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실험목적(Purpose of experiment)
Ⅱ.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원생생물
2. 동물성 원생생물
3. 대표적 원생생물
4. 원생생물의 생태적 역할
Ⅲ.가설설정(Setting up hypothesis)
Ⅳ.실험(Experiment)
1.실험재료
2.실험방법
Ⅴ.결과
Ⅵ.고찰
1.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관찰
Ⅶ.인용(Literature cited)
Ⅱ.배경지식(Background knowledge)
1. 원생생물
2. 동물성 원생생물
3. 대표적 원생생물
4. 원생생물의 생태적 역할
Ⅲ.가설설정(Setting up hypothesis)
Ⅳ.실험(Experiment)
1.실험재료
2.실험방법
Ⅴ.결과
Ⅵ.고찰
1.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관찰
Ⅶ.인용(Literature cited)
본문내용
서식하며, 죽은 조류와 동물의 표면에 솜뭉치 모양으로 자라는 분해자이다.
홍조류와 녹조류는 육상식물의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학자에 따라 원생생물로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상당 수의 구성 종이 다세포 생물이며 매우 복잡한 형태와 생식 패턴을 보인다. 여기에서는 주로 단세포 생물로서의 원생생물을 다루고 있어 포함시키지 않았다.
4. 원생생물의 생태적 역할
원생생물의 생태적 역할 대부분의 원생생물은 수중생활을 하며 다른 종과 공생관계를 형성한다. 산호초를 구성하는 산호 폴립은 와편모조류의 일부를 몸 안으로 받아들여 공생을 하는 데 와편모조류는 공생체에게 영양분을 제공한다. 산호와 와편모조류의 공생은 산호초의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대양의 한 가운데에 발달된 산호초는 해양의 다양한 생물체에게 서식지와 피난처 및 배우자 만남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와편모조류는 흔히 적조(red tide)라고 불리는 바다의 재앙을 일으키는 원인종이기도 하다. 적조란 와편모조류의 대발생에 의해 바다가 붉게 물드는 현상인데, 성서의 출애굽기에도 나올 정도로 오래되었으면서도, 매년 수백억 원의 경제적 손실과 많은 인적 손상을 일으키고 있는 바다의 재앙이다. 항구간 교역이 활발해 짐에 따라 한 곳에서 일어난 적조 현상은 전 세계로 바로 전파된다.
원생생물 중 한 대륙의 보건과 경제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있다. 악명이 높은 것으로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열원충(Plas modium)이 있는데, 모기를 통하여 전염되는 말라리아 병은 현대에도 잘 낫기 어려운 질병이다. 말라리아가 주로 창궐하는 지역 국가들의 평균 수입은 그렇지 않은 주변 국가에 비해 3분의 1쯤 낮다는 통계도 있다.
원생생물은 전체 진핵생물의 대부분을 차지 할 만큼 많은 수의 종과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보건환경과 경제적 손익에도 매우 중요한 생명체이다. 그러나 아직 충분한 연구가 수행되었거나 일반의 관심을 받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 원생생물은 미래 생명 자원의 블루 오션이 될 것이다.
Ⅲ.가설설정(Setting up hypothesis)
원생동물 및 곰팡이를 관찰 할 수 있을 것이다.
Ⅳ.실험(Experiment)
1.실험재료
영구프레파라트(8종류)
광학 현미경
2.실험방법
영구프레파라트 관찰
미리 준비된 영구프레파라트를 조별로 이동하면서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저배율(x100)에서 고배율(x400)로 관찰하여 스케치 한다.
No
표본명
분류
1
Euglena W.M.
편모생물문 유글레나
2
Paramecium W.M.
섬모생물문 짚신벌레
3
물곰팡이
물곰팡이류 물곰팡이
4
Rhizopus, W.M.
조균생물문 거미줄곰팡이
5
Aspergilus, M.W.
자낭균생물문 누룩곰팡이
6
Penicillium, W.M.
