의 신경지배방법과 장애분류와 증상
29. 안뜰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30. 달팽이 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31. 안뜰 감각 수용기 vestibular receptor
32. 안뜰반사에 대해 설명하시오.
33. 기저핵의 구조
34. 기저핵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35. 운동조절계의 구성과 연결에 대해 설명하시오.
36. 움직임과 관련이 있는 신경계와 역할
37. 기저핵의 신경회로
38. 그림
39. 바닥핵과 소뇌의 신경연결상의 차이점 및 기능상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40. 바닥핵 질환(음성증상과 양성증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41. 소뇌의 기능에 대해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있다면 병변 반대쪽 눈높이 아래의 표정근들은 강직성 마비(contral lateral facial muscle paralysis)가 유발된다. 이것을 ‘중추마비 central palsy\'이라 한다. 이때는 이마의 근육운동은 보존 되는데, 이는 이마를 지배하는 신경은 양 쪽 대뇌반구에서 오는 반면 얼굴근육은 반대편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원인 : 중대뇌동맥 MCA, 내경동맥의 폐색, 대뇌출혈, 종양, 고혈압성 혈관질환, 탈수초화 demyelination
2. 핵마비 nuclear palsy
교뇌에 위치하는 얼굴신경핵에 병변이 있는 경우로 이마, 얼굴 모두를 포함하는 반대쪽마비를 나타내는 Bell 마비 증상과 더불어 교뇌에 위치하는 뇌신경 CN. Ⅵ, Ⅷ의 마비가 함께 동반된다.
3. 핵하마비 infranuclear palsy
얼굴신경관 밖에서 얼굴신경이 손상된 경우로 LMN 형태의 얼굴근의 이완성 마비가 나타난다. 이때는 병변쪽 이마를 포함한 얼굴근의 마비가 유발되며 이것을 흔히 Bell 씨 마비(Bell\'s palsy)라 한다.
□ Bell 씨 현상이란?
안면근의 마비와 함께 눈을 감으려고 할 때 안구가 가볍게 외측(outwards) 상부쪽(upwards)으로 편위 되는 현상. 안륜근 마비로 눈을 감지 못하므로 Bell 현상이 관찰된다.
원인 : 혈관성 질환, 종양, 탈수초화 demyelination, 원발성 indiophathic
29. 안뜰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전정신경부분 : 머리의 위치와 운동에 관한 정보전달
이석기관 otolith organ
반고리관 semi circular canals
Scarpa\'s ganglion
전정핵 vestibular nu.
외측전정핵
(Deiter\'s nu.)
위전정핵
내측전정핵
아래전정핵
외측전정척수로
to limb motor neuron ⇒ 자세조절
내측세로다발
to CN Ⅲ, Ⅳ, Ⅵ
내측 전정척수로
to neck and trunk motor neurons
전정소뇌계
to cerebellum
전정계는 사지로 가는 운동뉴론, 안구의 바깥근육을 지배하는 뇌신경핵, 목과 몸통을 지배하는 운동뉴론 및 소뇌와 신경학적 연결을 이루어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PNF 운동패턴은 시각과 함께 머리가 움직임으로써 전정기관을 자극하게 되어 신전근육을 촉진시키게 되고 전정핵에서 투사되는 신경로에 의해 일어나는 움직임을 촉진시키게 된다.
30. 달팽이 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나선기관(콜티기관, organ of Corti) → 나선신경절 → 달팽이신경 → 앞달팽이핵과 뒤달팽이핵 → 마름모체 → 위올리브핵 → 아래둔덕 → 안쪽무릎체(MGB) → 가로관자이랑(Brodman 41)
31.안뜰 감각 수용기 vestibular receptor
전정감각기관은 내이에 있는 평형수용기로서 작용하며 평형반 macula과 팽대능선 crista ampullaris에 있는 털감각세포를 말한다.
평형반 maculae은 원형주머니와 타원주머니벽에 위치하고 팽대능선 cristae ampullares 은 반고리관의 팽대부 ampulla에 위치한다.
1) 평형반의 털감각세포
평형반은 수용기세포인 털감각세포, 지시세포 및 구심 및 원심 신경종말로 구성된다.
① 털감각세포 hair cell : 여러개의 부동섬모 stereocilia와 하나의 긴 운동섬모 kinocilium를 가지는 감각상피세포.
