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조직학]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계의 조직학적인 정리 {소화기계 정의와 구조, 소화, 위, 소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물조직학]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계의 조직학적인 정리 {소화기계 정의와 구조, 소화, 위, 소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화기계란?
2. 소화기계의 구조
3. 소화
4. 위
5. 소장

본문내용

회맹판에 도달되는데 회장의 연동파가 회맹판에 도달할 때마다 회맹판이 조금씩 열리면서 내용물이 맹장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된다. 회맹판에 의하여 소장의 내용물이 대장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므로 내용물이 소장에서 오래 머물러 완전히 소화, 흡수되며 회맹판이 장벽으로 작용하여 대장내에 있는 세균이 소장으로 역류되어 소장이 오염되는 것을 막아준다.
2) 소화액 분비
소장에서의 소화는 소장 점막의 장선에서 분비되는 장액과 부속선인 췌장고 krks에서 분비되는 췌장액 및 담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① 장액
장액에 포함된 효소들은 소장관내에서가 아니라 장점막의 상피세포에서 기능하며 장액은 소화산물을 희석시켜서 등장액을 만들므로써 효과적으로 흡수되게 한다. 장에는 몇 가지의 형태선이 있는데 그 하나는 브루너 선으로 주로 십이지장 점막하에 위치하나 때로 공장 상부에서도 발견된다. 브루너 선은 점액과 HCO₃-가 많은 장액을 분비하여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넘어 온, 산도가 강한 음식물로부터 십이지장 벽을 보호하며 십이지장에 들어온 내용물을 알칼리화 한다.
② 췌장액
췌장액은 소화효소와 알칼리성 수용액의 혼합액으로서 췌장 전체에 산재해 있는 선세포로부터 생성된다. 생성된 췌장액은 췌관을 경유하여 십이지장으로 개구하게 된다.
췌장액은 하루 200~800㎖ 분비되며, 그 속에 많은 양의 HCO₃-를 함유하고 있어 pH 8.0~8.3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췌액은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들어온, 산도가높은 내용물을 중화시켜 알칼리로 만들어 소장점막의 자가소화를 방지해 부며, 알칼리 pH에서 최적의 활성도를 보이는 효소 활성도를 높게 유지해 준다. 췌장액 속에 함유되어 있는 효소는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인 α-amylase,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trypsin, chymotrtpsin, carboxypeptidase, 지방 가수분해 효소인 lipase가 있다.
③ 담즙
담즙은 간의 다각형 세포에서 늘 일정하게 생성된 후 간관, 담낭관을 거쳐 담낭에 농축/저장되었다가 자극이 있을 때 간헐적으로 담낭에서 담관, 총담관을 거쳐 십이지장으로 배출된다. 담즙은 하루에 250~1100㎖ 분비되며 간내 담즙의 pH는 8.0~8.6이나 담낭내에서 20배 이상 농축되면서 무기염과 전해질이 흡수되어 중성 혹은 약알칼리가 된다. 담즙은 지방 소화에 필수적인 담즙산염과 담즙을 통해 배설되는 담즙 색소 및 콜레스테롤, 레시틴, 무기염, 전해질 및 물로 구성된다.
6. 대장
대장은 길이가 약 1.5m,지름이 7.5cm인 굵은 관으로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S자상결장, 직장으로 구성된다.
1) 소화운동
대장의 운동은 내용물을 항문까지 운반시키며 부교감신경 흥분시에는 소화운동이 촉진되고 교감신경 흥분시에는 억제된다.
① 팽기수축
결장뉴가 수축시 장이 한쪽으로 구부러지면서 대장의 길이가 짧아지는데 이때 윤상근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수축하게 되면 수축하지 않은 곳은 불룩하게 주머니 모양의 팽기를 형성하게 된다. 팽기는 주로 맹장과 상행결장에서 나타나며 내용물을 잘 혼합해서 대장에서 흡수가 일어나기 쉽도록 한다.
② 집단운동
집단운동은 하루에 3~4회 나타나는 운동으로 위대장반사, 십이지장대반사에 의해 나타난다. 식후에 위나 십이지장이 팽창되면 그것이 자극되어 반사적으로 결장의 윤상근과 종주근이 강력히 수축하여 결장팽기가 소실되면서 대장의 길이가 짧아져 대장의 내용물이 S자상결장과 직장내로 일시에 운반된다.
2) 소화
대장 점막에서는 윤활제 역할을 하는 알칼리성 점액만을 분비하므로 소화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회맹판을 통해 소량씩 이동한 내용물은 대장에서 수분과 전해질이 흡수되어 고형화된 후 체외로 배출되는데 그 양은 하루에 150㎖가 된다. 대장점막에 자극성 물질이 닿게 되면 대장은 수분과 전해질을 분비하여 내용물을 희석시켜 체외로 배출시킨다.
위와 소장부에는 미생물이 없으나 소장하부 회맹판 가까이에는 탄수화물 발효균이 있으며 대장에는 박테리아가 많이 있다. 대장내 미생물의 기능은 타미생물의 감염에 대해 저항하고 비타민 B군과 K를 합성한다. 또한 대장에는 O₂, CO₂, N₂, H+, methane 등으로 구성된 가스가 있다. O₂, CO₂, N₂는 연하된 공기와 혈액으로부터 확산되어 발생한 것이며 methane, H+는 세균발효와 음식물 찌꺼기가 부패될 때 발생한다.
3) 배변
직장은 보통 때는 비어있으나 집단운동에 의해 결장에 모여있던 변이 직장으로 들어가게 되면 직장이 확장되면서 직장내압이 30~40mmHg로 올라가게 된다. 직장내의 압력감수체는 증가된 압력을 감지하여 그 정보를 구심성신경인 음부신경과 골반신경을 통해 배변중추로 보낸다. 배변중추에서는 한편으로는 상행로를 통해 그 정보를 대뇌피질로 전달하여 변의를 유발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원심성신경인 부교감신경을 통해 결장과 직장을 강력히 수축하게 하는데, 직장의 강한 수축파가 평활근인 내항문괄약근에 닿게 되면 내항문괄약근이 이완된다.
대뇌피질에서는 외적 상황을 파악한 후에 외항문괄약근을 이완시키고, 복근을 강하게 수축시켜 복압을 100~200mmHg로 증가함으로써 배변을 유발시키고 촉진하게 된다. 배변의 수의적 조절은 척수와 고위신경기구간의 연락이 차단되면 불가능하나 척수에 있는 배변반사중추에 의해 자동적이고 규칙적인 배변반사는 가능하다.
4) 변의 조성
성인의 경우 매일 75~170gm의 변을 배설하는데 그중 25~30%는 고형성분이고 나머지는 수분이며 고형성분 중 30%는 세균이다. 만약 섭취하는 음식물 중에 야채의 양이 많고 특히 날 것으로 많이 섭취하는 경우에는 변의 양이 증가된다. 변의 pH는 7.0~7.5이다. 소량만이 음식물의 소화결과 생성된 잔여물이고, 대부분은 소화되지 않은 단백질, 지방 및 무기질로 구성된다. 대변의 단백질 성분의 절반은 박테리아에서 온 것이고 나머지는 흡수되지 않은 장분비물, 점액, 탈락된 점막세포 및 소량의 효소이다. 지방성분도 세균과 탈락된 세포에서 유래한다. 대변의 색깔은 주로 stercobilin에 의한 것이고 냄새는 아미노산이 대사되어 생기는 indole과 skatole 및 sulfide에 의한 것이다.
  • 가격6,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8.12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