자낭균생물문 푸른곰팡이
7
송이버섯
담자균생물문 송이버섯
8
깜부기균
담자균생물문 깜부기균
Ⅴ.결과
가. 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관찰
편모생물문 유글레나
스케치
섬모생물문 짚신벌레
스케치
물곰팡이류 물곰팡이
스케치
조균생물문 거미줄곰팡이
스케치
자낭균생물문 누룩곰팡이
스케치
자낭균생물문 푸른곰팡이
스케치
담자균생물문 송이버섯
스케치
담자균생물문 깜부기균
스케치
Ⅵ.고찰
1.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관찰
이번 실험은 원생동물 및 곰팡이를 관찰하는 것으로서 편모생물문인 유글레나는 타원형으로 푸른색을 띄고 있었으며 가운데는 진하게 핵으로 보이는 것을 관찰할수 있었고, 섬모생물문인 짚신벌레에서는 주황색, 붉은색, 짙은푸른색의 세가지 색을 관찰할수 있엇다. 편모생물문인 유글레나보다는 크기가 조금더 큰것같으며 모양은 타원형으로 동일 하엿다. 그리고 타원형 안쪽은 진한색을 띄엇으나 겉은 연한 색으로 둘러싸인 것처럼 관찰되었다. 물곰팡이류인 물곰팡이는 붉은색깔을 띄엇는데 여기저기 분포되어잇고 모양을 잡고있다고 보기어려울정도로 흩어져있으며 작은 모양을 띄고있엇다. 조균생물문인 거미줄 곰팡이는 이름그대로 거미줄을 보는것처럼 얇은 실처럼 된 줄들이 엉켜있는것처럼 표현되어있었으며 밑에 두부분에는 붉은 반점처럼 조금 진한 점두개가 나타나져 있었다. 그점은 포자낭이 되며 포자낭 속의 포자는 건조해짐에 따라 외막이 잘게 부서져 사방으로 흩어질 것이다, 자낭균생물문인 누룩곰팡이에서는 갈색과 검은색 진한 보라색이 중심에 점처럼 촘촘히 있었으며 밑에는 긴사슬처럼 길게 늘어져 서있는 갈색줄(?)이 있엇고 누룩곰팡이 중심에 있는 점들 사이에는 마치 얇은 실처럼 엉켜져있는 얇은 선들이 보였다. 자낭균 생물문인 푸른곰팡이는 저배율로
홍조류와 녹조류는 육상식물의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학자에 따라 원생생물로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상당 수의 구성 종이 다세포 생물이며 매우 복잡한 형태와 생식 패턴을 보인다. 여기에서는 주로 단세포 생물로서의 원생생물을 다루고 있어 포함시키지 않았다.
4. 원생생물의 생태적 역할
원생생물의 생태적 역할 대부분의 원생생물은 수중생활을 하며 다른 종과 공생관계를 형성한다. 산호초를 구성하는 산호 폴립은 와편모조류의 일부를 몸 안으로 받아들여 공생을 하는 데 와편모조류는 공생체에게 영양분을 제공한다. 산호와 와편모조류의 공생은 산호초의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대양의 한 가운데에 발달된 산호초는 해양의 다양한 생물체에게 서식지와 피난처 및 배우자 만남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와편모조류는 흔히 적조(red tide)라고 불리는 바다의 재앙을 일으키는 원인종이기도 하다. 적조란 와편모조류의 대발생에 의해 바다가 붉게 물드는 현상인데, 성서의 출애굽기에도 나올 정도로 오래되었으면서도, 매년 수백억 원의 경제적 손실과 많은 인적 손상을 일으키고 있는 바다의 재앙이다. 항구간 교역이 활발해 짐에 따라 한 곳에서 일어난 적조 현상은 전 세계로 바로 전파된다.