② 평형모래막 otolithic membrane : 털감각세포의 섬모의 끝부분을 덮는 젤라틴 성분의 납작한 막으로 그 위에는 평형모래(otolith, otoconia)라고 하는 탄산칼슘 결정체가 매몰되어 있다. 따라서 머리의 위치가 바뀌면 평형모래막은 평형모래의 무게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미끌어지게 되고 그 결과 아래로 섬모가 구부러진다.
평형반의 털감각세포는 선가속 linear acceleration로 표현되는 몸의 위치변화에 반응한다.
2) 팽대능선의 털감각세포
팽대능선은 반고리관의 장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평형반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털감각세포 위에 고깔형태의 아교질 꼭대기 cupula라는 구조가 있다. 머리의 회전운동이 있을 때 내림프액을 흐르게 하고 → 팽대능선을 덮고 있는 cupula를 움직임을 일으켜 → 털감각세포에 있는 부동섬모를 휘게 한다. 운동섬모 kinocilium의 방향에 따라 수용기세포를 흥분시키고 전정신경섬유의 활동전위를 일으킨다.
팽대능선의 털감각세포는 회전가속 rotation acceleration에 따른 몸의 위치변화에 반한다.
표 전정기관의 요약 summary of vestibular organ
전정기관
수용기관
기능
sacule & utrilce
macula
(otolith + hair cell)
position sensor(linear acceleration), static equilibrium
semicircular
canal
crista ampullaris
(cupula + hair cell)
rotator sensor(angular acceleration), dynamic equilibrium)
32. 안뜰반사에 대해 설명하시오.
안뜰계에 속하는 구조는 말초에 안뜰말단기관인 타원주머니 원형주머니, 세 반고리관과 안뜰신경이 있으며, 중추구조로 수뇌와 교뇌에 위치하는 4쌍의 안뜰신경핵, 이 핵과 연결을 이루는 안뜰척수로와 내측세로다발이 포함된다. 또한 안뜰계는 소뇌의 타래결절엽과 신경학적 연결을 이룬다. 이와 같은 구조들과 연결을 통해 균형유지에 매우 중요한 안뜰안구반사와 안뜰척수반사를 이룬다.
1. 안뜰안구반사 : 안뜰안구반사의 목적은 머리가 움직이는 동안 안정된 시각을 유지하는데 있다.
2. 안뜰척수반사 : 안뜰척수반사의 목적은 머리와 몸을 안정시키는 데 있다. 안뜰안구반사와는 달리 하나의 안뜰척수반사가 아니라 감각과 운동의 상황에 따라 여러 반사들이 결합되어 나타난다. 안뜰척수반사에는 안뜰목반사, 긴장성과 역동성 미로반사들이 포함된다.
33.기저핵의 구조
기저핵은 해부학적으로 꼬리핵(caudate nucleus), 조가비핵(putamen), 창백핵(globus palibus), 편도체(amygdala)를 일
원인 : 중대뇌동맥 MCA, 내경동맥의 폐색, 대뇌출혈, 종양, 고혈압성 혈관질환, 탈수초화 demyelination
2. 핵마비 nuclear palsy
교뇌에 위치하는 얼굴신경핵에 병변이 있는 경우로 이마, 얼굴 모두를 포함하는 반대쪽마비를 나타내는 Bell 마비 증상과 더불어 교뇌에 위치하는 뇌신경 CN. Ⅵ, Ⅷ의 마비가 함께 동반된다.
3. 핵하마비 infranuclear palsy
얼굴신경관 밖에서 얼굴신경이 손상된 경우로 LMN 형태의 얼굴근의 이완성 마비가 나타난다. 이때는 병변쪽 이마를 포함한 얼굴근의 마비가 유발되며 이것을 흔히 Bell 씨 마비(Bell\'s palsy)라 한다.
□ Bell 씨 현상이란?
안면근의 마비와 함께 눈을 감으려고 할 때 안구가 가볍게 외측(outwards) 상부쪽(upwards)으로 편위 되는 현상. 안륜근 마비로 눈을 감지 못하므로 Bell 현상이 관찰된다.
원인 : 혈관성 질환, 종양, 탈수초화 demyelination, 원발성 indiophathic
29. 안뜰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전정신경부분 : 머리의 위치와 운동에 관한 정보전달
이석기관 otolith organ
반고리관 semi circular canals
Scarpa\'s ganglion
전정핵 vestibular nu.
외측전정핵
(Deiter\'s nu.)
