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라인 LINE 글로벌전략 사례분석] 네이버라인 해외진출 사례분석 - 네이버 라인 서비스분석과 SWOT분석, 라인 글로벌전략 성공,실패 사례분석과 라인의 새로운 글로벌마케팅전략 제안과 견해정리 레포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네이버라인 LINE 글로벌전략 사례분석] 네이버라인 해외진출 사례분석 - 네이버 라인 서비스분석과 SWOT분석, 라인 글로벌전략 성공,실패 사례분석과 라인의 새로운 글로벌마케팅전략 제안과 견해정리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네이버 라인 서비스소개
 (1) LINE 서비스 개요
 (2) 네이버 라인 BCG 매트릭스분석
  1) 일본에서의 BCG매트릭스 분석
  2) 한국에서의 BCG매트릭스 분석
 (3) 네이버라인 SWOT분석
  1) 강점(strength)
  2) 약점(weakness)
  3) 기회(opportunity)
  4) 위협(threat)

2. 경쟁사 분석
 (1) 카카오톡
 (2) 챗온 (ChatON)

3. 네이버 라인 해외진출 성공,실패사례 분석
 (1) 네이버 라인 글로벌 성공사례  1) 일본에서의 성공사례
  2) 인도네시아 성공사례
  3) 대만에서의 성공사례
  4) 태국에서의 성공사례
 (2) 네이버 라인 실패사례
  1) 한국시장 실패사례
  2) 중국시장 실패사례

