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수의 개념
2. 보수의 종류
3. 보수 이외에 음의 정수를 표현하는 방법
4. 보수를 이용한 연산
5. 참고자료
2. 보수의 종류
3. 보수 이외에 음의 정수를 표현하는 방법
4. 보수를 이용한 연산
5. 참고자료
본문내용
-1010(2)=0101(2)) 일반적으로 1의 보수는 주어진 수의 0은 1로, 1은 0으로 바꾸면 된다.
(2) 2의 보수 (대부분의 디지털 시스템이 사용하는 보수 형태)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것과 같다. 예를 들어 1010에 대한 2의 보수를 구하려면 먼저 2진수 1010(2)에 대한 1의보수 0101(2)을 구한다. 그다음 1의 보수 0에 1을 더하면 2의보수 0110(2)을 구할 수 있다.
3. 보수 이외에 음의 정수를 표현하는 방법
* 고정 소수점 방식
고정 소수점은 소수점이 고정된 위치에 있다는 뜻이지만, 레지스터 내부에 실제로 소수점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의 왼쪽에 소수점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소수를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정수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 소수점 방식은 매우 큰 수나 작은 수의 표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로 정수 표현에 사용한다.
부호(S)
크기(magnitude)
위 그림과 같이 고정 소수점 표현에서 부호(S) 비트가 0이면 양의정수, 1이면 음의정수를 나타내며, 크기(magnitude)부분은 2진수 정수값을 나타낸다.
4. 보수를 이용한 연산
(1) 1의 보수 뺄셈
1의 보수를 이용한
(2) 2의 보수 (대부분의 디지털 시스템이 사용하는 보수 형태)
2의 보수는 1의 보수에 1을 더한 것과 같다. 예를 들어 1010에 대한 2의 보수를 구하려면 먼저 2진수 1010(2)에 대한 1의보수 0101(2)을 구한다. 그다음 1의 보수 0에 1을 더하면 2의보수 0110(2)을 구할 수 있다.
3. 보수 이외에 음의 정수를 표현하는 방법
* 고정 소수점 방식
고정 소수점은 소수점이 고정된 위치에 있다는 뜻이지만, 레지스터 내부에 실제로 소수점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의 왼쪽에 소수점이 있다고 가정한다면 소수를 나타낸 것이고, 오른쪽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정수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 소수점 방식은 매우 큰 수나 작은 수의 표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주로 정수 표현에 사용한다.
부호(S)
크기(magnitude)
위 그림과 같이 고정 소수점 표현에서 부호(S) 비트가 0이면 양의정수, 1이면 음의정수를 나타내며, 크기(magnitude)부분은 2진수 정수값을 나타낸다.
4. 보수를 이용한 연산
(1) 1의 보수 뺄셈
1의 보수를 이용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