위전정핵
내측전정핵
아래전정핵
외측전정척수로
to limb motor neuron ⇒ 자세조절
내측세로다발
to CN Ⅲ, Ⅳ, Ⅵ
내측 전정척수로
to neck and trunk motor neurons
전정소뇌계
to cerebellum
전정계는 사지로 가는 운동뉴론, 안구의 바깥근육을 지배하는 뇌신경핵, 목과 몸통을 지배하는 운동뉴론 및 소뇌와 신경학적 연결을 이루어 몸의 균형을 유지한다.
PNF 운동패턴은 시각과 함께 머리가 움직임으로써 전정기관을 자극하게 되어 신전근육을 촉진시키게 되고 전정핵에서 투사되는 신경로에 의해 일어나는 움직임을 촉진시키게 된다.
30. 달팽이 신경의 경로에 대해 설명하시오.
나선기관(콜티기관, organ of Corti) → 나선신경절 → 달팽이신경 → 앞달팽이핵과 뒤달팽이핵 → 마름모체 → 위올리브핵 → 아래둔덕 → 안쪽무릎체(MGB) → 가로관자이랑(Brodman 41)
31.안뜰 감각 수용기 vestibular receptor
전정감각기관은 내이에 있는 평형수용기로서 작용하며 평형반 macula과 팽대능선 crista ampullaris에 있는 털감각세포를 말한다.
평형반 maculae은 원형주머니와 타원주머니벽에 위치하고 팽대능선 cristae ampullares 은 반고리관의 팽대부 ampulla에 위치한다.
1) 평형반의 털감각세포
평형반은 수용기세포인 털감각세포, 지시세포 및 구심 및 원심 신경종말로 구성된다.
① 털감각세포 hair cell : 여러개의 부동섬모 stereocilia와 하나의 긴 운동섬모 kinocilium를 가지는 감각상피세포.
② 평형모래막 otolithic membrane : 털감각세포의 섬모의 끝부분을 덮는 젤라틴 성분의 납작한 막으로 그 위에는 평형모래(otolith, otoconia)라고 하는 탄산칼슘 결정체가 매몰되어 있다. 따라서 머리의 위치가 바뀌면 평형모래막은 평형모래의 무게에 의해 특정방향으로 미끌어지게 되고 그 결과 아래로 섬모가 구부러진다.
평형반의 털감각세포는 선가속 linear acceleration로 표현되는 몸의 위치변화에 반응한다.
2) 팽대능선의 털감각세포
팽대능선은 반고리관의 장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평형반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털감각세포 위에 고깔형태의 아교질 꼭대기 cupula라는 구조가 있다. 머리의 회전운동이 있을 때 내림프액을 흐르게 하고 → 팽대능선을 덮고 있는 cupula를 움직임을 일으켜 → 털감각세포에 있는 부동섬모를 휘게 한다. 운동섬모 kinocilium의 방향에 따라 수용기세포를 흥분시키고 전정신경섬유의 활동전위를 일으킨다.
팽대능선의 털감각세포는 회전가속 rotation acceleration에 따른 몸의 위치변화에 반한다.
표 전정기관의 요약 summary of vestibular organ
전정기관
수용기관
기능
sacule & utrilce
macula
(otolith + hair cell)
position sensor(linear acceleration), static equilibrium
semicircular
canal
crista ampullaris
(cupula + hair cell)
rotator sensor(angular acceleration), dynamic equilibrium)
32. 안뜰반사에 대해 설명하시오.
안뜰계에 속하는 구조는 말초에 안뜰말단기관인 타원주머니 원형주머니, 세 반고리관과 안뜰신경이 있으며, 중추구조로 수뇌와 교뇌에 위치하는 4쌍의 안뜰신경핵, 이 핵과 연결을 이루는 안뜰척수로와 내측세로다발이 포함된다. 또한 안뜰계는 소뇌의 타래결절엽과 신경학적 연결을 이룬다. 이와 같은 구조들과 연결을 통해 균형유지에 매우 중요한 안뜰안구반사와 안뜰척수반사를 이룬다.
1. 안뜰안구반사 : 안뜰안구반사의 목적은 머리가 움직이는 동안 안정된 시각을 유지하는데 있다.
2. 안뜰척수반사 : 안뜰척수반사의 목적은 머리와 몸을 안정시키는 데 있다. 안뜰안구반사와는 달리 하나의 안뜰척수반사가 아니라 감각과 운동의 상황에 따라 여러 반사들이 결합되어 나타난다. 안뜰척수반사에는 안뜰목반사, 긴장성과 역동성 미로반사들이 포함된다.
33.기저핵의 구조
기저핵은 해부학적으로 꼬리핵(caudate nucleus), 조가비핵(putamen), 창백핵(globus palibus), 편도체(amygdala)를 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