4. 네이버 LINE 새로운 글로벌마케팅 전략제안
 (1) 사업확장전략 제안
 (2) 수익개선전략 제안

5. 라인의 향후전망예측과 나의의견
 (1) 라인의 미래전망
 (2) 나의견해

본문내용

터 사업이다. 라인은 대만 라인 프렌즈 스토어 1호점을 개장하기에 앞서, 대만에 팝업스토어와 \'라인 행운 트럭\'을 운영하며 대만 이용자의 반응을 살폈다. 3개 도시를 도는 행운트럭에는 매번 2000~3000명의 이용자들이 몰렸고, 라인 캐릭터 상품을 받기위해 3시간이 넘는 줄을 기다리기도 했다. 이벤트성으로 진행된 사전 테스트를 통해 상설매장을 원하는 이용자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된 라인은 정식 매장을 열게 됐다. 대만 라인 프렌즈 스토어가 문을 열기를 기다리는 대만 이용자들은 개장 첫날에는 2시간이 넘는 줄을 기다리며 매장 입장에 성공했다고 한다. 라인 프렌즈 스토어가 개장한 첫 주말인 지난 10월24일~26일 브리즈 몰에는 18만명이 방문한 것으로 추산된다. 이중 1/10인 1만8000명이 매장을 방문했다.
이렇게 인기를 얻고 있는 케릭터를 통해 대만에서 라인은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펼치기도 하였다. 라인은 대만 정부와 공동으로 대만 핑동현에서 제1회 국제 팜아트 예술제를 개최하고 사상 최초로 라인 캐릭터를 활용한 팜아트를 선보였다 라인은 예술제의 수익금 전액과 수확한 쌀 전량을 핑동현 지역의 불우이웃에게 기부하여 대만내에서 라인의 이미지마케팅을 시도했다. 이 밖에도 라인은 귀여운 캐릭터 표정을 담은 펜케이크 제조법을 지역 소외여성들에게 무상으로 교육하고 공동으로 제조하여 예술제 특산품으로 판매하였다. 이러한 행사도 마찬가지로 수익금 전액을 지역 소외계층을 위한 성금으로 기부되었다.
두번째는 모바일게임 시장 중 하나로 부상한 대만을 공략한 라인의 게임들이다. 글로벌 모바일 앱 시장 분석업체 앱애니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대만 구글, 애플 마켓에서 라인을 통해 출시된 게임들이 다운로드와 매출 순위 모두 상위권을 차지했다. 12월에는 라인을 통해 출시된 넷마블게임즈의 \'모두의마블\'이 양대 마켓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0월 22일 대만에 상륙한 \'모두의마블\'은 출시 첫 주에 다운로드 1위, 그 다음주에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기간을 보다 확장하면 \'라인 레인저\', \'라인 포코팡\', \'라인 디즈니썸썸\', \'라인 쿠키런\' 등 다른 라인 게임들도 모두 서로 다른 시기에 순위 1위를 차지하였다.
라인은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신저 앱이다. 대만 인구 2300만 중 1700만 명 이상이 라인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라인 플랫폼을 통해 출시한 게임은 보다 쉽게 눈에 띌 수 있어 주목 받기도 쉽다.
4) 태국에서의 성공사례
태국에서 모바일 메신저인 네이버 라인(Line) 이용자만 3300만명(전체 인구 6774만명)에 달한다. 라인이 태국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가장 큰 전략은 세가지이다.
첫 번째는 라인이 2014년 12월 9일 태국에서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 \'라인 TV\'를 내놓았으며 출시와 함께 엡스토어 인기 1위에 올랐다. 라인 TV는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를 스트리밍을 통해 무료로 즐길 수 있는 동영상 플랫폼며, 유튜브보다는 네이버 TV캐스트에 가까운 형태이다.
주요 콘텐츠로는 태국 현지 드라마, 버라이어티쇼, 뮤직비디오 등이 제공되고 있다. 라인은 다양한 방송 콘텐츠 공급을 위해 태국을 대표하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GMM Grammy, Work Point Creative TV, Thairath TV 등과 손을 잡았다. 현지 이용자들은 다른 플랫폼과 달리 라인의 스티커를 이용해 댓글을 달 수 있다는 점을 이 서비스의 강점으로 꼽았다.
두 번째는 케릭터를 이용한 마케팅이다. 곰, 토끼, 개구리 등 동물 캐릭터를 태국인이 선호하는 애교 넘치는 표정들로 디자인. 오토바이를 개량한 태국 특유의 교통수단 ‘툭툭’을 타는 모습으로도 선보였다. 태국 명절에는 이들 캐릭터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벤트를 펼치기도 했으며, 태국의 현지 통신사와 협력하여 통신사 마크를 라인 케릭터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인도네시아에 첫 출시한 글로벌 딕셔너리도 태국에서 큰 흥행을 얻고 있다. 네이버는 라인딕의 차별화된 어학기능과 현지화 전략이 각국의 이용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게 된 이유라고 평가하고 있다. 라인딕은 현지 이용자들에게 검증된 컨텐츠를 서비스 하기 위해 현지의 유명 출판사와 제휴를 맺고 있다. 라인딕 영어- 태국어 서비스의 경우, 옥스퍼드 출판사와 SE-EDUCATION 출판사와 제휴를 맺고, 6만 5천건의 표제어와 700만건의 예문뿐 아니라 오늘의 회화/명언/속담 등 학습에 유용한 자료들도 함께 제공한다.
현지 이용자들은 예문이 많아서 좋으며, 내용도 자세하고 발음도 지원하여 좋다는 등의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2) 네이버 라인 실패사례
1) 한국시장 실패사례
-시장 선점의 실패
한국은 2009년 11월 28일 아이폰 3GS 출시를 기점으로 모바일 통신 환경에 대대적인 변화가 있었다. 아이폰은 무선통신 환경에 제약적이었던 기존 피쳐폰과는 달리 3g 통신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었고 이는 한국의 기존 통신 환경을 송두리째 바꿈으로써 스마트 시대의 출범을 알렸다. 스마트 시대의 시작은 수많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스타트업 기업들을 만들어 냈고 그중에서도 가장 큰 기대를 받은 기업은 단연 카카오 톡이었다. 카카오 톡은 출시 당시 통신시장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그 이유는 문자의 무료화를 표명했기 때문이다. 기존의 통신시장 정책은 월마다 일정한 문자만 이용할 수 있었고 초과할시 건마다 요금을 내도록 정해져 있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속에서 카카오 톡은 당당하게 무료 문자를 내세운 것이다. 아이폰으로 인해 급속하게 성장하는 한국의 스마트폰 시장 속에서 카카오 톡은 비약적으로 성장 하게 된다. 2011년 갤럭시S2 까지 가세하면서 본격적인 1인 1스마트폰 시대가 시작되게 되었고 이는 카카오 톡의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 시키게 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네이버는 2011년 2월 네이버톡으로 한국시장에 문을 두르렸으나 6월 일본에서 출범한 라인에 의해 통합되게 된다. 네이버 톡과 통합된 라인은 2011년 8월 31일부터 한국어 지원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한국시장 진출을 하였지만 시장의 반응은 냉랭했다. 그 이유는 카카오톡이 시장 선점
  • 가격5,5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5.08.12
  • 저작시기201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8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