원생생물 중 한 대륙의 보건과 경제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있다. 악명이 높은 것으로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열원충(Plas modium)이 있는데, 모기를 통하여 전염되는 말라리아 병은 현대에도 잘 낫기 어려운 질병이다. 말라리아가 주로 창궐하는 지역 국가들의 평균 수입은 그렇지 않은 주변 국가에 비해 3분의 1쯤 낮다는 통계도 있다.
원생생물은 전체 진핵생물의 대부분을 차지 할 만큼 많은 수의 종과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보건환경과 경제적 손익에도 매우 중요한 생명체이다. 그러나 아직 충분한 연구가 수행되었거나 일반의 관심을 받고 있다고 보기 힘들다. 원생생물은 미래 생명 자원의 블루 오션이 될 것이다.
Ⅲ.가설설정(Setting up hypothesis)
원생동물 및 곰팡이를 관찰 할 수 있을 것이다.
Ⅳ.실험(Experiment)
1.실험재료
영구프레파라트(8종류)
광학 현미경
2.실험방법
영구프레파라트 관찰
미리 준비된 영구프레파라트를 조별로 이동하면서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저배율(x100)에서 고배율(x400)로 관찰하여 스케치 한다.
No
표본명
분류
1
Euglena W.M.
편모생물문 유글레나
2
Paramecium W.M.
섬모생물문 짚신벌레
3
물곰팡이
물곰팡이류 물곰팡이
4
Rhizopus, W.M.
조균생물문 거미줄곰팡이
5
Aspergilus, M.W.
자낭균생물문 누룩곰팡이
6
Penicillium, W.M.
자낭균생물문 푸른곰팡이
7
송이버섯
담자균생물문 송이버섯
8
깜부기균
담자균생물문 깜부기균
Ⅴ.결과
가. 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관찰
편모생물문 유글레나
스케치
섬모생물문 짚신벌레
스케치
물곰팡이류 물곰팡이
스케치
조균생물문 거미줄곰팡이
스케치
자낭균생물문 누룩곰팡이
스케치
자낭균생물문 푸른곰팡이
스케치
담자균생물문 송이버섯
스케치
담자균생물문 깜부기균
스케치
Ⅵ.고찰
1.원생동물 및 곰팡이의 관찰
이번 실험은 원생동물 및 곰팡이를 관찰하는 것으로서 편모생물문인 유글레나는 타원형으로 푸른색을 띄고 있었으며 가운데는 진하게 핵으로 보이는 것을 관찰할수 있었고, 섬모생물문인 짚신벌레에서는 주황색, 붉은색, 짙은푸른색의 세가지 색을 관찰할수 있엇다. 편모생물문인 유글레나보다는 크기가 조금더 큰것같으며 모양은 타원형으로 동일 하엿다. 그리고 타원형 안쪽은 진한색을 띄엇으나 겉은 연한 색으로 둘러싸인 것처럼 관찰되었다. 물곰팡이류인 물곰팡이는 붉은색깔을 띄엇는데 여기저기 분포되어잇고 모양을 잡고있다고 보기어려울정도로 흩어져있으며 작은 모양을 띄고있엇다. 조균생물문인 거미줄 곰팡이는 이름그대로 거미줄을 보는것처럼 얇은 실처럼 된 줄들이 엉켜있는것처럼 표현되어있었으며 밑에 두부분에는 붉은 반점처럼 조금 진한 점두개가 나타나져 있었다. 그점은 포자낭이 되며 포자낭 속의 포자는 건조해짐에 따라 외막이 잘게 부서져 사방으로 흩어질 것이다, 자낭균생물문인 누룩곰팡이에서는 갈색과 검은색 진한 보라색이 중심에 점처럼 촘촘히 있었으며 밑에는 긴사슬처럼 길게 늘어져 서있는 갈색줄(?)이 있엇고 누룩곰팡이 중심에 있는 점들 사이에는 마치 얇은 실처럼 엉켜져있는 얇은 선들이 보였다. 자낭균 생물문인 푸른곰팡이는 저배율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